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자연과학영역

성장기 어린이들의 신체활동 수정이 심폐체력, 인지능력 및 스트레스 마커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Cardiorepiratory Fitness, Cognitive Function and Stress Markers on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in Childhood

김성연, 윤종대, 이봉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The effect of cardiorepiratory fitness, cognitive function and stress markers on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in childhood. Results as follow; first, there was large change on SDC, ST, CPT except memory ability in more than 200min physical activity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teraction both group and repeated measurement. second, there was increased more 200min and less than 150min on cardiorepiratory fitness.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hange on repeat measurement. Third, IL-18 of stress marker was decreased in more than 200min physical activity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Meanwhil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teraction both group and repeated measurement in cortisol. These meaning that childern's physical activity modification can positive effect to cardiorepiratory fitness, cognitive function and stress marker. Furthermore, usefulness verifiction of various marker can be baseline data to develop on stress evaluation and short-term stress evaluation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성장기 어린이들의 신체활동 수정에 따른 심폐체력, 인지능력 및 스트레스 마커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하고, 스트레스 바이오마커의 유용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첫째, 인지기능 중 기억력을 제외 한 신경운동속도지수, 인지유연성(ST), 복합주의력에서 주당 200분 이상의 신체활동 집단이 타 집단에 비해 많은 변 화를 나타내었으며, 집단 및 반복 측정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심폐체력 결과에서는 비교집단은 소량 감 소한 반면에 주당 150분 미만 집단과 200분 이상의 신체 활동 집단에서는 증가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반복 측정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스트레 스마커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IL-18에서는 비교집단을 제외하고 두 집단 모두 감소한 경향은 나타났으나,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코티졸은 집단 및 반복측정 간 작호작용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성장기 어린이들의 신체 활동 수정은 심폐체력, 인지기능 및 스트레스 마커에 긍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현재 사 용되고 있는 마커들 이외의 다양한 마커들의 유용성 검증은 단기적인 스트레스 평가뿐만 아니라 만성 스트레스 평가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설계
  3. 측정 도구 및 방법
  4. 자료처리 분석
 Ⅲ. 결과
  1. 연구대상자들의 집단간 동질성 검증
  2. 신체활동 수정에 따른 인지기능의 변화
  3. 신체활동 수정에 따른 심폐체력의 변화
  4. 신체활동 수정에 따른 스트레스 마커의 변화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성연 Kim Sung Yeon. 경운대학교
  • 윤종대 Yoon, Jong Dae. 경운대학교
  • 이봉근 Lee Bong Keun. 경운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