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종묘제례악 악장의 음악적 변화

원문정보

Musical Changes in the Akjang of Jongmyojerye-ak

이숙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aims to explore changes in the Akjang of Jongmyojerye-ak in terms of music and identify its musical significance. For the changes in Jongmyojerye-ak, this study classified them into Sejosillok(世祖實 錄, official historical records during King Sejo' reign) type, Akjangyoram(樂章要覽) type and Jeryejuak-uiju type. In addition, it interpreted Sejosillok, Daeakhubo(大樂後譜, a music book written by public office in 1759), parts Inpyeon(仁篇) and Sinpyeon(信篇) of Sogakwonbo(俗樂源譜, a music book compiled by public office in 1892), and Akjangyoram based on the tunes of string instruments. For the musical changes in the Akjang of Jongmyojerye-ak, this study examined them with a focus on the changes in baeja(排字) rhythm of lyrics and melodic rhythm, changes in the scale due to the use of ganeum(間音), insertions of iptaryeong ‘ae’, and changes in bak(拍, a kind of percussion instrument made of wood). Sejosillok-typed jeongganbo(a kind of score us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had baeja rhythm of lyrics and melodic rhythm. The tuneful rhythm was associated with the baeja rhythm of lyrics, not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letters in each phrase or the manner in which music starts. However, such association and rhythmical features disappeared in the Akjangyoram - typed yuljabo (a kind of score us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It is presumed that such changes were brought before the late 19th century when considering the changes in score methodology. But, in fact, it goes forward before the mid-17th century. In the meantime, Jeryejuak-uiju -typed scores were recorded in the jeongganbo again, though the rhythm was changed to 1-jeonggan(井間)-sobak(小拍). Akjang of Jongmyojerye-ak in Jeryejuak-uiju is characterized by the differentiation of bonseonyul(本旋律), and ganeum(間音) is one of such characteristics. It is found that bonseonyul has the phases where one sound of bonseonyul is extended to three sounds, which proceed to tones that are higher two majors or three minors, and then return to bonseonyul. This was mostly found in tae(太)/lim(林)/nam(南) of botaepyeong(保太平) and hyeop(夾)of jeongdae-eop. In addition, changes in the scale of Jongmyojerye- ak are not found in botaepyeong. In contrast, in jeongdae-eop, bonseonyul lasts in pyeonjong(編鐘)/pyeongyeong(編 磬), while hwang(黃) shifts to mu(無), lim shifts to jung(仲) in Akjang. This makes jeongdae-eop sound dissonant. Jeryejuak-uiju includes a piece in which iptaryeong ‘ae’ is inserted at the Akjang of Jongmyojerye-ak. It was inserted regularly at the end of each phrase, or in the midst of lyrics irregularly. In addition, in bonseonyul the rhythm was regularly performed in close association with the lyrics, while later all pieces excluding suneung, seonwi, and sinjeong were played four times equally. Also in terms of temporal order, bags used to be played at the end of piece, but later, ten pieces including takjeong lost association with the lyrics and their regularity also disappeared. Although iptaryeong ‘ae’ didn't provide a specific role, it is analyzed that it underlined the importance of music itself rather than the importance of lyrics in Akjang of Jongmyojerye- ak, when consider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bak and lyrics.

한국어

악장은 궁중의 제향․연향 등을 위해 지은 문학 장르의 하나이자 성악곡의 한 종류이다. 종묘제례악 악장은 선왕들의 공덕을 가장 직접적으로 표현한 점에서 그 중요성이 크며, 종묘제례악의 다양한 변천 을 가장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이 논문은 종묘제례악 악장의 음악적인 변화 현상을 살펴 종묘제례악 악장의 음악적 중요성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종묘제례악 악장의 음악적 변화 내용은 가사 배자 리듬과 선율 리듬의 변화, 간음 현상의 등장, 음계 의 변화, 입타령 ‘애’의 삽입, 박의 연주 위치와 연주 횟수의 변화 등이며, 이러한 변화는 기존의 내용이 달라진 것과 새로운 내용이 추가된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기존의 내용이 달라진 것은 가사 배자 리듬과 선율 리듬이 없어진 점, 박의 연주 횟수와 연주 위치가 달라진 점, 음계가 변화된 점이며, 새로 운 내용이 추가된 것은 간음 현상이 나타난 것과 입타령 ‘애’가 삽입된 것이다. 가사 배자 리듬과 선율 리듬의 변화는 종묘제례악 전반적으로 나타나지만, 박의 연주 위치와 연주 횟수의 변화, 간음의 등장, 음계의 변화, 입타령 ‘애’의 삽입 현상은 특별한 악곡에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박의 연주 위치와 연주 횟수 변화의 여러 가지 형태 중 본선율 박의 연주 위치와 연주 횟수에 변함이 없는 형태는 제3강 기악형에서만 나타났다. 또 간음 현상은 보태평에 주로 나타난 반면 정대업에서는 드물었고, 음계의 변화는 정대업에서만 나타났다. 입타령 ‘애’는 주로 제2강 기악형과 제3강 기 악형 악곡에 나타났다. 이와같이 변화 현상이 모든 곡에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악곡에 따 라 서로 달리 나타난 것이 종묘제례악 악장의 음악적 변화의 특징이다. 또 종묘제례악 악장의 변화는 기악형이나 악조 혹은 악곡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종묘제례악 특유의 변화 현상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음계의 변화와 같이 조선후기 음악 문화의 전반적인 변화 현상과 흐름을 같이 하는 부분도 있다. 종묘제례악 악장에 이와같은 변화가 생긴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무엇보다 임진왜란 이후 연 주자의 연주 능력 부족과 관리 시스템의 부재가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종묘제례악 악장의 변화 시기는 밝힐 수 없는 부분도 있었지만, 가사 배자 리듬과 선율 리듬의 경우 그 변화 시기는 악보상으로 는 19세기초 이전이나, 실질적으로는 17세기 중엽 이전부터 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종묘제례 악 악장의 변화는 종묘제례악 변화의 특수성과 조선후기 음악 변화의 보편성을 모두 내포하고 있으며, 이 연구는 그러한 현상을 구체적으로 밝힌데 의의가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본론
  1. 가사의 배자 리듬과 선율 리듬의 변화
  2. 間音의 등장과 음계의 변화
  3. 입타령 ‘애’의 삽입과 拍의 변화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숙희 Lee Suk-hui. 국립국악원 학예연구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