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가야금산조의 音群-김죽파류 진양조 1장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onal Group of Gayageum Sanjo (solo instrumental music for the 12-stringed zither)

가야금산조의 음군-김죽파류 진양조 1장을 중심으로-

오용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gayageum sanjo of Kim Juk-pa school using the concept of 'tonal group.' This concept is devised by the present author to analyze the folk song (Oh 2001). The 'tonal group' denotes a group of tones which constitute melodic meaning in a music. There is a certain systematic relationship among the tones, and the relationship generates the motional intention by which the melodic line comes into existence. Therefore, several groups of tones and the motional intention of tones are not a discrete material but a indispensable material. The 'tonal groups' is a corporate body of these materials. Another important material which determines the 'tonal group' is sigimsae, or ornamentation of each tone. The Jinyang-jo of gayageum sanjo of Kim Juk-pa school consists of three tonal groups of e'-c'-a, b-g-e, and e-b-a. These tonal groups combine each other to generate the melody of each musical phrase. The tonal group of e-b-a is used to pass to the second movement. The tonal group of b-g-e is the result of modulation of tonal group e'-c'-a in a perfect fifth degree higher or a perfect fourth degree lower. In this sense, the main musical material of the first movement is the tonal group e'-c'-a. I used PRATT program in order to analyze the sophisticated ornamentation such as the descending note or the breaking sound that are not easily be transcribed. As a result, I fou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ornamentations. The tonal group e'-c'-a which exhibit the descending note is generally regarded as the gyemyeon mode. However, this generally accepted idea should be reconsidered. I assume that the tonal group generates the gayageum sanjo. The analysis of musical scale is only the result from the examine of the outcome. In order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a musical piece we should contrive a new method which can overcome the conventional consideration of musical scale. For this ends, I tried to develop a new analysis theory of the tonal group.

한국어

김죽파류 가야금산조 중 진양조 1장을 ‘음군’이라는 개념을 사용해 분석했다. ‘음군’은 최소한의 선 율적 의미를 만들어낼 수 있는 몇개 음의 덩어리로, 이 음들 사이에는 일정한 관계가 내재되어 있으며, 이 관계에 의해 움직임의 의지가 발생하고, 이 의지에 의해 선율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몇개 음의 덩어 리와 움직임의 의지는 별개의 것이 아니고 한 몸이며, ‘음군’은 이들의 결합체이다. 김죽파류 가야금산조 중 진양조 1장에는 e'-c'-a, b-g-e, e-b-a의 세 개의 음군이 사용된다. 이 음군 중 하나, 또는 둘, 또는 셋이 결합하여 각 단락의 음악적 이야기가 전개된다. 음군 e-b-a는 2장으로 넘어가 기 위해 도입된 것이고, 음군 b-g-e는 음군 e'-c'-a를 완전5도 높게, 또는 완전4도 낮게 전이 시킨 것이다. 따라서 1장의 주된 재료는 음군 e'-c'-a이다. 세 개의 음군에서 채보와 분석이 어려운 흘리는 음과 꺾는 음을 음향분석 프로그램 Praat를 사용하여 정밀하게 분석했다. 그 결과 흘리는 음과 꺾는 음의 성격이 확연히 구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흘리는 음이 사용되는 e'-c'-a 음군이 일부 연구자에 의해 ‘계면조’로 설명되기도 하나 그것이 오류임을 지적했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김윤덕류 진양조 1장의 분석
 Ⅲ. 김죽파류 진양조 1장의 분석
 Ⅳ. 흘리는 음과 꺾는 음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오용록 Oh Yong-nok. 서울대 국악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