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시대 明器樂器의 시대적 변천 연구

원문정보

Transi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s for Burial in Joseon Period

조선시대 명기악기의 시대적 변천 연구

송지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studies the change of musical instruments which were supposed to be buried with the dead body in a royal funeral(明器樂器, myeonggi instruments). This paper clarifies the funeral rite, the kinds of the musical instruments for burial, the contents of the production, and the conveyance of the instruments, by analyzing Gukjangdogam'uigueo(國葬都監儀軌, a book for national funeral) and silrok(實 錄, True record of Joseon Dynasty), a book of Five Rites五禮書, which were produced in Joseon period. The kind and material of the musical instruments for burial began to change under the reign of King Jeong-jo正祖. Before King Jeong-jo's reign, the musical instruments for burial consisted of 31 kinds including the instruments for court music, the instruments for the Chinese music in Tang dynasty and the instruments of native Korean music. However, in King Jeong-jo's reign, only 11 kinds of the instruments for court music were buried in the funeral. In this period, the material of the bell was changed from mud to copper. Gyeong磬 also began to be made by ceramic, not by mud. These instruments were conveyed to the tomb, being fixed in an instrument box. This kind of change implies the policy of King Jeong-jo, who tried to reconstruct the national rites by recovering the old music and the old system and reviving the court music. The way which took only the instruments of court music for burial at the funeral of King Yeong-jo英祖 was taken when King Jeong-jo was dead. It became a new tradition of royal funeral after King Cheong-jo's reign.

한국어

본고는 조선시대 왕실의 국장(國葬)시 시신과 함께 광중(壙中)에 부장하는 악기인 명기악기(明器樂 器)의 시대적 변천을 연구한 것이다. 이를 위해 조선시대에 제작된 국장도감의궤(國葬都監儀軌)와 실 록, 오례서(五禮書)의 기록을 분석하여 오례(五禮) 중의 흉례(凶禮)로서 치러지는 국장의 주요 과정과 함께 명기악기의 종류, 제작 내용과 이동 상황을 아울러 살펴보았다. 명기악기는 정조대(正祖代)를 기점으로 종류와 재료 등이 변화한다. 정조대 이전의 명기악기에는 아 악기와 당악기, 향악기가 모두 포함되어 악기의 종류가 31종으로 다양하였으나 정조대 이후 아악기만 을 부장함으로써 11종으로 축소되었다. 또 종(鐘)의 제작 재료도 변화하여 숙종과 그 이전시기 국장의 종은 진흙을 구워 만들었으나 정조대 이후에는 동(銅)으로 제작하여 원 재료에 가깝게 되었다. 경(磬) 또한 진흙으로 제작하던 것에서 자기(磁器)로 제작하는 전통으로 바뀌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명기악기 는 악기궤(樂器櫃)에 어교(魚膠)로 바닥을 고정시켜 넣어 능(陵)으로 옮긴 후 광중에 부장한다. 정조가 즉위하면서 치른 영조의 국장에서부터 아악기 일색의 명기를 부장한 사실은 아악의 부흥을 꾀하고자 했던 정조의 국가전례정비 노력의 상황과 맞닿아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고악(古樂)과 고제 (古制)의 회복을 위해 여러 노력을 기울였던 정조의 국가운영 맥락이 왕의 무덤에 부장하던 악기의 종류에서도 확인되는 셈이다. 정조의 즉위와 함께 치러졌던 영조국장시의 명기악기가 아악기로 고정된 전통은 정조 자신의 사후에도 마찬가지였다. 이후 치러지는 모든 국장의 명기악기도 아악기로 고정되 어 이어짐으로써 정조대 이후의 조선 왕실 국장문화의 새로운 전통이 되었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영조의 승하와 『영조국장도감의궤』
 Ⅲ. 조선시대 明器樂器의 시대적 변천
 Ⅳ. 發靷時 大轝와 명기악기의 운반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송지원 Song Ji-won.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