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9세기 남성음악인들의 保와 朔料에 對한 연구 -19세기의 관찬읍지를 대상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Bo(保) and salary of male-musician in 19c A.D ; specially about the Government-published Town Chronicles in 19c

19세기 남성음악인들의 보와 삭료에 대한 연구 -19세기의 관찬읍지를 대상으로-

배인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by looking on the government-published 19c Town Chronicles we'll study and research some traits or characteristics of such musicians and their sponsors as sent to the capital for musical duties, such local musicians as attached to the regional government offices in views of Korean ancient regional histories specially in the light of Socio-Economic viewpoints. Most of local musicians sent to the capital city for musical duties from the former times Joseon Dynasty had been gradually degenerated as the objects of exploitations by working as cashiers or livelihood managers for the central musicians in the capital, and not so much as being regarded as playing musicians for government services or duties. And the evidence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or prices in their payments to the government shall explain such phenomena or happenings well. As a matter of course, the regional government offices like central government needed such musicians as played the music on public purpose, and most of them were belonged to such offices like kyobang(敎坊 ), kisaeng-cheong(妓生廳), akkong-cheong(樂工廳), kwanno-cheong(官奴廳), saeaksu-cheong(細樂手廳), chwigosucheong( 吹鼓手廳) and so on. And the salaries local musicians got for their duties much differed according to the scales of the government and offices they were belonged to. More over, we can infer the changes in local musicians' classes or levels from the fact that such players as made the melody in music got double the earnings than those who made the rhythm in music in these fields of Samhyeonyukgak(三絃六角), and our inference thanks much to such the changes of local musicians.

한국어

이 글은 19세기에 편찬된 관찬읍지를 대상으로 지역사적 관점에서 중앙으로 번상(番上)되었던 음악 인들과 그들의 보인(保人)들, 그리고 지방 관아에 소속되어 활동했던 음악인들의 성격에 대해 사회경제 사적 관점에서 살펴본 글이다. 조선 전기부터 지방에서 중앙으로 번상되었던 음악인들은 말기로 갈수록 실제 번상되어 음악을 연 주했던 음악인이라기보다는 대부분 서울에서 활동하는 음악인들의 급료나 생활비를 담당하는 수취의 대상으로 전락하였다. 또한 이들이 내는 상납금의 액수에서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것 역시 이러한 현상 을 뒷받침해준다고 할 수 있다. 지방 관아에서도 중앙에서처럼 음악을 연주하는 연주자들이 필요했는데, 이들은 교방이나 기생청, 악공청, 관노청, 세악수청, 취고수청 등에 소속되어 관리되고 있었다. 또한 이들이 받는 삭료(朔料)는 살고 있는 지역의 재정 규모에 따라 차등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삼현육각연주자들 내부에서 선율을 연주하는 자들이 장단을 연주하는 자들보다 상대적으로 2배나 많은 급료를 받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이들 내부에 계층화가 형성되어 있었음을 밝히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중앙으로의 번상(番上)음악인
 Ⅲ. 지방 관아 소속 음악인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배인교 Bae Ihn-gyo.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