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삼오요록』과 『인지요록』의 고려악 연구 - 고려일월조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f Komagaku in Sangoyoroku and Jinchiyoroku : focusing on Koma-Ichikotsucho

이지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magaku originates from the music of Goguryeo, Baekje, and Silla Dynasty, being introduced to Japan since the fifth Century. It exists in a unified form and carries its significance in Japanese court music until today. Despite the importance of Komagaku, there has been virtually no serious study on the subject and its unique features both in Korea and Japan. The present paper, therefore, attempts to investigate Komagaku's main characteristics, thereby explaining its musical significance. For the purpose,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lute, biwa, score Sangayoroku and the goto, zither, score Jinchiyoroku from the Twelfth Century, focusing on Koma-Ichikotsucho consisting of thirty pieces. Closely examining the tuning and tones composing the music of biwa and goto, one finds that Koma- Ichikotsucho is composed of seven-tone scale, comparable to Chinese sang scale. While taiko plays the first measure of rhythm circle in Komagaku's Yo-hyoshi, taiko plays the third measure of rhythm circle in Togaku's Yo-hyoshi, thus differentiating the two in the position of accent. In this respect, Komagaku is similar to playing the first measure of rhythm in Chwago s Jangdan. This characteristic of Korean music clearly distinguishes itself from the rhythm pattern of Chinese music. In order to analyze the thirty pieces of Koma-Ichikotsucho, it was necessary to transcribe them into five staff notation. These transcriptions were then examined based on the following categories: continuity, ornamentation, and progression of the tones. The results indicate that gung(e) and chi(b) of seven tone have strong tendency for continuity of high tone compared to those of five byonchi(a) and byongung(d), which are tones of high ornamentation. Each tone hardly ever jumps fourth or fifth degree but rather makes a gradual progression such as to the next one.

한국어

이 글은 일본에 전하고 있는 12세기의 비와보 『삼오요록』과 고토보 『인지요록』을 분석하여 고려악의 음악적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두 악보에는 고려일월조, 고려평조, 고려쌍조의 악곡이 실려 있는데 이 중 가장 많은 곡인 고려일월조 악곡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첫째, 박자상의 특징을 살펴보면, 고려사박자는 태고점 ‘百’이 첫 소절에 오는 반면에 당악의 사박자는 셋 째 소절에 놓여 강박의 위치가 서로 다르다. 이렇게 고려악이 당악과는 다르게 태고를 첫 박에 치는 것은 한국음악에서 좌고를 장단의 첫 박에 치는 것과 상통하고, 이것은 중국계 음악의 박자와는 구별되는 한국 음악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고려악의 고악보를 역보, 분석하여 음계, 음의 진행경향, 지속성, 장식성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먼 저, 『인지요록』과 『삼오요록』의 구성음을 조사하면 두 악보의 고려일월조의 악곡은 기본적으로 상조( 商調)로 구성된 음계를 사용하고 있다. 다만, 비와보에서 변궁(變宮)음은 상조의 변궁 보다 반음 높게 나타 나는데 이것은 『삼오요록』의 당악의 일월조가 단순한 상조가 아니라 궁조와 융합된 형태이기 때문에 고 려일월조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고토보의 경우는 궁 보다 두 음위의 음이 반음이 낮은 음과 함께 사용되고 있는데, 이점은 한국음악의 경토리 음계에서 궁보다 두 음 위의 음이 본래 의 음보다 반음 낮게 나타나는 경우와 상통한다. 음의 진행경향을 살펴보면 각 음들은 4도나 5도의 도약진행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바로 옆 음 또는 그 다음 음으로 이동하는 순차진행을 한다. 지속성과 장식성의 측면에서, 궁과 치는 다른 5성에 비하여 음을 지속하려는 성향이 강한 음이라는 것을 알았고, 변치와 변궁은 장식성이 강한 음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삼오요록』과 『인지요록』소재의 고려악
 Ⅲ. 『삼오요록』과 『인지요록』의 기보법 및 조현법
 Ⅳ. 『삼오요록』과 『인지요록』의 고려악 역보와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악보〉 - 고토보 『인지요록』과 비와보 『삼오요록』 고려일월조 악곡역보 역보한 악곡 30곡 중에서 지면상 3곡만을 수록한다

저자정보

  • 이지선 Lee Ji-sun. 서울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