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transformation of music society at Honam province in modern music history in Korea at mid-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In 19th century there are three scenes in Honam music society. The first is chamber musical scene pungnyubang, the second professional total performing arts, changwu's performance and the third commercial performing arts, sadangpae's. These three scenes are related to the social status, commercial, bureaucratic system in 19th century. However, these system was terminated before and after the opening of the 20th century, therefore the music society were changed. So far the Honam music society had to be reorganized.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re are twO scenes in Honam music society; the chamber musical scene, pungnyubang, and mixed professional performing arts near female performer's guild, gwonbeon. It is newly established system in modem era. Even though the pungnyubang continued from the 19th century to 20th, the characteristics were changed. In this way, the musics based on the various cultural background were mixed, the goal of musical performing, the map of musical culture were changed.
한국어
본고에서는 지역음악사 연구라는 시각에서 근ㆍ현대에 해당하는 시기 즉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전반기 까지의 호남의 지역문화의 변동과 호남음악사의 근대적 변화 상황을 밝혀 본 것이다.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호남음악사의 전개는 얼마간 중앙의 음악계의 변동과 유사한 양상이 나타남을 확 인할 수 있었다. 예컨대 음악사회의 변동에서 신분의 변동과 근대적 제고가 영향을 미쳤던 것은 호남도 예 외가 아니었다. 그러나 호남지역에서는 공연장이나 음반회사가 음악계의 변동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호 남의 경우는 교통로의 변동과 경제ㆍ행정 활동의 중심지의 이동이 직접적으로 음악계의 지각 변동에 영향 을 미쳤다. 호남의 음악지도는20세기 이후특정 지역의 문화적ㆍ사회적 기능이 달라지면서 변화한 것인데, 이러한 변 화에 응할 수 없는 음악과 음악계통은 호남의 음악지도에서 사라졌다. 결과적으로 20세기 이후 호남의 음 악 향수의 공간의 지리적 위치가 변화하였고, 작게는 현실적인 음악 감상ㆍ연주의 공간의 성격이 변화하였 다. 이 과정에서 풍류방, 창우집단, 사당패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던 19세기 호남 음악문화의 3분할구도는 20세기에 풍류의 공간과 권번문화의 공간으로 2분할되었다. 이 과정에서 호남의 권번은 중앙의 권번과 같 이 여러 계통의 음악과 음악인들을 통합하는 기능을 히는 동시에 불특정 다수의 시민에 대한 예술적 요구 를 감당하는 역할을 해냈기에 중앙의 음악사회와 구별된다 할 것이다. 또한 20세기에도 풍류방은 지속되기 는 했지만, 풍류방의 구성원, 지향, 성격 등에서 19세기와 확연히 구별되었고, 풍류가 성행했던 지역 역시 19세기와 달라졌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지역음악사로서 호남음악사의 기술 방법
Ⅲ. 19세기 호남지역의 음악문화
Ⅳ. 20세기 전반기의 호남 음악계의 재편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