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음악(국악) 영재성 판별 모형

원문정보

The Identification Model of Giftedness in Korean Traditional and Western Music

원영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identification of giftedness in arts effects the organization of special curriculum and assesment for the gifted in arts. So the early identification of giftedness in arts is very important. There are many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identification of giftedness in arts until recently. Now we need to gathering opinions and considering convergent lines. Furthermore, we need to provide an identification model which has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teachers working in the field of gifted education. I will suggest the Identification Model of Giftedness in Korean traditional and western Music(IMGM) in this paper. IMGM was made up two sub models which ar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dentification. The model of quantitative identification means assesment using instruments or scales like KMAT(Korean Music Aptitude Test), KTMAT(Korean Traditional Music Aptitude Test), OSPA(Observation Scales for Parents of the Gifted),OSTA(Observation Scales for Teachers of the Gifted). The model of qualitative identification means assesment using specialist report. For example, the use of report cards for long term observation of creative music class, improvisation class, composition of portfolio for the potential ability and creativity in giftedness. The quantitative identification model must b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qualitative identification. The best method of identification is that identify the giftedness finally using the qualitative identification model after put the quantitative identification model.

한국어

예술영재교육은 예술영재성의 개념 정의와 규정된 개념에 입각한 판별로부터 시작된다. 예술영재성의 판별은 후속 과정으로 투입되는 예술영재 교육과정의 방향을 설정하고 적절한 교육내용의 선정에밑거름이 된다. 지금까지 예술영재 판별에 관한 다양한 논의가 있어왔다. 그러나 산재해 있는 각 담론을 수렴하여 체계화시키는 논의의 장은 미처 마련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목적은 음악(국악)영재성 판별에 관한 다양한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수렴하며, 나아가 해당 영재성의 판별 모형을개발함에 있었다. 음악(국악) 영재성 판별 모형은 두 개의 인식론적 범주로 구성되는데, 양적 판별과 질적 판별 모형이그것이다. 양적 판별이란 우리 눈에 분명히 관찰되는 영재의 심리학적 구인을 탐구하여 검사 문항을 개발하고, 개발된 검사가 보고하는 객관적인 수치로 영재성을 가려내는 판별을 의미한다. 양적 판별의 범주에 적용될 수 있는 검사도구로는 음악 및 국악 적성검사, 부모 및 교사 관찰정보지가 제안되었다. 상대적으로 질적 판별은 양적 판별이 놓칠 수 있는 심리학적 구인에 대하여 장시간동안의 전문가 관찰을 활용한 판별을 의미한다. 질적 판별의 범주에 해당되는 방법으로는 포트폴리오 구성 및 평가, 창의성평가를 위한 수업 관찰, 잠재성 판별을 위한 실기 시험이 제안되었다. 음악(국악) 영재성의 양적 및 질적 판별 모형은 서로 상보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환언하면 양적판별만을 사용하여, 혹은 기존의 선발과 같이 지극히 단순하고 주관적인 질적 판별만을 사용하여 평가하는 것이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타당치 못할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가장 좋은 판별 방법은 양적판별을 투입하여 선별된 학생을 대상으로 영재교육 전문가의 입회하에 수행되는 질적 판별을 추가 시행할 때 좀 더 높은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한 판별의 결과가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음악(국악) 영재성 판별 모형은 사회경제적으로 소외된 잠재적 예술영재성의 판별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것은 소외되어 있는 잠재 영재를 배제한 채 수행되어 왔던 기존의 판별 방식으로부터 탈피하고 예술영재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사회심리를 획득하도록 견인차의 역할을 해준다는점에서 의미가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예술영재 판별에 관한 선행연구 논의
 Ⅲ. 음악(국악) 영재성 판별 모형 개발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원영실 Won, YoungSil. 한국 예술영재교육 연구원 (KRIGA) 책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