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남 지역 씻김굿의 천근소리 사용양상과 음악적 특성

원문정보

The Usage and Musical Characteristic of Cheongunsori in Sitgim Gut of Jeonnam Province

김혜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attempts to categorize the regional usage and ritual musical functions of Choengunsori among Sitgim Gut shaman songs and determine thei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ir music types.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Firstly, Cheongunsori is a song in which each theme of Gutguri is contained as well as the wish for the purpose of Gutguri to come true. In areas such as Jindoand Sinan, the function is reduced, however, in the case of Suncheon, Cheongunsori is mainly used at the end of Gut for the deceased, a role to wrap up the ending of Gutguri. In concluding Gutguri, the most important message attempted to achieve in Gutguri is contained at the end of Cheongunmal. Singing Cheongunsori is a way of wishing that. Secondly, in the organization aspects of Cheongunsori, it can be divided into Honmaji,Sitgim, and Sangyesori type. Among these, Honmaji and Sitgim types are slightly different in their usage, however, they play the same role of concluding shaman songs. However,that Sangyesori type is sung as a part of Sangyesori, a different function from its original ones, could be deemed as a newly added function. Thirdly, in order to compare the musical organiz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heongunsori, a number of issues have been examined: the existence of Cheongunmal and ‘Cheonguniya’ sound, the usage of rhythm, musical regularity and repetition. In matter of the existence of Cheongunmal and ‘Cheonguniya’ sound, Chae Jungrye and Park Miok of Jindo region have shown differences; on the matter of repetition, Song Sundan, Park Miok,and Lee Jangdan, etc have shown variations toward Sangyesori type. All of these changes suggest Sitgim Gut shaman songs in Jindo region have gone through tremendous alternations. In the use of rhythm, Sinan and Jindo form a uniform culture zone while Suncheon forms a completely different, unique culture zone. In that sense, the fact that Suncheon has irregularity in musical regularity can be understood. After examining the usage of Cheongunsori, ritual-musical functions of shaman songs have been clearly confirmed by look at how and when the songs from various regions are sung. It is hoped that similar approaches to different shaman songs and rhythm will allow us to examine the original meanings, forms, and the function and roles in gut.

한국어

본고는 전남지역 씻김굿 무가 가운데 천근소리의 지역별 사용양상을 통해 천근소리의 의식음악적 기능을 정리하고, 음악적 유형을 나누어 특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순천, 진도, 신안의 7명 무녀들의 천근소리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천근소리는 각 굿거리의 주제를 담아 노래하며, 굿거리의 목적이 달성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부르는 노래이다. 진도와 신안 지역에서는 그 기능이 축소되어 있지만 순천의 경우에는 천근소리의 기능이 분명하게 남아 있다. 순천에서는 천근소리가 망자를 위해 진행되는 씻김굿의 후반부에서 집중적으로 사용되며 굿거리를 마무리 짓는 노래로 역할하고 있다. 굿거리를 종지하면서 굿거리에서 기원하고자했던 가장 중요한 메시지를 천근말 끝에 담고, 그것을 기원하는 의미로 천근소리를 부르는 것이다. 둘째, 천근소리를 구성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혼맞이형, 씻김형, 상여소리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가운데 혼맞이굿형과 씻김형은 사용양상에 있어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주요 무가의 단락을 짓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는 기능이 같다. 그러나 상여소리형은 본래 무가의 기능과 달리 상여소리의 일환으로 불린다는 점에서 새로이 추가된 기능이라 볼 수 있다. 셋째, 천근소리의 음악적 구조와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천근말과 ‘천근이야’ 소리의 존재 여부, 장단 사용양상, 음악적 규칙성, 반복 여부를 살펴보았다. 천근말과 ‘천근이야’ 소리의 존재 여부에 있어 진도권의 채정례, 박미옥이 차이를 드러냈으며, 반복 여부에서도 송순단, 박미옥, 이장단 등이 상여소리형으로의변화를 나타내었다. 진도권의 씻김굿 무가가 가장 큰 변화들을 겪어왔음을 짐작할 수 있다. 장단의 사용에 있어 3소박 4박형의 신안과 진도를 하나의 문화권으로, 중모리형의 순천은 전혀 다른독자적 문화권을 형성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음악적 규칙성에 있어서 순천 지역만 불규칙성을갖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천근소리의 존재양상을 살펴본 결과, 여러 지역의 무가가 언제 어떻게 노래되는지를 살펴봄으로써무가의 의식음악적 기능을 뚜렷하게 찾을 수 있었으며 변화양상도 추정해 볼 수 있었다. 다른 무가나장단 등도 이와 유사한 접근방식을 통해 본래 의미나 형태, 굿에서의 기능과 역할을 살펴볼 수 있을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지역별 천근소리 사용양상
 Ⅲ. 천근소리의 음악적 유형과 특성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혜정 Kim hey jung.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