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四多羅尼>의 음악적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music of <sadarani>

<사다라니>의 음악적 연구

차형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e main Buddhist teachings, Darani 眞言 is a spell that is believed to have mysterious power. 四多羅尼 includes murayngwideokjajaekwangmyungseungmy oreokbyeonsikjineon 無量威德自在光明勝妙力變食眞言, sigamlosujineon 施甘露水眞言,iljasuryungwanjineon 一字水輪觀眞言 and yuhaejineon 乳海眞言 and those words of Buddha are sung combined like one piece without any skip, change of the order, or omission. It is the words of Buddha that things sincerely offered to Buddha through darani are changed for sinjungdan 神衆壇 and youngdan 靈壇 as well as Buddha and Bodhisattva including all people to have and to make Dharma-dhatu whole. This study shows the usage of Beompae sound and the difference in musical characteristics in the kwongong ritual 勸供儀式 and the hadan ritual 下壇儀式 through the musical analysis. And it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sound of kwonkong ritual is a hotssori 홑소리 and hadan ritual is a pyongyeombul 平念佛. Taejing 태징 plays a role to point beating time basically and to show the signs for the start and end as well as connection. In addition, taejing tune between each daranis is increasingly shortening like four beats-two beats-one beat and speed of the beat is generally getting faster. However, a pyongyeombul of hadan ritual is read as if one speaks at the fast rate of 1 beat 1 per 1 note, so the roles of taejing are not various compared to the one of a hotssori. , in hotssori has MM =85~95 tempo in the title part and MM =70~90tempo, which is lower than the title part, in the darani part. The title part is based on Semarchi changdan 세마치장단 of 3 small beats, 3 beats and 4rhythms but it is generally irregular rhythm with mixed beats of 3small beats. When it comes to and , overall speed becomes a little faster. However, pyongyeombul is sung fast at the rate of MM =180~200 and based on 1 beat 1 per 1 note and give a hint of change in each darani by singing the last word to 2 beats of each darani. Saseolbuchimsae 사설붙임새 in hotssori mixes vowel sounds such as e ei~ or e ie if the initial sound is i vowel, increases beat or changes lyric, while a pyongyeombul doesn t add vowel sounds and change lyric because it is the simple rhythm and doesn t need to increase or connect vowel sound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1 beat 1 per 1 note. hotssori shows characteristics of kyongtori 경토리 and susimgatori 수심가토리 in folk songs, and a pyongyeombul is Doksongeum 독송음 centered on three sounds(mi-ra-do)that is very based on 1 beat 1 per 1 note and its beat is faster two or three times than hotssori. Its melody and rhythm are simple and the rhythm is irregular. Besides, according to the size of offering ceremony(齋), is carried out once in case of sangjukwongong 常住勸供 , twice in case of gakbaejae 各拜齋, and three times in case of Youngsanjae 靈山齋 while the hadan ritual is carried out once regardless of the size. As hotssori accompanied by Jakbeobmu(作法舞) is freer than a pyongyeombul in terms of the beat and the sound, the melody, Sigimsae and rhythm are various and it has the musical pattern. Although it isn t certain that it is affected by correlations between neighboring regions or singers environments, musical characteristics of kyongseodo 경 서도 are found to be mixed.

한국어

다라니 란 부처님 가르침의 핵심으로 신비한 힘이 있다고 믿어지는 주문이다. <사다라니(四多羅尼)>는 무량위덕자재광명승묘력변식진언, 시감로수진언, 일자수륜관진언, 유해진언 이고 4개의 진언이 건너뛰거나 순서가 바뀌거나 빠짐없이 마치 한곡처럼 엮어 부른다. 다라니를 통해 정성스레 올린 공양물이불 보살님뿐만 아니라 신중단과 영단 등 일체중생이 모두 공양할 수 있도록 공양물이 변화하여 법계에 충만하기를 바라는 진언을 말한다. 이 글은 음악적 분석을 통해 권공의식와 하단시식에서 이루어지는 범패소리 쓰임과 음악적 특징의 차이를 살펴본 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권공의식의 소리는 홑소리이고 하단 시식은 평염불로 소리한다. 태징은 기본적으로 박을 짚어주는역할을 공통적으로 하고 권공의식에서는 시작을 알리는 기능과 마침의 기능을 동시에 하며 더불어 연결의 기능까지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진언과 진언 사이의 태징가락이 4박 2박 1박씩 점차로 축소되고더불어 박의 속도감도 전체적으로 빠르게 진행된다. 그러나 하단시식의 평염불은 1음 1박의 빠른 속도로 독송하듯이 읽어가기 때문에 홑소리에 비해 태징의 역할이 다양하지 않다. 홑소리 <변식진언>은 속도는 제목부분이 약 =85~95정도의 템포이고 진언부분은 그 보다 조금 느린약 =70~90정도의 속도로 진행된다. 제목부분이 3소박 3박 4장단의 세마치장단을 기본으로 볼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3소박 혼합박자로 불규칙한 리듬이다. <유해진언>이나 <일자수륜관진언>으로 넘어 갈수록 전체적인 속도는 조금 빨라진다. 그러나 평염불은 대략 =200정도의 속도로 빠르게 부르고 1음 1박을 기본으로 하며 진언이 넘어가는 마지막 글자를 2박으로 부름으로서 진언이 바뀜을 알 수 있다. 홑소리 사설붙임새는 초성이 이 모음인 경우 에 에이~ 혹은 에 이에~ 등과 같은 모음소리를 혼합하여 박을 늘이거나 사설을 바꾸어서 부르고, 평염불은 모음을 덧붙이거나 사설을 바꾸어 부르지 않는다. 이는 평염불이 단순한 리듬이고 1음 1박의 특징으로 인해 모음을 길게 늘이거나 이을 이유가 없기때문이다. 홑소리는 민요에서 보이는 경토리와 수심가토리의 특징이 보이고 평염불은 1음 1박의 기본에 충실한3음(미-라-도) 중심의 독송음으로 박의 속도는 홑소리보다 2~3배 정도 빠르고 선율과 리듬은 단순하며운율의 규칙성은 없다. 또한 齋의 규모에 따라 <사다라니>는 상주권공 일 때는 1회, 각배재일 경우에는 2회, 영산재일 경우에는 3회, 하단의식의 경우는 재의 규모와 상관없이 1회 진행 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작법무가수반되는 홑소리는 평염불에 비해 拍과 音의 기능이 자유로워 선율과 시김새, 리듬이 다양하고 음악적형식감도 갖추고 있으며 인접지역으로 인한 상호간의 영향인지 혹은 창자의 환경에 의해 지역적 영향을받은 것인지는 확실히 알 수 없으나 경 서도의 음악적 특징이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사다라니〉 내용 및 구성
 Ⅲ. 〈사다라니〉 음악적 분석
 Ⅳ.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차형석 Cha, Hyoung Suk. 한양대학교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