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시대 소년 무동수, 무동(舞童)의 존재양상

원문정보

Exploring the boy dancers, mudong of the palace in the joseon dynasty

송지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theme of this paper, boy dancers, mudong 舞童, can be defined as boys aged from 8 to 15, who performed not only dance but also vocal music for the various types of rituals of the royal court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reasons for the existence of boy performers is very clear: dancing by girls in the royal court was viewed negatively. Therefore, the necessity for performers was met by training boy performers until their puberty The boys could perform dance and music beautifully and elegantly with silky voices similar to female performers. After proper training, they could participate in a variety of palace rituals, festivals and banquets for the royal family and diplomatic envoys. There was critical problems in this mudong system: upon completing their training, the boy performers' working period was limited due to their quick physical growth after puberty. There was no need of adult mudong forthe court music. This critical problem caused a short age of mudong but also led to their recruitment by the palace after their retirement as mudong. This paper will examine how mudong were trained and treated in the palace while exploring their history.

한국어

무동이란 조선시대 궁중의 각종 의례에서 춤을 추는, 8세에서 15세 이하의 남자 아이를 말한다. 이들은 궁중의 여러 제사와 연향에서 주로 춤과 노래를 담당하였다. 조선의 궁중에서는 남성들의 의례에서여성 예술인이 춤을 추는 행위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여성을 대신하여 춤과 노래를 담당할 수 있는 존재가 필요했고, 그에 가장 적합한 것이 남자 아이였다. 물론 남성의 성징이 아직 드러나지 않은, 사춘기 이전의 어린 남자 아이여야 했다. 이들은 여성이 할 수 있는 선이 고운 동작이 가능했고, 여성의 고운 목소리를 낼 수 있었으므로 일정 기간의 훈련을 거쳐 궁중의 연향이나 외국 사신연에동원되어 춤과 노래를 담당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성장이 한참 이루어지는 나이에 무동으로 선발되기 때문에 재주를 모두 익혀 기예가익숙해질 만하면 곧 장정이 되었다. 이는 무동의 필요 인원을 보충할 때 늘 어려움이 따랐던 이유가되었다. 또 이들이 나이가 들어 더 이상 무동으로 쓸 수 없게 되었을 때, 그 인력의 활용방안 또한 모색되어야 할 내용이었다. 수년에 걸쳐 좋은 기예를 익힌 이들을 궁중에서 활용하는 일은 무동으로 훈련하는 일 못지않게 중요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년 무용수인 무동이 조선시대에 어떻게 길러지고관리되었으며,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그들의 존재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무동, 누구인가?
 Ⅱ. 조선시대 무동의 탄생 맥락
 Ⅲ. 무동제도의 운용 양상
 Ⅳ. 무동의 활용과 존재적 한계
 Ⅴ. 무동존립의 비판 양상
 Ⅵ.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송지원 Jiwon Song.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