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부여 <산유화가>와 메나리

원문정보

Buyeo Sanyuhwaga and Maenari

김인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I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Sanyuhwaga, the original long form of rice planting song in Buyeo, Chungnam Province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No.4of Chungnam province), and the relationship with Maenari which is transmitted in the east and north-western part of Korea. The rice-planting songs, which belong to the family of Sanyuhwaga in Buyeo, spread throughout Chungnam and Cheonbuk Province close to Buyeo. Most of them have the combined structure of Meanari-tori(the musical style in eastern part of Korea) and Yukjabeagi-tori(the musical style in southern part of Korea), and their beats are irregular. When can easily find the change of the beat which is originally irregular to regular, and the previous melodies had become fixed as well as some trace of conflict between Maenari-tori and Yukjabaegi-tori . The rice-planting song in Buyeo which has the constant refrain of Sangsadiyeo is regarded as one of the oldest form of folk songs before the influence of Pansori. Based on the record of late Chosun Dynasty, the refrain of Sanyuhwaga appears to have a long history. Sanyuhwaga in Buyeo seemed to adapt itself to its own circumstances as compared with Maenari in Eastern or Northwestern part of Korea from the way of singing and call and response style. It may be classified as Chungcheong Maenari which was transmitted in the Korean peninsula.

한국어

이 글은 <산유화가>라는 이름으로 전승되는 충남 부여군 세도면의 긴 모심는소리 (충남무형문화재제4호)의 원류를 찾아 본래의 음악 특징을 고찰하고, 동부와 서도에서 전승되는 메나리 소리와 관련성을 논구해 본 것이다. 부여 <산유화가>계열의 모심는소리는 부여 외에 청양, 공주, 논산, 완주, 익산 등지에서 전승되며, 대부분 메나리토리에 육자배기토리의 시김새가 가미된 형태를 보이고 박자에는 불규칙성이 드러난다. 부여 <산유화가>는 문화재로 지정되는 과정에서 선율과 박자가 정형화되는데 육자배기토리로 재편되는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메나리토리와 충돌한 흔적을 엿볼 수 있다. 상사디여 의 후렴구가 딸린 부여 지방의 모심는소리는 조선후기의 기록에도 나타나 있다는 사실에서 판소리의 영향을받기 이전의 고제 <상사소리> 로 간주되며, 후렴 선율은 매우 오랜 연원을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부여의 <산유화가(메나리)>는 한반도의 동부와 서도에 전승되는 메나리와 비교할 때 가창방식과 형태적 상이성에서 서로 다른 자연지리와 인문 환경에 적응하여 발달한 소리로서, 두 소리를 직접적으로 연관시키기는 어려우며 그보다는 한반도에 전승되는 메나리류 소리의 한 유형으로 간주하는 것이 옳을 듯하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부여 〈산유화가〉의 배경
 Ⅲ. 부여 〈산유화가〉 계열의 모심는소리 비교
 Ⅳ. 부여 〈산유화가〉와 여타 메나리의 관련성
 Ⅴ. 맺음말
 〈참고문헌〉
 〈참고악보〉
 Abstract

저자정보

  • 김인숙 Insuk Kim. 동국대학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