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배음(倍音) 관악기 몽골 초르의 현상학적 상징성

원문정보

The Phenomenological Symbolism of Mongolian ‘Tsuur’

박소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sed on phenomenological examples,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symbolism of tsuur(цуур), a Mongolian wind instrument for overtone, and discuss its symbolism in terms of historical backgrounds, evolution, instrumental mechanism, execution, musical characteristics and phenomenological experiences. This study is the first academic trial to concretely referring to Mongol tsuur, since there has been still very few studies investigating into tsuur within or beyond Mongol. The origination of tsuur was based on the Mongolian esthetic views of music to use human abilities to express harmonious and curious sounds of Mother Nature around the Altai Mountains of ancient west Mongolian area. Next, tsuur was introduced into China via Jang Qian(張騫), a secret envoy of earlier Han dynasty, so it was later called hoga(胡笳). Then, it probably went through transformations over a history of times, evolving into 3-stop woodwind popularized nationwide till the era of Ching dynasty. Tsuur, a wind instrument that has so far originated from ancient days among nations inhabiting in vicinity of the Altai Mountains to the west Mongol area, has more than symbolism of simple musical instrument. It has been demonstrated through 3 examples. Unique polyphonic sound effects pronounced by only one breath of tsuur performer create more than effects of musical instrument to bring a harmony between mankind and nature. In other words, Mongol tsuur means divine flute, not a simple musical instrument. Unfortunately, tsuur has lost its original function of divine flute since the death of P. Narantsogt(1922-2002), a modern Mongolian tsuur performer.

한국어

본 연구는 현상학적 용례를 통해 몽골의 배음(倍音, overtone) 관악기 초르(цуур, tsuur)의 상징성을 고찰한 것으로 역사적 발생과 진화, 악기구조와 연주법, 음악적 특징, 그리고 현상학적 경험을 통한 상징성을 논하였다. 몽골국 내외적으로 초르의 연구는 활발하지 못한 편이기에 몽골 초르와 관련된 구체적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초르는 고대 서몽골 알타이 산맥 지역에서 자연의 조화롭고 기묘한 소리를 인간의 능력으로 표현하려는 몽골인들의 심미적(審美的) 음악관을 통해 발생하여, 이후 한나라 때 밀사 장건을 통해 중국으로 유입되어 호가(胡笳)로 명명되었으며, 시대에 따라 변모하여 3공의 목관악기로서 청나라 때까지 진화 전파되었을 것이다. 고대로부터 서몽골 지역 알타이산 주변에 거주하는 민족들 사이에서 전하는 취관악기 초르는 단순한 음악적 도구인 악기 이상의 상징성을 갖는다. 이는 세 가지 용례를 통해 증명했는데, 초르 연주자가 단한번의 호흡으로 발음하는 독특한 다성(多聲)적 효과음은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움을 이끌어 주는 악기 이상의 효과를 발생시킨다. 즉 몽골 초르는 단순한 악기가 아닌 신적(神笛)이다. 그러나 초르 연주자 페. 나랑촉트(П. Наранцогт, P. Narantsogt:1922~2002)의 별세 이후, 현재 신적(神笛)으로써의 기능은 소멸(消滅)되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발생과 진화
 Ⅲ. 구조와 연주법
 Ⅳ. 음악적 특징
 Ⅴ. 현상학적 용례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소현 Park So-Hyun. 음악학 박사, 영남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