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후기 지방의 연향

원문정보

The Local Banquet in Late Choseon Dynasty

임미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gional banquets were practiced both regularly, like Yangnoyeon(養老宴) and also irregularly for special occasions. Sometimes thr banquets[Yeonhyang(宴享)] were part of official ceremonies held by the government office, and in other times they were supervised by private entities. The diverse repertoires that were presented in Yeonhyangs were mainly musical and dancing performances, often joined with theatrical performances. This distinguishes Yeonhyang from the Pungnyubang(風流房)-style musical culture of the late Choseon, which is mainly consisted of arias and recitals of lyric poems. However, compared to Yeonhyang, held by the royal household with strict procedures, Yeyeon(禮宴) comes across as somewhat flexible. Thus, regional banquet is clearly distinct from both Pungnyubang culture of the literatis[Seonbi] and the royal family’s Yeyeon in content, procedure, accompaniment and its form, space, practitioners and guests. This article comprehensively analyzes and classifies regional banquets to distinguish them from the Pungnyubang-style musical culture and the royal banquets. Therefore, the following contents will be presented in this article:1)Comparison of royal banquets and regional banquet, 2)Yeonhyangs held officially by the district governments and those held privately, 3)comparison of Yeonhyangs held in different regions, and 4)Comparison between regional banquet and Pungnyubang-style music. Late Choseon dynasty’s Regional banquet, also called as Hyangyeon(饗宴), Yeonhoe(宴會), and Gyehoe(契會), can be divided into government-sponsored and privately sponsored. The reason behind this division is that the nature and content of Yeonhyangs are known to differ in each group accordings to its purposes. Some of the typical government-sponsored Yeonhyangs were for welcoming diplomatic envoys, greeting new government officials, and entertaining the old of the district(Yangnoyeon). Privately sponsored Yeonhyangs included Hwegapyeon(回甲宴) and Giroyeon(耆老宴). Choreographical and musical contents of Regional banquet clearly differ from royal Yeonyangs in size, location, guests, and hosts. Regional differences are, of course, worth mentioning as well. One of the most important Regional banquet held by the district government is that for greeting foreign envoys. Apart from the greeting ceremonies in the royal palace, Yeonhyangs were also held in provinces on the envoys’ way to the capital. Because the path taken by Chinese envoys and Japanese envoys toward the capital city were different, the contents of performance in each Yeonhyangs displays regional differences. This article also deals with other government-sponsored Yeonhyangs such as greeting ceremonies for new officials, Yangnoyeon, and privately sponsored Regional banquet such as Hoegapyeon, the literary people’s Gyehoe(契會) and Sihoe(詩會). This paper aims at examine the regional banquet in the late Choseon dynasty and its musical performance, and will focus on occasions and purpose, use of musical ensemble, activities of musicians, repertoires and consumption of court dance at these banquets.

한국어

지방에서 설행된 연향은 양로연과 같이 정례적으로 행해지거나, 특별한 목적에서 그때그때 설행되기도 하였다. 또한 지방 관아의 공식적 행사의 일환으로 설행되기도 하고 사가에서 사적인 잔치로도 행해졌다. 이들 연향에서 공연된 주요 종목은 악가무를 기본으로 하면서 때때로 연희까지 두루 포괄하는 다채로운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그런 점에서 조선후기 가곡과 시조를 주요 연주곡목으로 삼았던 풍류방의 음악문화와 구별된다. 그러나 엄격한 절차에 의해서 행해진 왕실의 공식적인 연향에 비해 예연(禮宴)의 성격은 매우 약한 경향을 보인다. 이처럼 선비들의 풍류방 문화와도 다르면서 왕실의 예연과 구별되는 지방의 연향은 공연내용, 설행방식, 정재반주음악과 형태, 공연공간, 연행자, 향유자 등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방에서 설행된 각종의 연향을 종합적으로 살펴 그것을 유형화하고, 각각의 특징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향연, 연회, 계회 등의 명칭으로 등장하는 조선후기 지방의 연향에 대하여 관아(官衙)와 사가(私家)가 개최한 형태로 양분하여 살폈다. 지방의 연향을 관아 개최와 사가 개최로 양분한 것은 설행목적이 다른 만큼의 연향의 성격과 공연내용에서 어느 정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관아에서 주관하는 연향에는 외교사신 영접과 관련된 것, 신임 관료를 환영하기 위한 것, 향중의 노인들을 위한 양로연 등이 있다. 사가의 연향에는 문인들의 계회, 기로연, 경수연, 회갑연 등이 있다. 지방의 연향에서 행해진 가무의 공연내용은 정재종목, 설행공간, 향유자, 연행담당자 등에서 궁중의 연향과의 차이, 지역간의 차이를 살피고자 하였다. 조선후기 지방의 연향 조선후기 지방연향에 대한 논의를 통해서 17~18세기 지방의 공사연에서의 공연종목으로 정재가 주류를 이루었고, 18세기부터 광대와 재인들의 잡희가 지방의 공사연에서 공연물로 채택되기 시작했으며 19세기에는 때때로 민속악이 공연된 양상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지방 연향에서 연행된 정재의 종목은 대체로 궁중연향에서의 그것과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정재반주가 지방에서는 소규모 악대로 이루어진 사실, 16세기 중엽까지도 당비파가 지방의 연향에서 사용됨 점, 삼현육각의 형태가 16세기까지 등장하지 않다가 17세기 초에 모습을 보이면서 18세기에 정형화된 형태로 전국적으로 쓰였음도 알게 되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관아 개최의 연향
Ⅲ. 사가 개최의 연향
Ⅳ. 조선후기 지방 연향의 전반적 양상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미선 Lim Mi sun. 전북대학교 한국음악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