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티벳 참무를 통해 본 처용무와 영산재-샤허(夏河)의 라브랑스(拉卜楞寺)를 통하여-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f Tibetian Cham dancing with Korean Cheayongmu and Youngsanje -Through the Labrang Monastery’s ritual in Shahea-

윤소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I have researched the New Year‘s Ceremony that is being performed at the Labrang Monastery in Xiahe region of Tibet self govern state, Gansusheng in 2008. I have compared it with Cheoyong Shaman Dance, Youngsanjae cerremony and Bara dance to see the relaton in between these religious ceremony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a result, I have found some strong relation between the Tibetanese religious dance and the Cheoyongmu Shaman Dance. Although the recent repertoire of the Cheoyongmu Shaman Dance only shows mere relation to its religious contents, it‘s rooted from the legendary story of Cheoyong from Shilla Dynasty. It has, then, developed and used in the religious practice during Goryeo Dynasty called Palgwanhoe. Later, it has not only performed as a Buddhistic ritual ceremonies but also as a court dances under the influence of other chinese philosophy such as five elements theory during late Chosun Dynasty. There were many similar aspects in between the religious dance of Tibet compare with that of Korean Yongsanjae ceremony. The performance field of both site is decorated elaborately, and when performing the dance, it is loudly celebrated not only by the monks but also the audience participating in it. Korean Bara dance is being sung in Sanskrit, which shows distinct relation with that of Tibetanese Esoteric Buddhism.

한국어

본고는 간쑤성 간난(甘南) 사허현(夏河)에 있는 라브랑스에서 2008년 정월에 행한 참의식과 라마댄싱을 현지 조사하여 한국의 처용무와 바라춤과 비교하였다. 샤허는 해발 4천 미터의 광할한 고원지역으로 중국 속의 ‘작은 티벳’이라고 불리우며, 라브랑스는 6개의 승원으로 이루어진 대규모총림으로 겔룩파의 6대 사원에 속하며 이 곳에서 행하는 참의식과 승려들의 악가무가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다. 티벳의 참의식은 그뭄이나 정월, 티벳에 불교를 전한 파드마삼바바의 탄생일인 5월 10일 및 기타 불교적 축제 때에 사찰 마당에 괘불을 내어 걸고 행하는 대규모 의례로 나팔을 불고 북을 치며 범패와 춤 등 다양한 의례악가무가 행해진다. 참의례에는 불보살을 찬탄하거나 호법을 위해 노래하고 춤을 추는데 탈을 쓰거나 흑모를 쓰고 추는 춤들은 주로 악귀를 내어 쫓고 불법을 수호하기 위해 춘다. 티벳의 참무와 처용무를 비교해 보았을 때 현재의 참무와 처용무는 전혀 다른 면모를 지니고 있어 친연성을 찾기 어렵지만 문헌을 통해 역사를 거슬러 올라 갈수록 처용무가 본래 궁중 나례춤이었다는 점, ꡔ용재총화ꡕ에서 흑모와 흑포를 쓰고 추었다는 점 등이 참무와 연결되는 점이 많았다. 중국과 대만에서의 불교의식은 주로 실내(법당)에서 행하며 의식 중에는 선율악기를 전혀 쓰지 않고 박절을 짚어 줄 수 있는 법기(타악)만을 쓰며 매우 절제되고 정적이며 무용이 전혀 없는 것에 비하여 티벳의 참의식은 한국의 영산재와 같이 사찰 마당에 괘불을 내어 걸고 열린 공간에서 많은 구경꾼들이 보는 가운데 행하며 나팔과 북 반주에 노래와 춤이 추어지는 점에서 한국의 불교의례와 친연성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라브랑스의 신년의례
Ⅲ. 법무회(法舞會)와 ‘참(羌姆)무
Ⅲ. 참무를 통해 본 한국의 악가무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소희 Yoon So hee. 부산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