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만대엽의 여음

원문정보

The Yeoum of Mandaeyeop

한영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Korean songs, Yeoum has been included in Koryeogayo, Mandaeyeop and Jungdaeyeop, and also in the Sagdaeyeop which is still sung today. This Yeoum is present in the prelude, interlude, and postlude of Korean songs, and it is played only by the instruments. The academic world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iversely considers it as a conclusion and segment, a form included in the original text, the part of exclamation, or a repetitive and musical part. The academic world of Korean music, on the other hand, regards it as a prelude as well as a inclusion of the connective function from a part or music to another part or music. The purpose of this paper examine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Yeoum which is very important in Korean songs through Mandaeyeop which was the original form of Gagok. This study investigates throughly the musical relation of the melody and Yeoum from the Mandaeyeop Pyeongjo of Gemhapjabo, which is the first score book that the included Mandaeyeop, the Mandaeyeop Pyeongjo of Daeakhubo including the same score with it, and the Mandaeyeop Naksijo of Yangumsinbo, which features the most scores of Mandaeyeop. The Yeoum of Mandaeyeop of Gemhapjabo, repeats the melody of the second part with changing the length of the notes, and the melodic variation from the first part adds to it. The Yeoum of the Mandaeyeop of Yangumsinbo starts with the melody of the fourth part changing the first note ‘Hwang(黃)’ to ‘Tae(太)’. Also, it partly repeats the melody of the first part, and plays a melody similar to that of the second and fifth part with little changes. The Yeoum of Mandaeyeop of Daeakhubo starts with the melody of the fourth part, and gives some variation to the length of the notes and rhythm. Also, it includes the basic melody of the third part, and shows a similar melody by changing the rhythm and reducing the length of the notes. The beginning melody of the fifth part is repeated by adding new notes and changing its rhythm. Besides, one Jangdan of Yeoum is formed by mixing the same melody with the second and the reducing melody of third part. In short, the Yeoum of Mandaeyeop of Gemhapjabo is mostly based on the melody of the second part with the partial melody of the first part, and the Yeoum of the Mandaeyeop of Yangumsinbo is based on the melody of the forth and fifth part with the partial melody of the second part. Also, the Yeoum of Mandaeyeop of Daeakhubo is based on the melody of the third and forth part with the partial melody of the second and third part. Conclusively, the Yeoum of Mandaeyeop was composed of the melody of the first, third, fifth part as well as the second and fourth part, whereas the Yeoum of the present Gagok is composed of the melody of third and its interlude. For these reasons, Yeoum can be regarded as connecting with the melody of the whole song, not just being affected by one part of the song.

한국어

성악곡 중에서 여음은 고려가요와 만대엽․중대엽은 물론 현행 전창되고 있는 삭대엽 계통의 음악에 모두 포함되어 있다. 여음은 노래와 노래선율의 사이에서 혹은 노래가 끝난 후에 그 모습이 보이는데, 순수하게 기악으로만 연주하는 부분이다. 여음의 의미에 대하여 국문학계에서는 종결과 분절, 원래의 가사에 첨가된 형태, 감탄의 요소, 그리고 반복성과 음악적 요소 등 다양한 견해로 보고 있다. 반면에 음악학계에서는 곡의 예비가 되는 것은 물론 악곡의 한 부분이나 연속되는 한 악곡의 뒤에서 다음 부분이나 다음 곡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여음은 성악곡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실제로 악곡 내에서 어떠한 음악적 특성을 갖고 있는지 가곡 중에서 가장 처음 형성된 만대엽을 대상으로 고찰해 보았다. 만대엽이 수록되어 있는 18종류의 고악보 중에서 그 모습이 처음 보이는 금합자보의 <만대엽 평조>와 동일한 악곡으로 구성되어 있는 대악후보의 <만대엽 평조>, 그리고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는 양금신보의 <만대엽 낙시조>를 대상으로 노래선율과 여음의 음악적 상호연관성에 대하여 면밀히 검토하였다. 금합자보 만대엽의 경우 여음은 二旨의 선율을 반복하는 형태로 구성음은 동일하지만 음의 길이에 변화를 주었고, 여기에 一旨의 변화 선율을 첨가시켰다. 양금신보 만대엽에서는 여음의 시작이 四旨의 선율을 사용하였는데, 첫 음 黃을 太로 변화시킨 후 나머지 부분은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여음은 부분적으로 一旨에서 출현하였던 선율을 동일하게 반복하면서 二旨와 五旨의 선율을 변화시킨 유사선율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대악후보의 만대엽에서 여음의 시작부분은 四의 선율을 사용하였는데, 부분적으로 음의 길이와 리듬에 변화를 주었다. 三에서 근간을 이루는 선율이 여음에서도 나타나는데, 리듬에 변화를 주거나 음의 길이를 축소하면서 유사한 선율진행을 보인다. 五의 시작부분 선율이 여음에서 반복되고 있는데 새로운 음의 첨가와 리듬에 변화를 주는 유사한 선율형태이다. 二와 三의 선율이 어우러져 여음에서 한 장단을 형성하였는데, 二의 선율은 동일하게 반복되고, 三의 선율은 축소 변화된 형태로 나타났다. 결국 만대엽의 여음은 금합자보의 경우 대부분 二旨의 선율이 근간을 이루면서 一旨의 선율을 부분적으로 사용하였고, 양금신보는 四旨와 五旨의 선율이 근간을 이루면서 여기에 二旨의 선율을 부분적으로 사용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대악후보는 三․四의 선율이 근간을 이루면서 여기에 二와 五에 출현했던 선율을 부분적으로 사용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만대엽에서는 현행 가곡의 여음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3장 및 중여음과 동일한 선율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二旨와 四旨에 해당하는 선율은 물론 一旨․三旨․五旨에서 사용했던 선율도 여음에서 출현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여음은 노래선율 중에서 어느 한 부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간주하기 보다는 노래선율 전체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여음에 대한 기존의 의미 고찰
 Ⅲ. 만대엽의 선율구조
 Ⅳ. 맺음말
 〈참고문헌〉
 〈참고악보〉
 Abstract

저자정보

  • 한영숙 Han, Young-sook. 전남대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