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대엽>과 <삭대엽>의 연창(連唱)방식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Study on the consecutive play of Jungdaeyeop(中大葉) and Sakdaeyeop(數大葉)

최선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history of the play style of Gagok(歌曲), Jungdaeyeop(中大葉) and Bukjeon(北殿) had declined and Sakdaeyeop(數大葉) became the main stream in the formation of the Gagok Hanbatang(一闋); Nevertheless, Jungdaeyeop, Bukjeon and Sakdaeyeop were recorded together in the score books and the Gajip(歌集) even during the formation of Gagok Hanbatang, being played consecutively by the same musicians under the same playing environment. They simply showed a bit different periods of the golden ages, depending only on the preferences.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late 18th century and the early 19th century when Sakdaeyeop was becoming of the mainstream in Gagok Hanbatang with the occurrence of its newly derived songs, Jungdaeyeop was still the most familiar song to the contemporary music-consumers. A pair of the scores of Jungdaeyeop and Sakdaeyeop were consecutively played in the performance of the 18th century when Jungdaeyeop was the main stream. The situations of the consecutive play of Jungdaeyeop and Sakdaeyeop can be verified by the score books such as the score for Geomungo of Yuyeji(遊藝志) in the late 18th century, Ohuisanggeumbo(吳憙常琴譜) in the middle 19th century, and also by the water-wave-style scores(水波譜) which prevailed in the latter half of 18th century. In this play, Jungdaeyeop was proceeded up to the 5th chapter, and then, Daeyeoeum(大餘音) of Sakdaeyeop was played instead of that of Jungdaeyeop, and Sakdaeyeop was lastly performed, where the lyrics of Jungdaeyeop and Sakdaeyeop were chosen considering the accordance of the contents. At first, Sakdaeyeop was just played as Daega(臺歌) of Jungdaeyeop, and later, seized the position of the main current as more scores of Sakdaeyeop were composed and played. Finally, Jungdaeyeop completely disappeared and Gagok Hanbatang composed only of the scores of Sakdaeyeop remained. The tradition from the 18th century that Mandaeyeop(慢大葉), Jungdaeyeop, Bukjeon and Daega were pair-played is thought to have influenced the consecutive play of Chang(唱) and Hwa(和) seen in Gyobanggayo(敎坊歌謠), and also the pair songs played in turn by male and female singers observed in Ohuisanggeumbo.

한국어

가곡의 역사적 전개를 논하는 자리에서, <중대엽>과 <북전>이 쇠퇴하고 <삭대엽> 중심의 가곡 한바탕이 형성되는 과정에서는 더 이상 <중대엽>과 <북전>을 언급하지 않는 것이 자연스럽게 여겨졌다. 그러나 현행 가곡 한바탕이 형성되는 과정에서도 <중대엽>과 <삭대엽> 그리고 <북전>은 악보와 가집에 함께 기록되었고, 동일한 담당자와 연행 환경을 공유하며 연창(演唱)되었다. 단지 애호(愛好)에 있어 많고 적음의 차이가 있었기에 성창(成唱)되었던 시기가 조금 달랐을 뿐이다. <삭대엽>의 새로운 파생곡의 등장과 함께 <삭대엽> 중심의 가곡 한바탕을 이루어 가는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전반에도 <중대엽>은 당시에 일반적인 음악 소비자층이 접할 수 있는 가장 익숙한 곡이었다. <중대엽> 중심의 18세기 가창 현장에서는 <중대엽>과 새로 급부상하는 <삭대엽> 계열이 함께 짝을 이뤄 연창(連唱)되기도 하였다. <중대엽>과 <삭대엽> 계열 곡들이 연창되었던 환경은 주로 수파형 노래보와 18세기 말의 『유예지』의 거문고 악보 그리고 19세기 중반 『오희상금보』 계열에서도 확인된다. 먼저 <중대엽>을 5장까지 부르고 <중대엽>의 대여음을 대신하여 <삭대엽>의 대여음을 연주한 후 <삭대엽>을 부르는 순서로 진행되었다. 이때, <중대엽>과 대가인 <삭대엽>의 노랫말은 서로 내용적으로 어울린 것을 선택하여 부른다. 이렇듯 처음에는 <삭대엽>이 <중대엽>의 대가(臺歌)로 연창되며 참가하는 수준이었으나, <삭대엽>의 파생곡들이 늘어나고 함께 연창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중대엽>에서 <삭대엽>으로 주도권은 넘어가게 된다. 결국에는 <중대엽>이 빠지고 <삭대엽>만의 현행 가곡 한바탕이 남게 된 것이다. 이때 <만대엽>․<중대엽>․<북전>과 대가(臺歌) <삭대엽>이 짝을 이뤄서 가창하던 18세기의 연창방식은 『교방가요』에서 확인되는 창(唱)․화(和)로 주고받는 연창방식과 「오희상금보」 이후 전개되는 남․여창이 교대로 짝을 이뤄 부르는 연창방식에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여겨진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18세기 가창의 중심 〈중대엽〉
 Ⅲ. 『유예지』의 가곡 연주(連奏)
 Ⅳ. 『오희상금보』의 가곡의 연창(連唱)
 Ⅴ. 중대엽ㆍ대가(臺歌)와 남ㆍ여 교대창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선아 Choi, Sun-a. 서울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