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언어학 모델에 의한 호남좌도농악의 리듬 분석-삼채 가락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Rhythmic Analysis of Honam Jwado Nongak with Linguistic Models-Focusing on Samchae Rhythmic Pattern-

이용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usic and language have inseparable relationships. Therefore, linguistic analysis can be applied to the analysis of music. Especially, many musicologists have interested in analyzing musical rhythms based on linguistic models. In Korea, some scholars have tried to analyze the syntactic and morphological structures of Korean rhythmic cycle, called jangdan, since the 1990s. In this paper, I explore the rhythmic characteristics of samchae rhythmic cycle which is the one of the basic cycles of farmers' band music, called nong-ak, in Honam region. In its semantic structure, samchae is a four beat, called bak, rhythm which has three smaller beats, called sobak. A beat with three smaller beats is the rhythmic morpheme which has the minimal semantic meaning. The rhythmic morphemes can communicate to other beats in the frame of a jangdan which generates various rhythmic patterns. The variations are generated by phonetic differences, rather than phonemic differences, because they are categorized into the same paradigmatic class. Two rhythmic morphemes make a rhythmic phrase, and two rhythmic phrases produces a rhythmic sentence which can be acknowledged as a rhythmic cycle or jangdan. Two jangdan, usually made up of a female (or yin) jangdan and a male (or yang) jangdan, generate a rhythmic paragraph, called gyeop jangdan.

한국어

음악과 언어는 불가분의 관계가 있고, 언어를 분석하는 언어학 모델은 음악을 분석하는데 있어서도 유효한 분석틀이 될 수 있다. 언어학 모델을 적용하여 음악의 리듬을 분석하는 방법론은 음악학계에서는 오래 전부터 있었다. 특히 전통음악 장단의 통사구조(syntactic structure)와 형태구조(morphological structure)를 밝히는 연구가 1990년대 이후 국내 음악학계에서도 진행되었다. 이 글은 언어학 모델을 분석틀로 호남좌도농악의 기본이 되는 삼채 가락을 분석한 것이다. 삼채는 3소박 4박이 한 리듬적 문장인 장단을 이루고, 한 장단의 제1, 2, 3박에 징이 3점 들어가는 통사구조로 된 것이다. 삼채에서 3소박 1박은 최소한의 리듬적 의미를 갖는 리듬 형태소(rhythmic morpheme)가 된다. 리듬형태소는 주어진 장단 틀 안에서 다른 박에도 대체(commutation)되어 여러 리듬형을 만든다. 이들은 서로 간에 대체될 수 있는 계열 항목(paradigmatic class)에 속하는 것으로서 음소적(phonemic) 차이보다는 음성적(phonetic) 차이에 의해서 다양한 변형의 리듬형을 만들어 낸다. 삼채는 3소박 1박의 리듬형태소 두 개가 모여 하나의 리듬 악구(rhythmic phrase)를 만든다. 그리고 두 개의 리듬적 악구가 모여 의미있는 하나의 리듬 문장(rhythmic sentence)을 만드는데, 이것이 3소박 4박의 한 장단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암채와 수채로 치는 암수채는 3소박 4박 두 가락이 하나로 합쳐져서 리듬 단락(rhythmic paragraph)인 겹장단 가락 혹은 대(大)장단을 이루는 것이다. 그리고 리듬 단락(겹장단)을 하나의 장단 주기로 인식하여 삼채를 3소박 8박 장단으로 규정하는 것은 리듬 문장과 리듬 단락을 혼동하는 데서 기인한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음운론(phonology)과 형태론(morphology)에 의한 분석
 Ⅲ. 통사론(syntactics)에 의한 분석
 Ⅳ. 의미론(semanitics)에 의한 분석
 Ⅴ.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용식 Lee Yong-Shik. 국립국악원 국악연구실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