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통음악의 양악보에서 장단주기박자와 강약주기박자

원문정보

‘Rhythmic Cyclic Pattern' and ‘Dynamic Cyclic Pattern' in the Scores of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Written in the Western Notational System

이보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many of other traditional music shares similar quality in this particular matter, traditional music of Korea is not written in such way where they notify detailed articulations and dynamics. Rather, they simply show types of ‘jangdan’(rhythmic pattern) that the music supposed to be perform with. Recently, many musicians have tried to write out traditional music that is being transmitted orally with the use of western notation. But even when these western notational method is being used, many musicians intentionally write out a type of ‘jangdan’ when designating the rhythmic pattern of the piece prior to the ‘time signature’. In this paper, I have attempted to find out what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the two systems, ‘jangdan’ and ‘time signature’ is and how these two represent differentiated meaning within the score. First, I felt the need of treating these two different terms - ‘jangdan’ and ‘time signature’ - separately from each other. In order to separate these two concepts, I have used two terms ; ‘rhythmic cyclic pattern’ for designating the beat that is being made due to the cyclic patterns of grouped rhythm which is being used throughout the piece, and ‘rhythmic pattern signature’ for the time signature that is being used to refer the signature for the grouped rhythmic cyclic patter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omparative two terms, related with western notational system which are; ‘dynamic cyclic pattern’ for designating the ‘time signature’ that is being used throughout the score in the western notational system and ‘dynamic pattern signature’ for the signature indicating such pattern. So far, these terms have been used without any distinction due to the lack of particular theory that supports the difference in the usage of these terms. I have written the ‘jangdan’ theory for many years, which specifically deals with the ‘synthetic constitution of the rhythmic hierarchy structure’ in relation to the ‘rhythmic cyclic pattern’ that is composed by the former. The key point of the ‘jangdan’ theory is that, there are three major groups consisting the music. The first, and the smallest unit is ‘small rhythm’ that is composed with two to three small notes. This is the lower level rhythm, the ‘basic rhythmic unit’ of music. When two to three of these ‘small rhythm’ are being combined, it makes ‘small rhythmic pattern’, the medium level rhythm. Finally, when two to three of these ‘small rhythmic pattern’ are combined, it produces the ‘grouped rhythmic cyclic pattern’, which is the last and the upper level of the rhythm of the rhythmic hierarchy structure.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specify these rhythmic structure and its synthetic constitution, and its adaptation in scoring the traditional music in the western notational system. In this paper, I have concluded that the rhythmic structure of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style music differ in the composition of its rhythmic cyclic pattern. While the traditional music is consisted with three layers of rhythmic structures which are ‘small rhythm’, ‘small rhythmic pattern’ and ‘common rhythmic pattern’, the western style music only have two layers that are ‘small rhythm’ and ‘small rhythmic pattern’. In the western style music, the ‘small rhythmic pattern’ is the key unit that produces the ‘dynamic cyclic pattern’, which in other words, is represented as ‘time signature’ in the score. In this view, we can say the western ‘time signature(dynamic cyclic pattern)’ has half the length of ‘grouped rhythmic cyclic pattern’, that is found in the traditional musical score. I hope this could be used when clarifying the rhythmic pattern and related matters found in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compared to that of western music. In the actual scores, I would like to suggest two ways in its adaptation; In case of the ‘jangdan’ which is composed with symmetrical structure, two grouped ‘dynamic cyclic pattern(time signature)’ can be put together and regarded as one ‘jangdan’. When the ‘jangdan’ is consisted asymmetrically, it can be interpreted by putting two different time signature together as one passage. When writing dow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western notational system, I would like to suggest to clarify whether the score is written using the ‘rhythmic cyclic pattern’ or the ‘dynamic cyclic pattern’(western time signature). I also would like to address that these matters need to be dealt more prudently.

한국어

한국 전통음악인들은 박자라는 개념이 아닌 장단이라는 개념에 익숙해 있어 전통악보 기보법에 장단보(長短譜)는 있어도 박자표는 없었다. 그래서 그런지 근래에 한국 전통음악을 서양음악 기보법으로 채보하여 기록한 악보에는 서양음악의 박자를 주기로 하는 박자표로 기보한 경우도 있지만, 그보다도 장단을 주기로 하는 박자표로 기보한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에 장단을 주기로 하는 박자표가 지시하는 박자의 개념은 무엇이며 이것이 또 서양음악에서 말하는 박자와 어떻게 다른가를 규명해야 하는 문제가 생긴다. 필자는 우선 양자를 변별하는 용어가 필요다고 생각하여, 장단을 주기로 하는 박자표가 지시하는 박자를 ‘장단주기박자’라 일렀고, 장단주기박자를 지시하는 박자표는 ‘장단주기박자표’라 일렀다. 그 상대 개념으로 서양음악에서 말하는 박자를 ‘최소 강약주기박자’라 하고 이를 줄여서 ‘강약주기박자’라 일렀고, 강약주기박자를 지시하는 박자표는 ‘강약주기박자표’라 일렀다. 그 동안 장단주기박자표와 강약주기박자표를 변별하지 않고 그냥 써왔던 이유는 양자의 차이를 규명하는 이론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그래서 필자는 이미 다른 논문에서 장단주기박자를 규명하는 이론을 만든 바 있었다. 이 이론은 장단의 리듬 통사적 구성성분의 계층적 집합구조로 규명하고 이것이 장단주기박자를 생성하는 원리를 규명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장단 리듬 통사적 구성성분의 계층적 집합구조는 세 층위를 이룬다. 즉 자연태 음악에서는 음들이 2~3개가 집합하여 하 층위 구성성분을 이루는데 이를 ‘최소 리듬 구성성분 요소’(줄여서 ‘리듬소’라 함)라 일렀다. 리듬소들이 2~3개가 집합하여 중간 층위 구성성분을 이루는데 이를 ‘장단 주기보다 작은 리듬 구성성분 유형’(줄여서 ‘소리듬형’이라 함)이라 일렀다. 소리듬형이 2~3개가 집합하여 상 층위 구성성분을 이루는데 이를 ‘보편적인 장단 주기의 리듬 구성성분 유형’(줄여서 ‘여느리듬형’이라 함)이라 일렀다. 이 여느리듬형이 장단주기박자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 이론에 의하여 장단주기박자를 규명되었고 지금까지 잘못 기보된 장단주기박자표를 바르게 적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이론을 서양음악문법으로 된 노래의 박자, 즉 강약주기박자에 적용하여 봤더니 자연태에 가까운 노래에서는 리듬 구성성분이 두 층위를 이르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다는 것을 알았다. 즉 음들이 2~3개가 집합하여 하 층위 구성성분인 ‘리듬소’를 이루고, 리듬소들이 2~3개가 집합하여 상 층위 구성성분인 ‘소리듬형’을 이르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즉 소리듬형이 강약주기박자를 생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 봐서 강약주기박자는 장단주기박자의 절반 시가를 이루는 일이 보편적이라는 것을 알았다. 이를 적용하여 한국전통음악의 여러 장단 유형에 나타나는 장단주기박자표와 강약주기박자표로 적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지금까지 잘못 기보된 한국전통음악의 강약주기박자를 정리할 수 있게 되었다. 다시 말해서 한국 전통음악에 나타나는 여느장단(보편적인 장단)에 나타나는 장단주기를 강약주기박자로 적게 되면 흔히 두 개의 강약주기박자표로 적게 되는데 앞뒤가 대칭 구조로 된 장단에서는 장단주기의 절반이 되는 강약주기박자표 두 소절을 적으면 되고, 앞뒤가 비대칭 구조로 된 장단의 경우에는 두 가지 서로 다른 강약주기박자로 된 변박자 두 소절로 적게 된다. 이 이론을 적용하여 앞으로 한국 전통음악을 박자표로 적을 때 반드시 이것이 장단주기박자표인지 강약주기박자표인지 표기해야 박자를 바르게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한국전음악을 적은 악보에 박자표를 적을 때 장단주기박자로 적을 것인지 강약주기박로 적을 것인지 정하고 그것들은 장단 리듬 통사론에 의하여 어떤 박자표로 적을 것인지 검증하고 이를 바르게 적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장단주기박자와 강약주기박자의 생성에 대한 선행연구
 Ⅲ. 장단주기박자의 생성론
 Ⅳ. 강약주기박자의 생성론
 Ⅴ. 우리 전통음악의 장단주기에 대한 강약주기박자 기보방법
 Ⅴ.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보형 Lee. Bo-hyung. 한국고음반연구회 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