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해외에서의 한국음악학 연구현황

원문정보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Korean Music Studies Abroad

박미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began with questions addressed to in selecting the appropriate data through which I judged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Korean music studies abroad. In the discussion followed, I presented the boundary within which the research items for review were included with its reasoning behind. I also discussed the limitations I was forced to face in compiling the list of the research items. Finally I compiled 200 items in total for review. The 200 research items were academic papers, monographs and doctoral theses dealing with Korean music.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Korean music abroad, I asked following questions:How many doctoral theses have been written, and what are their subjects; Are there any meaningful currents among these items; What are monographs on Korean music; How many articles on Korean music were published in renowned international ethnomusicological journals? Who are the most active scholars of Korean specialties abroad? In this paper, I have relied mostly on quantitative analysis. In this process of analysis, I found there were different perspectives between native and foreign scholars. While foreign scholars were interested in the topics which Korean scholars delved into also, often their research interests went beyond those. Scrutinizing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m would be useful in international academic exchanges and future growth of Korean studies. At the end of the article, I attached the complete list of the 200 items of research on Korean studies abroad.

한국어

연구자는 이 글에서 해외 한국음악학 연구현황을 진단하는 근거는 무엇이어야 하는가, 또 진단의 신뢰성을 가진 근거 자료를 얻기 위해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가를 물으면서 시작하였다. 이어진 논의에서 연구자는 진단근거자료가 어떻게 마련되었으며 무엇으로 나타났는가, 그리고 자료수집을 끝내고 진단자료로서의 목록을 작성하면서 드러난 제한점은 무엇인가를 묻고 답하였다. 해외 한국음악학 연구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수집한 결과 수치만 우선 소개하면 총 200편이다. 진단자료에 수록한 연구물들은 학술논문, 입문서, 전문서, 학위논문이 중심을 이룬다. 이 자료를 근거로 하여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물음을 묻고 답하면서 연구현황을 진단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한국음악관련 주제를 다룬 박사학위논문과 전문서는 무엇이 있으며 이들의 주제적 관심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또 이들에게서 의미있는 추이가 있는가; 한국음악관련 주제의 학술논문의 양적결과와 주제적 관심은 무엇인가, 또 이들에게서 의미있는 추이가 있는가; 한국음악관련 주제의 학술논문이 포함되는 전문서는 무엇으로 나타났는가, 또 한국음악을 중심주제로 하지 않은 전문서와 기념논문집 등에 들어간 학술논문들은 무엇인가; 마지막으로 사전집필과 서지작업의 활동은 어떠한가. 해외에서의 한국음악학 연구 현황 진단은 주로 양적 분석에 의존하였다. 그 과정에서 한국음악학이 무엇인가는 국내학자들과 외국학자들이 가진 견해가 서로 다르다는 것이 드러났다. 다시 말해 외국학자는 국내학자들이 몰두하는 연구들에도 관심이 있지만 그 테두리를 넘어서는 경향이 있다. 그 차이, 즉 국내학자들의 학문적 경계와 해외학자들의 그것이 어떻게 다른가의 심도있는 논의는, 학문범주화와 국제적 학문교류와 관련해 앞으로 꼭 전개될 필요가 있다. 이 목록을 작성하면서 동시에 한국에서 출판된 외국어 연구물도 거의 같은 조건으로 수집하였는데 그 전반적 추이가 상당히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해외 한국음악학의 증진은 한국의 상황과 긴밀히 맞물려 있으며, 그래서 한국의 적극적 역할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사실이다.

목차

〈국문요약〉
 Ⅰ. 해외에서의 한국음악학 연구현황을 진단할 자료의 범위설정 논의
 Ⅱ. 해외에서의 한국음악학 연구현황 진단을 위한 분석 논의
 Ⅲ. 분석을 끝내며
 해외출판 한국음악학 논저 목록
 Abstract

저자정보

  • 박미경 Park, MiKyung. 계명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