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리영응기』 소재 악공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Musicians appearing in 『Sariyeongeungki』

김우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ariyeongeungki (舍利靈應記)』 is a written record of the event that a Buddhist temple was built within the Gyeongbok palace under the royal command of the Great King Sejong. Facts and details of this event were compiled and published by Kim, Su-Ohn(金守溫), the Byeongjo Jeongnang (Assistant Section Chief in the Ministry of Military Affairs). A full list of 261 participants of the events is included in the chapter of Jeonggeunipjanginmyeong with detailed information. Court ranks, official posts and names of the 188 and only names for the other 73 persons are recorded and they consist of Buddhist monks, great princes, palace eunuches, military officials (Seoban) and miscellaneous officials (Japjik).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followings through comparative bibliographical research with Joseonwangjosillok (the annals of Choson dynasty) and writing collections of civil officials. First, the Buddhist ceremony in celebration for opening a royal temple was held in 1448 and the 『Sariyeongeungki』 was published in 1449. It is identified that Akgong(musician) was 47 persons of 261 participants of the events. Second, musicians were men slave in government employ and were received a ocial position of the common people after enthronement of Great King Sejo. Third, most of those were attached to either Jeonakseo(Office of music, 典樂署) or Sangrimwon (Office of Court Gardening, 上林園) or Akjeongseo(Office of eunuches, 掖庭署) as official musicians. Fourth, many of Sangrimwon members were famous for their music and a good number of those who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Jeonakseo are found.

한국어

『舍利靈應記』는 조선조 세종 때 내불당을 건립 후 거행된 낙성식 행사에 나타난 이적(異蹟)을 병조정랑이었던 김수온이 기록한 것이다. 사리영응기의 정근입장인명에는 승려·대군·문신·내시·서반직·잡직에 속하는 총 261명의 품계․관직․인명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 중 잡직의 대부분은 상림원과 전악서에 소속되어 있다. 상림원의 인물 중에는 음악으로 이름을 떨치거나, 전악서에서 활동한 인물이 다수 보인다. 이 연구는 조선왕조실록과 문집에 수록된 기록을 교차 검토하여 다음의 사항을 규명하였다. 첫째, 사리영응 행사(정근)에 참여한 인물 중 47명이 악공으로 확인되었고, 11명은 차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정근에 참여한 악공의 신분은 관노였으며, 일부는 세조 등극 후 공신으로 인정되어 양인이 되었다. 셋째, 『사리영응기』 편찬 당시 악공은 전악서와 같은 음악기관 외에도 상림원․액정서와 같은 다른 기관에 소속되기도 하였다. 넷째, 문집의 기록을 통하여 악공은 궁중 밖의 음악활동에도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본론
 Ⅲ.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우진 Kim, Woo-jin.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