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동남(東南)토리 음구조 유형 생성과 변이 -메나리토리와 육자배기토리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ypes of Tonal Structure of Dongnam-tori

이보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usical idiom of the folk songs of Eastern region of Korea is traditionally called menari-tori and that of the folk songs of Southern region yukjabaegi-tori. The two musical idioms are similar. Also, they are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regions. So, in a previous paper, I used a term ‘dongnam-tori,’ meaning south eastern for the two. In the paper, I clarified that menari-tori which is more widely used is older that yukjabaegi-tori. In this paper, I researched on the constituent tones of the two musical idioms. In both idioms, the central tone is in the center and is played without vibration. The 4th lower tone is with vibration. The second higher tone goes down to the first higher tone or is played with a so-called “breaking sound.” The central tone, The 4th lower tone and the first higher tone are the important tones. Yukjabaegi-tori was derived from menari-tori. I can see this from the fact that Eosayong and Jeongjasori in menari-tori in the Eastern region became similar to yukjabaego-tori in Jeollado province. In Eosayong and Jeongjasori in menari-tori in the East of Gyeongsangdo province, constituent tone above central tone shows wider interval from the central tone while those lower. In those songs in the West of Gyeongsangdo province, it is the opposite. In those songs in the West of Jeollado province, it is similar to the latter and that of yukjabaegi-tori. The intervals from the central ton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regions. Those in Gyeongsangdo and Gangwondo coastal area, it is a little high. Those in central are of Gyeongsangdo, southern area of Chungcheongdo, it is a little low. Those in western area of Jeollado, it is lower, while gyemyeonjo in Pansori shows the lowest. Menari-tori in western area of Gyeongsangdo and southern area of Chungcheongdo is similar to yukjabaegi-tori. It is difficult to tell what it is. So I suggest to call it the musical idiom in between the menari-tori and yukjabaegi-tori. It is different from the idiom that is a mixture of the two such as that of gin-nongbuga.

한국어

한국의 동부지역에 전승되는 민요 토리를 전통적으로 ‘메나리토리’라 이르고 남부지역에 전승되는 민요 토리를 ‘육자배기토리’라 이르는데 이 두 토리가 서로 유사한 특징을 지니고 있고 한국의 다른 지역에 전승되는 민요 토리와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어 필자는 이미 다른 논문에서 이들의 상위개념을 지시하기 위하여 ‘동남(東南)토리’라는 용어를 만들어 썼다. 그리고 이 논문에서는 동남토리권에서 메나리토리 토속민요의 전승지역은 매우 넓지만 육자배기토리 토속민요의 전승지역은 상대적으로 매우 좁은 것으로 봐서 동남토리는 메나리토리가 근원이 되고 육자배기토리는 메나리토리에서 파생된 국부 토리라고 보는 것이 옳다고 밝힌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다시 재확인하기 위하여 메나리토리와 육자배기토리의 몇 가지 공통된 음악특성을 살폈다. 첫째, 메나리토리와 육자배기토리는 모두 그 구성음 가운데 모두 안정된 평(平)으로 내는 음을 중앙에 두고, 이 음에서 아래 제2음(下二)에 떠는목(搖聲)을 쓰고, 중심이 되는 음의 위 제2음(上二)에서 위 제1음(上一)으로 흘러내리거나(退聲) 꺾는목을 쓴다는 공통점이 있는 점, 둘째, 중앙에 있는 음과 아래 제2음(下二), 위 제1음(上一)으로 3음이 주요음이 된다는 점, 셋째, 위 제2음(上二)에서 위 제1음(上一)으로 미분음으로 길게 흘러 내려 중앙음에 이르는 선율형, 중앙음의 아래 제2음(下二)에서 중앙음으로 도약진행하고 중앙음에서 위 제1음(上一)으로 순차진행하거나 그 역으로 하는 선율형이 주가 된다는 점을 들어 두 토리가 유사하므로 이 상위개념으로 동남토리라는 용어를 설정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동남토리 가운에 육자배기토리가 메나리토리에서 파생한 것이라는 것을 증거하기 위하여 동남토리의 동부지역인 경상도 민요로 알려진 <어사용> 및 <정자소리>라는 메나리토리로 된 민요들이 서부지역인 전라도로 전파되어 육자배기토리에 가까워다는 것을 예로 들었다. <정자소리>는 울진-밀양-고성-남원으로, <어사용>은 영덕-밀양-거창-무주-옥구-부안으로 전파되면서 메나리토리에서 육자배기토리에 점점 가까워진다는 것을 실제 음정 특정을 들어 수치로 밝힌 것이다. 그 음악적 특징은 <정자소리>와 <어사용>이 동쪽으로 갈수록 중심이 되는 음에서 위 제2음(上二) 및 위 제1음(上一)의 음정이 점점 벌어지고 동시에 중심이 되는 음에서 아래 제2음(下二)의 음정이 점점 좁아져서 메나리토리의 특성이 강해지고 서쪽으로 갈수록 중심이 되는 음의 위 제2음(上二) 및 위 제1음(上一)의 음정이 점점 좁아지고 동시에 중심이 되는 음의 아래 제2음(下二)의 음정이 점점 벌어져 육자배기토리의 특성이 강해진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그리고 육자배기토리의 중심이 되는 음의 위 제2음(上二)과 위 제1음(上一)의 음정이 반음이 아니고 온음인 것은 메나리토리에서 중심이 되는 음의 위 제2음(上二)과 위 제1음(上一)의 음정이 온 음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육자배기토리에서 중심이 되는 음의 위 제2음(上二)과 위 제1음(上一)의 음정이 온음정으로 이뤄진 때문이라는 것을 재확인하였다. 메나리토리의 이런 특성은 경상도 동북부 그리고 강원도 동해안으로 올라 갈수록 중심이 되는 음이 더욱 높아지고, 경상도 서남부〮 및 충청도 서남부로 갈수록 낮아져 육자배기토리에 가까워진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육자배기토리 또한 음악부문마다 다른 특성이 있는데 전라도 토속민요는 좀 높아 메나리토리에 가깝고 통속민요는 좀 낮아 멀고, 판소리에서 계면조 즉 육자배기토리는 가장 낮아 더욱 멀다는 것을 밝혔다. 경상도 서남부와 충청도 서남부의 메나리토리는 육자배기토리에 가까워져서 어느 쪽인지 분별하기 어렵게 되는 중간 성격을 띤 경우에는 이를 ‘메나리 육자배기 중간 토리’라는 용어를 쓸 수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통속민요 <긴농부>가 뒷소리와 같이 앞은 메나리토리로 뒤는 육자배기토리로 되어 두 개의 토리가 뒤섞인 토리는 이와는 다른 개념이므로 ‘메나리 육자배기 섞인 토리’라는 말을 써서 서로 변별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동남토리의 정리
 Ⅲ. 메나리토리에서 육자배기토리로 전이(轉移)의 실제
 Ⅳ.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보형 Lee Bo-hyung. 한국고음반연구회 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