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미국 피바디에섹스 박물관 소장 <평양감사향연도> 도상의 재해석

원문정보

Review of the study on the Celebrations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owned by Peabody Essex Museum in America

송혜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was done to make reexamination of the structure and theme of the Celebrations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own by the Peabody Essex Museum in America, and to intend to introduce new perspective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this painting. The Celebrations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was firstly shown to Korea through the special exhibition of the Peabody Essex Museum Collection under the title of Yu, Gil-joon and his dream of civilization; the institution and customs of Korea’s one hundred years ago present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1994. Since then, this painting, composed of eight screens, depicting celebrations taking place in the city of Pyongyang, capital of Pyeong-an province, was considered as the banquet in the celebration of the new Pyeong-an governor’s assumption of office. This painting has also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predominant ones which reflected well the times of Joseon dynasty because of the detailed depiction of the customs and people throughout the various social classes with professional touch, color and composition of the picture, as comparable as a documentary painting. As stated just now, this painting has long time been considered as the depiction of the banquet in the celebration of the inauguration of Pyeong-an governor. That was only because it signified similarities as other banquet scenes belonged in the same category. Moreover, for instance, according to the Joseon Dynasty Genre Scenes of Music Ⅱ, published in 2003, it was said that the painter of this piece was Seokbuk Shin, Kwang-su (石北 申光洙), a best friend of Chae, Jae-gong (1720-1799) and it was a painting version of the prose poetry named Kwanseo-yuhefu (關西樂府) written by himself, to make good wishes for his friend Chae’s successful government, when Chae was inaugurated as the governor of Pyeong-yang. The purpose of this paper, however, was to reappraise the contents and what it was described in the eight screens of the painting to get new approaches. I carefully reviewed every details of the Celebrations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by the general interpretation methodology of the on the painting and compared it with other similar literary texts and paintings, and I finally found that there were several errors in translation in the precedent studies on the Celebration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in the Peabody Essex Museum. From my point of view, the major mistranslation about the precedent studies was to consider the painting as the interpretation of literal text of Kwanseo-yuhefu (ꡔ關西樂府ꡕ written by Seokbu Shin, Kwang-su without any specific examination. In the result of my work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unidentified opinion that the Celebration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in the Peabody Essex Museum was the drawing version of the Kwanseo-yuhefu might be corrected by following reasons. From my observation, the main characters in the painting looked like military officers and the governor of Pyeong-an gave a banquet to welcome the young officers who won the title of the successful candidates in the state examinations. The first evidence supporting my opinion can be the facts that they had big parasols each on the horse, accompanied with entertainers such as dancers and musicians and the description on the all kinds of traditional folk arts at the banquet reminds us the journey which was commissioned for the winners of the classical examination system for the governments service. Secondly, there was a documentation in October, the 6th regime of King Jeongjo, around AD.18C, which supported the background and the precise purpose of the creation of this painting. It was stated as that one day, King Jeongjo called the State governmental examiners in the province of the East-northern and said “the State governmental examination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event in the country. So let’s give a huge festival to celebrate the winners of the state examinations around the Dae-dong river”. And the king commended to his subjects to prepare screens after drawing all the details of the festival. In conclusion, with the evidences that I found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previous studies on the Celebration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in the Peabody Essex Museum should be reexamined and it could be considered as a painting about the celebration for the winners of state examinations from Pyeong-an province, rather than about the Celebration for the new governor’s assumption of office. Let me discuss more about this in my next work which is going to handel with “A Study on the performing arts and banquet for the foreign guests in Pyeong-yang.”

한국어

본고는 지금까지 평양감사를 위한 향연도로 해석된 미국 피바디에섹스 박물관 (Peabody Essex Museum) 소장 <평양감사향연도: Celebrations for the Governor of Pyeong-an>의 8폭 그림의 도상구성과 주제를 재검토한 연구이다. 이 그림은 1994년 국립중앙박물관의 기획전시 <미국 피바디에섹스 박물관 소장 100년 전 한국풍물-유길준과 개화의 꿈>을 통해 국내에 처음 공개된 이래 화면구성, 필치, 채색 기법 면에서 뛰어난 전문화가의 그림이라는 점, 기록화에 걸맞는 구체성과 사실성이 돋보이며, 한 시대의 각 계층의 인물이 두루 망라 되었다는 점에서 시대상을 반영하는 그림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그럼에도 도상의 여덟 폭의 그림 내용은 구체적으로 검토되지 않은 채 미술사학자들 사이에서는 평양감사의 부임을 축하하는 연회로 해석되어 왔다. 특히 2003년에 간행된 ꡔ조선시대 풍속화Ⅱꡕ에서는 이 그림이 석북(石北) 신광수(申光洙)가 죽마고우인 번암(樊巖) 채제공(蔡濟恭, 1720~1799)이 평양감사로 부임하자, 그곳에서 유흥에 빠지지 말고 선정(善政)하기를 경계할 목적으로 <관서악부(關西樂府)>를 짓고, 이를 그림으로 그린 ‘관서악부도’ 성격의 <평양감사향연도>라고 소개하였으며 작품의 배열순서를 정하고, 각 폭의 제목을 명명한 바 있다. 그러나 유사 주제의 도상자료 및 관련 문학자료를 비교해 본 결과 피바디에섹스 박물관 소장 <평양감사환영도>에 대한 기존의 해석에 결정적인 오류가 있다는 점과 더 나아가 국문학, 민속학, 음악학 분야의 연구에서도 그림의 오역(誤譯)이 적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첫째, 이 작품에서 환영받고 있는 주인공은 ‘평안감사’가 아니라 창우(倡優)와 무동(舞童), 세악수들을 대동하고 평양으로 오는 ‘청색 관복을 입은 두 주인공’이라는 점, 둘째, 선화당 연회에 여성의 참석이 허용된 것이 특징이며, 이는 공식적인 평양감사 환영연과 성격이 다르다는 점, 셋째, 기존의 도상해석에서는 대동강 위의 배의 행렬을 모두 ‘선유(船遊) 장면’으로 설명하였지만, 그 중의 한 폭은 평양으로 입성하는 이들의 도강(渡江) 행렬이라는 점은 대표적인 오역(誤譯) 사례라고 하겠다. 즉, <평양감사환영도>로 해제된 피바디에섹스 박물관 소장 그림을 재검토한 결과 이 그림은 평양감사가 평양에 입성하는 귀빈을 맞이하여 백성들과 함께 공식적인 연회와 소규모연회, 연광정, 부벽루 등의 명소에서의 연회, 대동강의 야연을 베푼 내용을 그린 환영도 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석북 신광수의 <관서악부>와의 관련지은 것은 오류임을 밝혔다. 다만, 이 작품에서 환영을 받는 주인공이 누구인가에 대해서 언급하지는 못하였으나 지금까지의 도상 내용으로 보아 이들은 과거급제자일 가능성이 높다. 과거급제자를 위한 관련 풍속 중, 급제자들이 귀향하면 고을의 수령이 고을 입구까지 나아가 친히 맞이하고, 급제자의 부모를 초청하여 잔치를 벌이는 ‘영친의(榮親儀)’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본다. 특히 창우와 무동의 존재, 부벽루 연회장면에 보이는 이색적인 민속연희 등은 지방 수령의 도임행차 및 환영연에서 볼 수 없는 도상일 뿐만 아니라 오히려 과거급제자들을 위한 삼일유가 풍속을 연상시켜주기 때문이다. 또한 정조 6년 10월의 기사에 “관서(關西)의 도과 시관(道科 試官)을 불러 임금이 말하기를, “도과는 성대한 일로서, 합격자를 발표한 뒤에 대동강에서 유람을 하사하는 것은 그전부터 유래된 옛 규례라고 하였다. 경은 그림을 그려 병풍을 만들도록 하라”고 기록된 내용은 이 작품의 제작배경과 특히 목적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준다. 즉 피바디에섹스 박물관 소장 <평양감사향연도>는 평양출신의 과거급제자를 위한 축하연일 가능성이 높다. 이에 대해서는 필자의 후속 연구에서 심도 있게 논의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피바디에섹스 박물관 소장 〈평양감사향연도〉 8폭의 내용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송혜진 Song Hye-jin. 숙명여대 전통문화예술대학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