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re are two main streams/styles in Beompae music of Korea, which are Gyeong-je(Seoulstyle) and Youngnam-je(Yonngnam regional style, also know nas Palgongsan-Je). Gyeong-je has been performed mainly in Seoul area, specifically started from Bongwonsa temple and transmitted actively among the monks until today. In contrast to that, the transmitting of Palgongsan-Je which was one of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among there gional monks of the area has been completely discontinued and Busan-Youngsanjae Beompae(register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Busan city#9) and Youngsanjae of Bulmosan-mountain of Masan-region(also register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Busan city district#22) have only survived among Busan and Youngnam regional Beompae music. One of the main reason that caused discontinuation of Beompae music of Palgongsan mountain is due to its cleanup movement in 1955. Most of the Beompae performing monks-Osan monks- were forced to move out from the temple and therefore their ritual performances has not been supported by either temples or the public. But, I have find out that Beompae music of Palgongsan mountain has transmitted by several monks until today after interviews made by old monks reside in Milyang region. The transmission has been made by the late monk Seongbong – references could be found in the video recordings of Sangjukwongongjae performance of Eoryongsa temple, Sapori area and Cheonjjokgasabulsa ceremony of Yaksooam temple in 1982 as well as Sangjeonyesoojae ceremony of Pyochoongsan temple in 1990 and educational material presented by monk Wonbong of Gwangjesa templ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have a close look into the genealogical table of transmission of the Palgongsan-Je Beompae music in the Milyang region and study about the musical structures as well as characteristics of it by using the previously mentioned video recordings of the performances. As I conduct the research into it, I have found that there are two main tables of descent, one is Palgongsan-Je originated from Cheongdo area and the other is Pyochoongsa temple-je of Milyang region. Among them, Pyochoonsa temple-je Beompae music has been the main temple where they actively teach and performing the Beompae music in Kyongnam․Busan region. Therefore, Youngsanjae ceremony of Busan is rooted from that of Pyochoongsa temple-je of Milyang area. Also, by the movement of monk Seongbong from Cheongdo region, the Palgongsan mountain-je Beompae of that region has been spread to Milyang region, which resulted growth of two different styles of Beompae music in this region. Official orders of Palgongsan mountain-je Beompae music transmitted by monk Seongbong is like following: Samshiniun → Daeryeong → Siryeon → Gwanyok → Siwangdocheong → Sangdan kwongong → Sinjoong kwongon → Jijang(joongdan) kwongong → Chookwon → Sishik(Youngban). In conclusion, I have found Palgongsan mountain-je Beompae music has not been discontinued but transmitted by several monks in Milyang region and tried to search for the genealogical table of Pyochoongsa Beompae music of Milyang region. Further studies on the relation in between the Beompae music of Pyochoongsa temple-je and Palgongsan mountain-je and its co-relation with Busan-Youngsanjae. Youngsanjae ceremony from other regions have to be studied in comparison to that of Youngnam region for us to establish more concrete conclusions on the genealogy tables of transmission of Palgongsan mountain-je Beompae music of Youngnam region.
한국어
한국의 영산재는 크게 경제(京制)와 영남제(嶺南制, 일명 팔공산제) 그리고 호남제(湖南制)로 나뉜다. 경제는 서울 봉원사를 주축으로 하여 전승되고 있으며, 영남제는 부산영산재와 마산불모산영산재가 부산 및 경남권의 범패를 대표하고 있고, 호남제는 전북의 봉서사 영산작법이 호남지역을 대표하고 있다. 그러나 내륙에서 가장 성행했다던 영남지역의 팔공산제 범패는 현재 맥이 끊어진 상태이다. 이렇듯 팔공산제 범패가 사라지게 된 근본적인 이유는 1955년 정화운동(분규)으로 인해 종파가 나뉘게 되면서인데, 어산스님들이 강압에 의해 절에서 나오게 되면서 서서히 명맥이 끊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밀양지역의 몇몇 스님의 인터뷰를 통해 팔공산제 범패가 10년 전에 작고하신 박성봉스님에 의해서 밀양에 전승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관련된 녹음 및 영상자료로서는 1982년 사포리 어룡사에서의 49재와 1982년 약수암의 천쪽가사불사(袈裟佛事)에서 증명스님으로 봉축행사에 참석한 영상녹화자료, 1990년 밀양 불교사원연합회에서 주최한 표충사에서의 생전예수재의 영상녹화자료 그리고 광제사의 원봉스님이 보관하고 있던 1982년의 범패교육을 녹음한 테이프 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미 소멸된 것으로 알고 있는 팔공산제 범패가 밀양지역으로 전승된 과정 및 전승계보를 체계화하고, 의식절차와 의식내용의 구성과 특징을 밝혀 밀양에 전승되고 있는 팔공산제 영산재의 존속을 밝히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에 의해 밝혀진 밀양지역의 범패계보는 크게 둘로, 청도에서 이어져 내려온 팔공산제의 계보와 밀양 표충사제의 범패 계보로 나뉜다. 뿐만 아니라 밀양표충사는 통도사 말사로 분규 훨씬 이전에서부터 경남․부산권의 범패승을 양성한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부산영산재는 결국 밀양 표충사범패와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청도의 범패승인 성봉스님이 밀양으로 이주해 오면서 밀양지역에는 경북청도의 팔공산제 범패가 뿌리를 내리게 된 것이어서, 밀양지역에는 크게 두 범패의 계보가 전승되고 있는 것이다. 성봉스님으로 인해 전해지는 밀양의 팔공산제 범패의 의식절차는 삼신이운 → 대령 → 시련 → 관욕 → 시왕도청 → 상단권공 → 신중권공 →지장(중단)권공 → 축원 → 시식(영반)으로 구성되는데, 다른 지역의 영산재와는 달리 상단권공보다 지장권공을 더 중요시한 특징을 지닌다. 본 논문은 이미 사라진 것으로 알려진 팔공산제 범패가 밀양지역에 전승되고 있음을 밝힘과 동시에 1900년대 초중반에 성행했던 밀양 표충사범패의 계보를 정립한 것에 의미가 있다. 아울러 밀양지역에 전승된 표충사범패와 팔공산제 범패와의 상호 연관성과 함께 부산영산재와의 연계에 대해서도 앞으로 연구되어져야 할 부분이며, 무엇보다 고(故) 성봉스님의 소리로 이어지는 밀양지역의 팔공산 영산재의 온전한 보존과 계승을 위해 주력해야 할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밀양지역에 전승되는 팔공산제 범패의 계보 조사기
Ⅲ. 밀양의 팔공산제 범패 계보 및 표충사제 범패의 계보
Ⅳ. 밀양에 전승되는 팔공산제 영산재의 의식절차 및 의식내용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