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7세기 이후 현악보허자의 리듬변천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nges of Boheoja 步虛子’s Rhythm Since 17C

문숙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studies the process of Boheoja’s rhythmic changes since 17C. It examines Boheoja’s rhythms in its old music scores by analyzing them from the older to the newer. Then we examine the changes of Jangdan 長短, how to write the rhythms, and how to play MunHyun 文絃. With these results, we also analyze the music score of Sogakwonbo 俗樂源譜 Boheoja’s string part, which is now in dispute. Boheoja’s music scores of 17C and 18C were written in the measure unit, and Boheoja’s rhythm was changed by expanding its measure since 17C.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measure rather than the standard beat. Boheoja’s rhythm had been expanded in every century until 19C. One measure of 16C Boheoja consists of four beats, each beat consisting of three smaller beats. In 17C, a measure of 16C Boheoja was expanded to four measures, each measure consisting of three beats. In 18C, a measure of three beats of 17C was expanded to a measure of five beats. In 19C, a measure of five beats of 18C was expanded to a measure of ten beats. In each generation, however, not all of Boheoja’s rhythm was expanded, but some of it remained as before. Since the tempo slowed down as the rhythm was expanded, MunHyun began to be played with a full beat from 18C, while it was played just as a grace note before. From 17C to 19C Boheoja’s Jangdan was not written in the music scores, but it could be traced out through the rhythmic changes. 17C Boheoja’s Jangdan of three beats is Dodeuri Jangdan, 18C Boheoja’s Jangdan of five beats is Seryeongsan 細靈山 Jangdan, and 19C Boheoja’s Jangdan of ten beats is Sangryeongsan 上靈山 Jangdan. These rhythms and Jangdans can be confirmed by present Boheoja’s music scores. Sogakwonbo Boheoja’s string part is examined in comparison with Boheoja’s rhythmic changes. One column of Sogakwonbo Boheoja’s string part consists of twenty Jeonggans 井間 which are divided into six Daegangs 大綱. This column contains four measures of 17C Boheoja, but the twenty Jeonggans which are divided into six Daegangs do not match the four measures of three beats. And the column of twenty Jeonggans does not match rhythmically the twenty beats of Sangryeongsan 上靈山 Jangdan, either.

한국어

본 연구는 고려시대에 들어온 보허자가 정간이 그려져 있지 않은 17, 18세기 고악보를 거쳐 현행 보허사로 정착되기까지 그 리듬이 변천되는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보허자의 각 변화단계를 대표하는 고악보를 선택하여 앞 세대의 리듬을 근거로 하여 뒷 세대의 리듬을 파악하였고, 이 과정을 통해 17세기 이후 보허자의 장단변화와 보허자를 싣고 있는 각 고악보의 리듬표기법 그리고 문현주법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재 논란 가운데 있는 ꡔ속악원보ꡕ 지편의 보허자 현보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17, 18세기 보허자의 악보는 마디를 단위로 하여 기록되어 있고, 17세기 이후 보허자의 리듬 변천은 리듬단위인 마디의 확대를 통해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본박보다는 먼저 마디를 찾고, 마디가 확대되며 변화되는 것을 살펴보았다. 보허자의 리듬은 19세기까지 한 세기를 단위로 하여 확대된다. 16세기의 3소박 4박자는 17세기에 3박자 4마디로 변하고, 17세기의 3박자는 18세기에 5박자로 변하고, 18세기의 5박자는 19세기에 10박자로 변한다. 그러나 각 시대 보허자의 리듬이 모두 확대되지는 않고 일부분은 그대로 남는다. 이렇게 리듬이 확대되며 템포가 느려짐에 따라 18세기부터는 한 번만에 연주하던 문현주법을 두 번에 나누어서 연주하기도 한다. 17세기 이후 보허자의 장단은 악보에 전혀 기보되어 있지 않으나 보허자의 시대별 리듬변화를 통해 살펴보았다. 17세기 3박자로 된 보허자의 장단은 한 장단 6박인 도드리장단으로 볼 수 있고, 18세기 5박자로 된 보허자의 장단은 한 장단 10박인 세령산장단으로 볼 수 있으며, 19세기 10박자로 된 보허자의 장단은 한 장단 20박인 상령산장단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고악보 보허자의 리듬과 장단은 현행의 악곡들을 통해 확인된다. ꡔ속악원보ꡕ 지편 보허자 현보를 보허자의 리듬변천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이 악보의 한 행은 20정간 6대강으로 되어 있는데, 그 20정간에는 17세기 보허자의 4마디가 들어 있다. 그런데 ꡔ속악원보ꡕ 20정간 6대강은 17세기 보허자의 3박자 4마디와 전혀 맞지 않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한 행 20정간 6대강은 현행 한 장단 20박과도 리듬적으로 맞지 않는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신증가령』 보허자의 리듬과 장단
 Ⅲ. 『한금신보』 보허자의 리듬과 장단
 Ⅳ. 『삼죽금보』 보허사의 리듬과 장단
 Ⅴ. 『속악원보』 지편 보허자 현보의 리듬과 장단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문숙희 Moon, Sukhie.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