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ㆍ중 수륙법회 연구 - 대만 가오슝 포광산사 수륙법회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Korean and Chinese Suryukbeophoe(水陸法會)

윤소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clear that “Suryuguigwe(水陸儀軌)” at the Bulgwangsan(佛光山) in Taiwan has created by the monk Ju Goeng(珠宏) of Ching Dynasty, who has also created same kind of ceremony in Beijing China. This shows strong evidence that “Suryuguigwe” of the Bulgwangsan has its legimate root from those of China. We still need to research further on thethat this particular ceremony at the Bulgwangsan is usually participated with more than two thousands of people in temperance which we were not yet sure whether it has any connection with that of Chinese original format of ceremony. On the contrary, the Buddhist ceremony of Korea, “Yeongsanjae(靈山齋)” usually treated as somewhat more focused on its artistic andcultural treasury asset rather than gathering people around for the religious purpose and make them participate in.In this matter, the way that the Taiwanese Buddhist ceremony performed shows more cardinal virtue of the Buddhism and its religious ceremony of how its practices should be performed and maintained, and how they should approach and connect the masses. “Surukbeopheo(水陸法會)” not only contains the literary merit but also the philosophy and the cosmology of Buddhism which are performed in musically. Therefore, these types of ceremony has great importancy in its musical aspects. One cannot look pass on the fact that they also contain artistic objects such as drawings and decorations for the inner altar of the temple. It also has strong theatrical merits that used to heal the participants of the ceremony which plays the role to cleanse the society spiritually. It is same that the inner altar of the “Surukbeopheo” and the yare of “Yeongsanjae(掛佛移運)” happens another place from Original sermon hall but exact place and the format it has performed is a differ from each other. Also, contrary from the Korea’s Buddhist religious practices, there are no professional monks who trained to perform the dances and music(Beompae) in Taiwanese Buddhism. Further researches need to be done to find out the historical correlations and transition of all around of Asia’s Buddhism and its religious practices.

한국어

본고의 연구를 통하여 대만 포광산수륙법회의궤는 북경에서와 같이 청대의 주굉(珠宏)에 의해 창제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로 인하여 포광산수륙법회가 중국 정통성의 맥을 잇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2천여 명이 넘는 대중이 한치의 흐트러짐 없이 절제된 의식을 치루는 것이 중국 고제의 원형과 똑같지는 않으리라고 생각되므로 이 방면의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은 조선시대의 억불정책으로 인하여 국행으로 행하던 수륙재가 폐지되고 민간의 무속과 어울려 용왕재나 물가에서 행하는 천도재와 같은 형태로 전락하였지만 󰡔석문의범󰡕의 수륙재 의문은 대만의 수륙 내단 의궤와 같은 내용과 절차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륙재와 같이 예능적 요소가 많은 한국의 영산재가 전문승려들에 의해서만 범패가 불리므로 대중의 이해와 동참이 어렵고 문화재로서의 가치에 치우친 점에 비해 대만 수륙법회는대부분의 범패를 일반 대중과 승려가 함께 노래하거나 주고받음으로써 의례의 종교적 덕목이 충실히 이행되고 있다. 대만의 수륙법회는 내단과 외단으로 형성되는데 외단은 연중 행해지는 모든 법회를 여러 공간에서 동시에 행함으로써 사실상 수륙법회는 모든 의례의 총집합인 셈이다. 외단은 내단을 호위하고 서로 상호작용하는데, 외단은 주로 해당 경전을 송경하고 내단은 대부분의 의례진행을 노래로써 행하고 그 내용은 불보살과 영가들을 초청하여 산화의식과 공양의식이 행해져서 한국 󰡔석문의범󰡕의 ‘수륙의문’의 절차와 거의 같은 순맥락을 지니고 있고, 이는 영산재의 내용과도 상통하는 점이 많다. 수륙의궤는 문학적 가치 뿐 아니라 불교의 철학과 우주관을 체계적으로 표현하고 있고, 이들은 노래로 불리어져 음악적 요소가 풍부하다. 이와 더불어 수륙화와 내단을 장식한 공예작품, 진행상의 연극적 요소는 문화적 가치 뿐 아니라 사회정화의 기능도 있다. 한편 대만의 수륙 내단과 한국의 수륙재와 영산재가 법당이 아닌 별도의 공간에서 행하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그 차이점은 대만은 실내 객단에서, 한국은 마당에서 행하는 것이다. 수륙도량의 장식을 보면 대만은 수륙법회에 초청되는 불․보살과 지옥 영혼들을 그린 수륙화가 걸리는데 비하여 한국은 한 폭의 괘불을 밖으로 내어 건다. 따라서 수륙재가 중국으로부터 왔지만 사찰마당에서 행하고, 괘불을 내어 거는 것은 사원 마당에 탕가를 걸고 의식을 행하는 티벳과 상통하는 점이 많다. 또한 대만은 한국영산재의 바깥채비와 같은 전문 범패승과 무용이 없다. 이상의 제반 사항들을 볼 때 한국의 불교 악가무에 대하여 중국에서 들어온 의식이라 할지라도 무용과 음악 등의 실행에 있어 차이가 있으므로 앞으로 티벳, 몽고까지 확대한 폭넓은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수륙법회의 기원과 전개
 Ⅲ. 대만 포광산사 만연(萬緣)수륙법회
 Ⅳ. 대만 수륙법회의 의례적 기능과 미적세계
 Ⅴ. 한국의 수륙재와 대만의 수륙법회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소희 Yoon So-hee. 부산대학교 및 동국대학교 출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