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6세기 이전 보허자의 리듬변천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nges of Boheoja 步虛子's Rhythm

문숙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studies the changes of Boheoja 步虛子 which came to Korea at Goryeo dynasty and it examines the process of Boheoja 步虛子’s changes between 15C and 16C by analyzing its old music scores. First, we discover the rhythms by analyzing the old music scores from the musical point of view. Then we find the duration length of Jeonggan 井間 of Jeongganbo 井間譜 by analyzing the mensural notation of each music score. For rhythms, we first find out a standard beat from the music score and then look for a measure. We also discover the smaller beats which constitutes one standard beat. One standard beat is defined as one unit where one Janggo 杖鼓’s touch is done and which has mostly one tone, because the melodies of Boheoja 步虛子 are simple. One measure which consists of standard beats is examined by an accent. Consequently, the rhythm of 15C Boheoja 步虛子 is 8/4, one letter of the lyrics is put in two standard beats and four letters are in one measure. One standard beat consists of two smaller beats. In 16C, the smaller beat slows down into one standard beat. Eight standard beats which constitute one measure are doubled into 16 standard beats and cannot become a measure any more. Two beats which have one letter of the lyrics become four beats and they make one measure. One standard beat consists of three smaller beats, which means that Boheoja 步虛子’s Chinese style has changed into Korean style. The rhythm of 16C Boheoja 步虛子 is 4/󰁜 or 12/8. The mensural notations are different in the old music scores. In Sogagwonbo 俗樂原譜 Nagyangchun 洛陽春 whose Jangdan is the same as that of 15C Boheoja 步虛子, two standard beats are written in one column, and one standard beat consists of two smaller beats. In 16C Daeakhubo 大樂後譜 Boheoja 步虛子, four standard beats are written in one column. One standard beat of it consists of three smaller beats. In 16C Geumhapjabo 琴合字譜 Boheoja 步虛子, six standard beats are written in one column and one standard beat consists of three smaller beats. The smaller beats of each music score are shown in their mensural notations. Finally, it turns out that the mensural notations of the music scor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lmost all information about their rhythms are enclosed in them.

한국어

본 연구는 고악보를 분석하여 고려시대에 들어온 보허자가 15C를 거쳐 16C로 변천되는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먼저 고악보를 음악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여 각 고악보에 담겨 있는 보허자의 리듬을 파악하고, 정간보를 분석하여 각 고악보의 정간 시가를 파악하였다. 리듬에서는 먼저 악보를 통해 그 악보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본박을 찾은 다음 박자를 살펴보았다. 또 각 정간보의 내용을 통해 그 기본박이 몇 개의 소박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고악보 성악곡의 선율이 비교적 단순하기 때문에 기본박은 대부분 한 음으로 되어 있는 한 개의 장고점 단위로 보았다. 기본박이 모여 구성하는 박자는 서양음악의 마디에 해당함으로 악센트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15C 보허자는 8/4박자로 되어 있었는데, 가사 한 글자는 두 박이 되고 한 마디는 네 글자에 해당된다. 그리고 한 박은 두 개의 소박을 갖는다. 16C에는 이 보허자의 소박이 기본박으로 변한다. 8박자였던 한 마디는 두 배로 불어나서 16박이 되어 마디가 되지 못하고, 한 글자를 구성하던 두 박이 네 박으로 되어 마디를 구성한다. 기본박은 이전과는 달리 3소박을 갖게 되는데, 이것은 보허자가 향악화 된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16C 보허자의 박자는 3소박 4박자가 되어 4/󰁜또는 12/8로 표시된다. 보허자가 담겨 있는 각 고악보의 정간 기보체제는 악보에 따라 다르게 되어 있다. 15C 보허자와 장단이 같은 󰡔속악원보󰡕 권4의 낙양춘에서 한 행은 두 박을 싣고 있고, 한 박은 2소박으로 되어 있다. 16C의 󰡔대악후보󰡕보허자에서는 한 행이 네 박을 싣고 있고, 한 박은 3소박으로 되어 있다. 또 16C의 󰡔금합자보󰡕 보허자에서는 한 행이 여섯 박을 싣고 있고, 한 박은 3소박으로 되어 있다. 각 고악보의 기본박을 이루는 소박은 그 고악보의 정간 기보체제에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각 고악보의 정간 기보체제는 서로 다르게 되어 있으면서, 그 속에 리듬의 모든 것을 담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세종시대 보허자의 장단과 리듬
 Ⅲ. 『대악후보』 보허자의 장단과 리듬
 Ⅳ. 『금합자보』 보허자의 장단과 리듬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문숙희 Moon Suk-hie.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