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읍(井邑)의 창작시기와 전승과정

원문정보

The creation time of Cheongeupsa and transmission process of Cheongeup

임미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any debates are still going on concerning the date of formation in the case of Jeongeupsa. Whereas many scholars consider it to be the song of the Kingdom of Paekjae, but others still insist that it has originated from the Kingdom of Koryeo. Although there are still several doubtful points on the historical date of the Jeongeupsa, I made the conclusion about the transmission process of the Jeongeupsa as below, based on the several research results up to now. The Jeongeupsa had been transmitted to Koryeo from the Paekjae, but almost recreated during the transmission process. Therefore, the Jeongeupsa, written in the Akji of Koryesa, should be regarded as the newly created song and then it was later accommodated into the changsa. In a word, Jeongeupsa was already existed without any relation to the changsa in the Kingdom of Paekjae but later adopted as a changsa in the Kingdom of koryeo when the mugo Jeongjae was invented. Since then, it had been settled down as one of several important performance repertoires in the court until the early Joseon Dynasty. During such process, the Jeongeupsa was also adopted to other court dance as accompanied music and so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Jeongeup became an instrumental piece and was called as it’s other name, Sujecheon, especiall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is time, the performance style of this music had been also changed. So it was performed in the form of wind ensemble of samhyeon yukgak, whereas it was usually performed in the form of wind and string ensemble during the previous era. Although the piece, Jeongeup, has a very long history, it is now called as Sujecheon. The reason is because people were used to call the second name in the early 20th century. However, such convention is not correct. Therefore, the original correct title, Jengeup, should be used at present instead of the second title, Sujecheon, since Jeongeup was continuously used in Korea up to the early 20th century.

한국어

정읍의 창작시기에 대한 문제는 현재에도 백제가요설과 고려가요설로 대립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고에서는 그간의 연구성과를 검토하여 정읍이 창작되는 과정을 도출하고, 그것이 고려시대~조선조를 거쳐 현재 수제천으로 전승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정읍은 예전 백제 땅에서 불렸던 노래가 구전되어 고려시대에 재창작된 것으로 추정되므로 그 원류 를 백제의 노래로 간주할 가능성은 유효하다. 그런 관점에서 고려사 악지 에 전하는 정읍은 고려시 대에 재창작된 노래를 창사로 수용한 것으로 간주된다. 요컨대 고려시대 이전에 정읍은 정재와 무관하 게 노래로서 이미 존재하였고, 이후 고려시대에 무고정재가 창제될 때에 그것이 창사로 채택되었다. 정읍은 망부석의 전설과 관련된 백제의 노래가 고려시대에 재창작되어 무고정재의 창사로 수용된 후, 그 정재의 규모가 확대되어 조선 전기에 궁중의 주요 연행물로 정착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정읍 은 무고정재 이외 다른 정재의 반주악과 창사로도 채용되었다. 조선 전기까지 정읍사를 노래하던 정읍은 조선 후기에 이르러 기악곡화 되었으며, 순조대부터 속명 (俗名) 대신 몇몇 아명을 붙여 사용하기 시작하다 일제강점기에 수제천으로 고정되었다. 이 시기에 정 읍의 연주관행에도 변화가 생겨, 조선조에 관현합주로 연주되던 관행과 달리 삼현육각의 관악합주 형 태로 변모되어 현행으로 이어지고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정읍의 창작시기
 Ⅲ. 정읍의 전승과정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미선 Lim Mi-sun. 전북대학교 한국음악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