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향토민요 <길군악> 연구 -전라도와 경상도 일부지역에서 전승된 소리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raditional local folk song Gilgunak

손인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traditional local folk song Gilgunak, which is discovered mainly in some parts of the Jeonra and Gyeungsang provinces, have thus far been perceived as a traditional local folk song because of its regional distribution. The author noticed that Gilgunak featured the typical musical language of Gyeonggi province and had scattered regional distribution in contrast with that of the typical songs of the working class, thereby raising doubts about the existing hypothesis and re-examined the true genesis of this piece. This song has three distinct versions, based on the melody and text. Even though they have some differing characteristics, they also share the following features: the common refrains, lyrical theme, as well as the time, rhythm and mode of the music. In all three versions, there are common refrains which employ oral sounds such as Eulssigu or Chihwaja (how joyful!). The content of the text usually deals not with the prayer for a good harvest and efforts of labor like the typical folk marching songs, but with love or vulgar immoral talk regarding a lover. The folk marching songs used to be sung by the farmers marching along the road after finishing their work. Also the time and rhythm of these songs consist of three beats and semachi jangdan. The tori, a mode commonly used in folk songs, is composed of Gyeongtori, much like the typical Gyeonggi standing songs for entertainment, a lively and moderately fast tempo is very notable in these songs. They all belong to the Gyeonggi musical style, even though they are distributed in some parts of the Jeonra and Gyeungsang provinces. In this research, given the love centered theme and the playful text as opposed to the typical folk marching songs; the similar refrains to some of the present Gyeonggi standing songs; musical idiom featuring the musical langage of Gyeonggi Province; its scattered regional distribution; its associations with the Sadangpae (the typical performing troupes) songs; the conditions that point away from the Gilgunak’s folk song origins, and the similar musical characteristics to Sadangpae’s Gilgunak found in Jeju Island, we verify that the local folk song Gilgunak was transmitted from Sadangpae’s Gilgunak, a highly popular piece by this group, into a folk song.

한국어

전라도를 중심으로 경상도 일부 지역에서 전승된 향토민요 <길군악>은 지금까지 주요 지역 분포로 인해 해당 지역의 전래 향토민요로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본고는 여느 해당지역 향토민요와는 다른 특 징을 통해 기존 설에 강한 의구심을 갖고, <길군악>의 특징을 면밀히 살펴 그 유래를 재검토해 보았다. 향토민요 <길군악>은 곡조 및 사설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이 된다. 이들은 비록 그 특징이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서로 공통되는 특징이 많은 사실이 확인된다. 먼저 사설부터 살펴보면, 후렴구는 대부분 신명이 반영된 구음과 ‘얼씨구나’, 또는 ‘지화자 좋다’를 골조로 한다. 독창은 대부분 풍장소리로 불렸음에도 불구하고, 풍농의 기원 또는 농사의 수고보다는 사랑, 임에 대한 유희적 사설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면 모두 3소박 3박자의 세마치장단에 경토리 계통으로 되어있고, 밝고 경쾌한 리듬이 많이 나타난다. 즉 이들은 모두 경기음악어법이 주를 이루며, 소위 경쾌 한 입창의 특징이 잘 나타난다. 요컨대 향토민요 <길군악>은 여느 풍장소리와 달리 농사보다는 사랑 및 임에 대한 유희적 사설이 더 많이 나타나는 점, 후렴구 사설이 현행 입창 <놀량>의 일부사설과 상당히 흡사한 점, 사당패소리의 대표 사설이 나타나는 점(제2형․제3형), 경기 음악어법으로 이루어진 점, 그리고 향토민요에 수용된 사 당패소리들처럼 산재된 지역 분포 양상, 사당패소리가 집중적으로 발견되는 지역에 주로 분포된 점, <길군악>이 본래 향토민요로 발생되지 않은 점, 제주도 사당패 <길군악>과 음악 특징이 흡사한 점 등을 근거로 볼 때, 해당지역의 고유 민요라기보다는 과거 사당패소리였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따라서 향토민요 <길군악>은 과거 사당패가 전파시킨 소리로 판단되며, 여느 사당패소리들처럼 전 국에 거쳐 전파되었겠지만, 전라도와 경상도일부지역에서는 지역 문화의 특수성에 힘입어 기층음악문 화로 깊이 수용되어 근자에까지 잘 전승된 것이라 볼 수 있겠다. 그리고 이 소리는 사설 및 음악 특징 을 볼 때 사당패소리 중에서 길소리에 해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향토민요 〈길군악〉의 특징
 Ⅲ. 향토민요 〈길군악〉의 음악적 유래
 Ⅳ. 맺음말
 <참고문헌>
 <참고악보>
 Abstract

저자정보

  • 손인애 Son In-ea. 서울대학교 한국음악학 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