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충남 내포 지역의 앉은굿 음악 연구 -태안 지역 장세일 법사의 안택굿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Musical Study of an Exorcism called “Aneungut” in the areaof Nae Po of Chung Nam Province -Focused on Antaekgut of Popsa (a man managing Aneungut) called Jang Sae Ill of Tae Ahn Area-

박혜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n exorcism called Aneungut is a basic kind of the korea traditional religious ceremonies which a Popsa calls Sinjang and exorcises one through sutra-chanting to solve various problems of a person, family, and village. A Popsa who conducts “Aneungut” recites a pertinent sutra with wearing his ceremonial dress formally and his hands hitting a drum(or a korean hourglass drum) and a small gong(or a gong and a brass basin). There is difference between Aneungut and Seongut in that a exorcist who conducts an exorcism called “Seongut” leads these courses with wearing a flamboyant dress and dancing and singing Aneungut was a kind of an exorcism conducted in the whole area of korea from a long time ago and Choongchung is an area where Aneungut is more frequently performed than Seongut because of several causes. Concentration of Aneungut in the area of Choongchung is the most noticeable characteristic of a traditional religious ceremony till now although the aspects of today’s steps and ways in conducting Aneungut are somewhat different from old times. The target area of this study is situated in Nae Po of Choongnam Province and the target kind in this study of exorcism ceremonies is “Antaekgut” among Taeahn’s Aneunguts, where one of three Popsa having the title of “An Intangible Iultural Treasure” in korea is acting. Difference between a musical characteristic of Aneungut’s sultra-chanting of Nae Po of Choongnam focused on Jang Sae Ill Popsa’s Antaekgut, who has the title of “ChoongNam Provinc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24” and the musical chracteristic of Aneungut of a Popsa “Sin Seok-Bong” of Daejeon area, whose study was conducted formerly by the writer myself may be defined as follows. If we widely enumerate the sultra of Anteakgut of Taeahn recited according to the ritual step, we can list ‘Bujeongkyoung’ started from a chicken, ‘Jowangkyung’ from a main room, ‘Sungjookyung’, ‘Josangyung’, and finally ‘Tyesinkyng’ from a yard. Such a step of sultra-chanting is the same as that of Daejeon’s Ahntaek. But we examine the sultra in full detail, we can find the different course in Taeahn from Daejeon of the inland area. This difference of Taeahn is that whenwe conduct ‘Sungjoodaegarreum’ prostrating himself, we decide ‘Jeesinjae’ and ‘Yongwangjae’. Whereas he uses a small gong and a gong in the course of sultra-chanting and the pausing part like that of Daejeon, a Popsa of Taeahn calls a gong a brass basin. Whereas a main rhythm of Daejeon is made up of a 3 small beat and 8 beat along with a 3 small beat and 4 beat, a 6 beat, and a 7 beat, Anteakgut of Taeahn is composed of a 3 small beat and 4 beat, a 5 beat, a 6 beat, a 7 beat, a 8 beat, and a 9 beat of two main rhythms of an irregular beat along with a 2 small beat and 4 beat. Although they are all made up of a form of one paragraph, in the speed of a sultra-chanting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Daejeon’s sultra is composed of slow-average-fast and Taeahn’s one is made up of slow-fast-average. In the tone structure, the sultra-chanting of Daejeon’s Anteakgut shows Menaritori mode’s chanting of mi-la-do'-re' but that of Taeahn shows the characteristic of chanting of Kyeongtori mode’s chanting of sol-la-do'-re'-mi'(fa'). In the style of the text of a song, Daejeon uses a way to belong a word to a sound and a word to several sounds and a syncopation, but Taeahn uses only a way of a syncopation. In the speed of an entire sultra-chanting whereas in Daejeon a sultra is recited in the form of various speeds of M. M.=116-184, in Taeahn that is conducted in a more slowly recited form of slow M. M. =92-104 and in the form of more narrow width in speed than Daejeon. Those Popsas say that it is derived from the fact that the speed of languages of Taeahn is used more slowly thanthat of other places.

한국어

앉은굿은 한국 무속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무(巫)의 한 형태로, 법사(法師)가 독경(讀經)을 통해서 신장을 불러내고 잡귀를 구축(拘縮)하여 개인․가정․마을의 제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행하는 굿 이다. 앉은굿의 연행자인 법사는 의관을 정제하고 북(혹은 장구)과 꽹과리(혹은 징 또는 양푼)를 두드리며 해당 경문을 구송하는데, 이는 선굿 무당들이 화려한 의상을 갖추어 입고 춤과 노래로 굿을 진행하는 것과는 다르다. 앉은굿은 예로부터 우리나라 전역에서 나타나는 굿의 한 형태인데, 특히 충청 지역은 여러가지 이유 등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선굿보다는 앉은굿이 성행하던 지역이다. 물론 앉은굿의 절차와 연행 방법 등에 있어서 예전과는 다소의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연구 결과 충청 지역의 앉은굿 집중 현상은, 현재 까지도 가장 대표적인 충청도 무속의 모습으로 드러났다. 이 글의 연구 대상 지역은 충남 내포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국에 세 명의 무형문화재 앉은굿 보유자 중의 한 법사가 활동하고 있는 태안 지역의 앉은굿 중 안택굿이다.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4호 설위 설경 예능보유자’인 장세일 법사의 안택굿을 중심으로 충남 내포 지역 앉은굿 독경의 음악적 특징과 기 연구된 필자의 대전 지역 신석봉 법사의 앉은굿 음악의 특징을 간단히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태안의 안택굿은 의식 절차에 따라 구송(口誦)되는 경문을 큰 틀 내에서 열거해 보면, 부엌의 ‘부정 경’으로부터 시작하여, 안방의 ‘조왕경’, ‘성주경’, ‘조상경’, 그리고 끝으로 마당에서의 ‘퇴신경’이다. 이 와 같은 독경 순서는 대전의 안택 절차와 동일하다. 하지만 상세 독경 절차로 들어가면, 태안 지역에서 는 내륙의 대전과 다른 절차가 보이는데, 이는 ‘성주대가름’ 시(時) 성주신에게 문복하여 ‘지신제’, ‘용 왕제’ 등의 여부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독경 시와 휴지부에서 사용하는 악기로는 대전과 마찬가지로 장구와 꽹과리를 사용하고 있지만, 꽹 과리를 태안의 법사는 양푼이라고 부르고 있다. 중심 장단은 대전에서는 3소박 8박이 주를 이루고 간혹 3소박 4박, 6박, 7박이 등장하지만, 태안의 안택에서는 3소박 8박과 3소박 4박, 5박, 6박, 7박, 8박, 9박의 불규칙박의 두 장단형이 주를 이루고 2소 박 4박도 간혹 나타난다. 두 지역 모두 통절형식으로 구성되지만, 안택 전반에 구송되는 독경의 빠르기에 있어서는 대전은 느 림-보통-빠름의 형식을 태안은 느림-빠름-느림의 세틀형식을 이루고 있다. 음조직은 대전의 안택 독경은 mi-la-do'-re'의 메나리토리 선법을 보이는 반면, 태안은 sol-la-do'-re' -mi'(fa')의 경토리 선법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가사붙임의 형식은 대전은 일자일음(一字一音)과 일자다음(一字多音) 그리고 신코페이션(syncopation)인 반면 태안은 일자다음과 신코페이션 형식만 보이고 있다. 독경 전반에 걸친 빠르기에 있어서, 대전은 M. M. ♩.=116-184의 다양한 빠르기로 구송되는 반면 태 안은 대전에 비해 비교적 그 빠르기의 폭도 좁으며 느린 M. M. ♩.=92-104이다. 이는 태안 지역의 언어 가 충청 타 지역에 비해 느린데서 연유한 것으로 그 지역 법사들은 말하고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태안 지역 안택굿의 기본 절차와 경문
 Ⅲ. 장세일 법사의 안택굿 음악 분석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혜정 Park Hye-jeong. 백제예술대학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