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후기 지방 군영 취타악대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Local Military Camp Chwita Ba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이숙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a limit to Chwigosu type Chwita music band,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size, characteristics and musical activities of Chwita music band, and to articulate the significance of local military camp music band in music history. As a whole, records regarding local military camp music band were general and lacking in detail which prevented revealing exact information on Chwita music band but the following information could be gathered: Chungcheong Province had the least distribution of Chwita Band and Jeolla Province had the most distribution. In terms of the number of members, it ranged from 1 member to 314 members. The number of musical instruments used and the names of the musical instrument were different by regions. In addition, various names were used for the band. Although Chwita Band was distributed to about 32% of regions, one of its characteristics is that their size, names of bands, and systems were inconsistent. Local military camp Chwita Band was part of both the military camp as well as the government offices. The main reason for this seems to be that some Chwita Band played the role of naechwi for the Royal Court. There are two types of local military camp Chwita Band which are Chwigosu type and Chwisu type. Chwisu is a subconcept with a limitation to wind instrument players and Chwigosu type is the higher concept which refers all Chwita Band including the Chwisu type. Chwita Band players were of lower class and were responsible for both playing the music and running errands. Some were paid and others were not paid. Chwita Band contains the significance in musical history for its role in creating new music culture as it was responsible for music of regional government and public office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first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military camp music bands.

한국어

이 논문은 지방 군영 악대 중 취고수 계통 취타악대에 한정하여 여지도서사찬읍지한국근대읍지의 기록을 중심으로 그 분포와 규모, 취타악대의 성격, 음악활동을 살펴 지방 군영 악대의 음악사적 의의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여지도서사찬읍지한국근대읍지에 기록된 내용만으로 지방 군영 취타악대의 성격을 단정적으로 규정하기는 어려우나, 대개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취타악대의 분포 지역은 충청도가 가장 적고 전라도가 가장 많으며, 그 숫자는 가장 적은 경우 한 명이고 가장 많은 경우 314명이었다. 모든 군영악대가 취타악기를 사용한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사용한 악기의 종류와 숫자는 지역마다 다르며, 같은 계통의 악기에 대한 명칭도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또 악대의 명칭도 여러 가지로 사용되었다. 이와같이 조선후기 지방 군영 취타악대는 전국적으로 약 32% 정도 분포되어 있었으나, 규모나 악대와 악기의 명칭 등 그 체제가 일정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이와같은 현상은 취타악대가 속해 있던 속오군이 임기응변의 비상조처로 생긴 점, 조선전기부터 전승되는 군영 음악 연주 제도와 조선후기에 도입된 새로운 취타악대 제도가 혼합된 점, 군영 취타악대 제도와 관아 취타악대 제도가 구분되지 않은 점에 기인한다고 본다. 지방군영 취타악대의 명칭은 지역별로 특정 명칭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고, 취고수 계열과 취수 계열의 두 종류로 구분되었다. 취수 계열은 관아 소속 악대의 명칭으로, 취고수 계열은 군영 소속 악대의 명칭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고, 전반적으로는 취수 계열은 관악기 연주자만을 한정해서 지칭하는 하위 개념으로, 취고수 계열은 취수를 포함한 취타악대 전체를 지칭하는 상위개념으로 해석되었다. 지방 군영의 취타악대는 군영에만 속해 있는 것이 아니라 관아에도 속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지방 취타악대가 궁중의 내취 기능도 겸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취타악대의 연주자는 신분이 높지 않았으며, 연주와 심부름을 겸하거나 연주와 군역을 겸하는 경우, 잡역을 담당하는 경우가 있었고, 보수를 받는 경우와 받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이상과 같은 특징을 가진 지방 군영의 취타악대는 조선후기 지방 관공서 음악의 한 축을 담당하여 새로운 지방 음악 문화를 창출한 점에서 음악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즉 지방 군영 취타악대로 인해 각 지방에 새로운 음악문화가 형성되는 계기가 마련되었고, 특히 규모의 크기와는 관계없이 취타악대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음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동일한 음악문화를 공유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은 지방 군영 취타악대의 전반적 성격을 처음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본론
  1. 취타악대의 분포와 규모
  2. 취타악대의 성격
  3. 취타악기와 음악활동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숙희 Lee Suk-hui. 국립남도국악원 학예연구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