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가곡(歌曲) 지도내용 고찰

원문정보

Exploring the Approaches to Singing Gagok of the Music Textbooks of Secondary Schools

허선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07, the music textbooks of secondary schools have added gagok to their singing units. Accordingly, this study has investigated, music textbooks based on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09, which was published regardless of grade levels in 2012. The books, a total of 17 species have compiled of gagok(歌曲) along with their relevant information. Since these textbooks apply a variety of the content and configur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these same songs, their approaches can affect the result and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songs. Also, a variety of the integrated activities or creative pedagogy including singing, listening, and creation of the songs can determine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se approaches. Through examining the contents and approaches of gagok in 17 music textbooks, this study has proposed effective and systematic methods for teaching and learning the songs as follows. First, the music term of gagok in the textbooks has been used as its incorporation with the western style song. Thus, it is necessary to clearly describe the concept of gagok in the textbooks. Second, after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songs, it will be more effective and helpful for students to sing gagok. Third, since the music textbooks have listed about six songs from within the total repertoires of gagok,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gagok songs as the repertoire for the secondary students. Fourth,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the music curriculum and textbooks, there needs to be developed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dealing with the cultural differences of various songs such as sijo, gagok, and folk songs using the same lyric. Fifth, the effective notation and the use of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at every stage need to be developed. Sixth, gagok should be regarded as a valuable group of songs with their own mus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emotional and cultural sensitivity. Seventh, since the current music textbooks only include the first chapter of gagok, the scope of this song needs to be gradually increased in the books. The application of gagok to school education, to music programs and to the utilization of textbooks is most important. This study expects there to be more studies regarding these songs and for their approaches to increase in school music textbooks.

한국어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이후로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가곡 초장 부르기가 추가되어, 가곡은 듣는 노래에서 부르는 노래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라 2012년에 학년의 구분 없이 편찬된 중학교 음악교과서 총 17종에 수록된 가곡(歌曲) 관련 내용을 고찰하여 보았다. 왜냐하면, 이러한 같은 주제에 대해 다양한 교과서의 내용 및 구성이 교수학습의 성과와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가창, 감상, 창작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한 가곡(歌曲)의 통합적 지도법이 교수학습 과정의 성패를 결정지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분석을 통해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가곡 교수법을 위해 교과서의 내용 구성 및 지도법을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현재 음악교과서에서 혼용되고 있는 가곡의 용어에 대한 개념을 우선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학생들에게 가곡 가창을 지도할 때, 먼저 이 음악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에 대해 이해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현재 중학교 음악교과서에서 가곡은 약 6곡 정도가 제재곡으로 수록되어있지만, 앞으로 더 다양한 제재곡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넷째, 시조시를 제재곡으로 하는 민요와 시조, 가곡이 불려진 문화적 배경의 차이와 그 음악적 특징을 비교해보는 등 교육과정의 재구성을 통해 다양한 교수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가곡 가창 수업을 위한 단계별로 정확한 교육용 악보의 개발과 각 단계에 적합한 교수법의 활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여섯째, 가곡을 우수한 음악문화로써의 가치뿐 아니라, 학생들의 정서와 문화적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제재곡으로 다루어야 할 것이다. 일곱째, 가창 제재곡으로 가곡(歌曲)의 초장만 부르기가 추가된 것으로 만족할 것이 아니라, 앞으로 배우는 범위를 점차 늘려가야 할 것이다. 가곡(歌曲)을 학교 교육에 적용함에 있어, 음악교과서의 활용도와 중요도가 매우 높아졌다. 음악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체계적이고도 효율적인 가곡 가창을 습득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음악교과서의 가곡 관련 내용 및 가창 교수법 개발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길 바란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가곡(歌曲) 지도내용 분석
 Ⅲ. 가곡(歌曲)의 지도내용 구성을 위한 제언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허선형 Heo, Seon Hyeong. 안양 신기중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