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가곡 작창 원리에 대한 소고-노랫말의 음보, 배자, 장단 점수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rinciple of Creating Gagok for Sin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s of Foot and Baeja and the Strike Numbers of Jangdan

변미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agok has been transmitted by thousands of lyrics from hundreds of a collection of its lyrics. Also, gagok is surely the representative genre of Korean literature and music fields. However, today, the transmission of the song has been short of the late of Chosun Dynasty. Thus, it is important to explore the principles of creating the songs for reviving gagok which has Korean cultural value. This study discovered one of the principles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numbers and foot [Sijo’s foot:音步] and baeja[排字:arrangement of words] and the strike numbers of jangdan. Moreover, through generalizing of the principle of creating gagok for singing, this paper explored to apply thousands of sijo to sing by the melodies of gagok, and search the direction of composing Korean vocal music. From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words and the strike numbers of jangdan, this study disclosed the regulation, speciality, and fixed form of each song and its chapter of gagok. Each song of gagok has total 12 feet. Each chapter of the song has the regular strike numbers of jangdan divided by the first-part[初頭 or 一刻] and the second-part[二頭], and the baeja has proved a fixed pattern. Additionally, singing gagok with the lyrics of many words has included a regular principle. As the numbers of words increase, the strike numbers of jangdan also increase, and for diversity and unity of the song, the added 10 strikes played only by 3 strikes & 7 strikes, or 5 strikes & 5 strikes. Conclusively, each song of gagok has the relation, regulation, and the diversity and unity of the song structured by the numbers of words and strike numbers of jangdan in the first-part and the second-part of each chapter. This fixed form could be applied as the principles and motivity of singing thousands of lyrics.

한국어

가곡은 오늘날 우리에게 수 백 편의 가집을 통해 수천편의 노랫말을 전해주고 있다. 가곡이라는 장르가 문학적인 면이나, 음악적인 면에서 우리 문화의 대표성을 지니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전승 측면에서 보면 조선 후기 사회 모습만도 못한 실정이다. 한국의 문화사적 가치가 있는 가곡을 살리는 방법은 가곡을 부를 수 있는 작창의 원리를 찾는 것이라 본다. 이에 본고에서는 남창가곡의 노랫말의 음보, 배자, 장단 점수와의 상관성 연구를 통하여 작창원리의 한 부분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가곡의 작창원리를 일반화하여 적용함으로써 이제까지 전승되고 있는 여러 가집에 수록된 수천편의 시조시를 가곡 창으로 재현은 물론 국악 성악의 작창법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가곡의 각 장의 음보수와 장단 점수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각 곡체별, 각 장별의 규칙성과 독자성, 정형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가곡 곡체별 기본 형태는 총 12음보로 음보 단위로 초두(일각)와 이두로 나누어 규칙적인 장단 점수를 지니고 있으며, 배자에도 정형성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긴 사설의 노랫말을 부를 경우에도 규칙적인 원리가 있었다. 즉 음보수 만큼 장단 점수가 늘어나며 다양성과 통일성을 주기 위해 10점을 3점과 7점, 5점과 5점으로만 변화를 주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각 곡체별 각 장별 초두(일각)와 이두에서 음보수와 장단 점수의 상관성, 규칙성, 가변성과 고정성 등이 가곡의 구조를 형성하고 있고, 이러한 정형성이 수많은 노래를 부를 수 있는 가곡 작창의 원리이며 원동력으로 작용하였을 것이라 본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노랫말의 음보, 배자, 장단 점수와의 상관성
 Ⅲ.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변미혜 Byun, Mihye. 한국교원대학교 음악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