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팔리어 송경 율조에 관한 연구 -미얀마 승단을 통하여-

원문정보

A study of the reciting melody of Buddhist sutra in Pali -Through Myanmar Buddhist Sangha-

윤소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 studied about the melody style of Pali Sutra on Myanmar Buddhist Sangha. Myanmar is bordered on the North West of India, so it had been greatly influenced by Buddhism in the early days and the people of the country have kept the original Buddhism. It is very similar to India in that it has three seasons in a year, the natural environment and especially the calender that is same as that of Buddha age. So it is accredited by the scholars of Buddhism studies that Myanmar Buddhism is very important so as to know about the origin of Buddhism and the culture. Sakyamuni spoke and taught in Pali that was the spoken language of Magada in the area of north India. After Buddha died, his disciples began to memorize the Buddha’s sermons in the form of a chant in unison and the chant became the Buddhist sutra. Originally there was not the letter of Pail language, so they should remembered only by the sound of pronunciation in Pali. Now there are 7 kinds of language of Pali sutra, Sinhalese, Myanmar,Khmer, Thai, Devanagari, Mongol and Roman through all of the world. Those Sutras were written in their own country letter as the Pali language sounds. In this Paper, I studied on the Roman Pali Sutra because that is the most wisely used in the world and recorded and analyzed it with three Sutras. The first one is 『The first sermon Sutra』 which is usually read by most of Buddhists in the beginning time to read Sutra. The second is 『PARITTA』 which is the most popular and loved Sutra in Myanmar, the last one is 『DHAMMAPADA』 which is arranged by Poetry. Through this study, I discovered that except the Gata poetry(伽陀,偈) of Dhammapada,all reciting tones are arranged with 2~3 or 3~4, and the melody is syllabic style, the rhythm is close texture. But the melody of 『DHAMMAPADA』 is more musical, some time the melodic interval is wider than the other common sutras. By this result, I knew Korean Yeumbul(reciting sutra and playing psalms․Anchebi Sori) is started from all the common Sutras and Korean Buddhist chants (Beompae․Baggathebi Sori) are originated from the melodies of the Poetry in sutra like 『DHAMMAPADA』. the melodies of the poetry in Buddhist Sutras in Pali was extended to be melismatic. Now I could to say that the Korean Buddhism chants have a thread of connection links from Pali Sutra reciting and they are originated from the original Buddhism Sutras in Pail language.

한국어

본고는 미얀마 승단의 팔리어 송경 율조를 통하여 범패의 성립 배경을 살펴보았다. 미얀마는 석가모니가 주로 활동한 동북인도와 국경을 접하고 있어 10세기 말 인도의 불교도들이 이민족의 잦은 침입과힌두교도들과의 충돌을 피하여 인접지역인 미얀마로 이주하였다. 이 곳은 일 년이 3계절로 인도와 유사한 자연환경에다 경전에서 나타내는 계절과 날짜를 셈하는 달력에 이르기까지 일치하는 점이 많아 불교학계로부터 초기불교 전통을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곳으로 인정받고 있다. 한편 미얀마는 군부정권으로 인하여 외부와의 교류가 활발하지 못하였는데 오히려 이러한 점이 승단의 계율과 초기 불교의 전통을 유지하는데 유리하게 작용하였다. 불교는 석가모니 입멸 후 스승의 말씀을 후세에 전하고자 하는 제자들이 성가모니의 설법의 내용를합송하여 구전으로 전하며 경전이 성립되었다. 석가모니는 당시 마가다지역의 속어인 ‘팔리어’로 설법하였으므로 초기 경전 또한 팔리어로써 암송되었다. 팔리어는 본래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각 나라마다자신들의 문자로 음사하여 문자로 표기하였다. 현재 통용되고 있는 팔리어 표기는 스리랑카어인 샹할레이즈(Sinhalese), 미얀마어(Myanmar), 동남아 몬족의 캄마어(Khmer), 태국어(Thai), 산스크리트어인 데바나가리어(Devanagari), 몽골어(Mongol), 그리고 영문자(Roman)의 7 가지다. 본고에서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로마나이즈 가사와 뜻을 병기하여 표준어 팔리어 송경 발음으로 낭송하고, 이를 채보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성취한 후 처음으로 설법한 『초전법륜경』, 미얀마 사람들에게 가장 널리 암송되는 『보호경』, 범패의 기원이 되는 가타(게송:詩體) 형식의 『법구경』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팔리어는 매우 축약적인 언어에다 성조에 따라 뜻이 달라 경전 독송에 수반되는 율조는 매우 중요하다. 이들 율조는 석가모니가 말하는 어투에 따라 9가지가 있다. 에세이나 이야기 식의 서술형으로 된‘숫다’, 법구경과 같이 시(詩) 형식으로 된 ‘가타’, ‘숫다’와 ‘가타’가 혼합되어 있는 ‘계야’, 문답식으로된 ‘위야가라나’, 감탄조의 ‘우다나’, “이렇게 말하였다”라는 조로 시작하는 ‘이띠 보타까’, 석가모니의전생이야기를 풀어가는 ‘쨔다까’, ‘대단하다’ ‘신기하다’와 같은 투로 표현되는 ‘아부파다마’조이다. 팔리어 경전의 율조를 분석한 결과 ‘가타’를 제외한 일반 경전의 낭송은 대개 2․3음, 혹은 3․4음의단순한 율조로 촘촘히 읽어 간다. 이에 비해서 게송을 노래하는 ‘가타’는 유려한 선율 곡태를 지니고있다. 팔리어 경전의 송경 율조가 대개 1자 1음의 담백한 선율인 점에 비추어 보면 모음을 길게 늘이는동북아시아의 멜라스마틱한 범패 선율은 초기불교의 ‘가타’를 음악적으로 확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초기불교의 팔리어 송경 율조를 한국의 불교음악과 연관 지어 보면 ‘가타’를 제외한 8가지 송경 율조는 한국의 안채비 소리인 염불이나 독경으로 연결되고, ‘가타’는 외채비 소리인 범패와 연결되었다. 이를 거슬러 추정해 보면 가타(伽陀,偈)를 노래 하는 율조는 대승불교의 의례의 장엄화에 따라 모음을 장인하면서 멜라스마틱한 악곡으로 극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범패에서 한문 가사에 의한 노래들은 대개 모음이 장인되는 멜리스마틱 선율인데 비하여 진언이나 나라니 가사의 범패는 1자 1음의실라빅 스타일로 노래하는 것이 바로 이러한 데서 기인함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현지조사 과정과 내용
 Ⅲ. 석가모니 입멸 이후 팔리어 구전(口傳)
 Ⅳ. 팔리어의 문자화와 송경
 Ⅴ. 팔리어 경전과 송경 율조
 Ⅵ. 팔리어 송경 율조와 한국 범패
 Ⅶ.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소희 Yoon, So Hee. 부산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