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판소리 사설 문장의 종결어미(語尾)와 가야금 가락과의 관련성 고찰 -진양조로 불려지는 가야금 병창곡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d Word of a Sentence in Pansori Texts and the Melody of Gayageum -Based on Gayageum Byeongchang as sung in Chinyangjo-

유선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ansori was inherited from the shaman songs which had been created from the lives of Korean commoners. These songs have included the accepted traditional Korean musical characteristics and heavily influenced sanjo, a solo instrumental music. Byungchang, which is pansori sung along with the accompaniment of gayageum,emerged around the same time that sanjo and pansori formed. Thus, sanjo which has the same component as pansori, excluding its texts, can be assumed to have the same cadence style as pansori. Therefore, for analyzing the role of the cadence in sanjo, this paper aims at the study of the cadence of pansori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words of pansori.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nalyzes the formation of the cadence added to the end words of a sentence in pansori, not just focusing on the melodic cadence of pansori. Additionally, it includ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dence and the plot of pansori as well as of the melodies of gayageum as accompanied by the cadence of pansori. This study also focuses on the roles of these melodic gayageum cadences in relationship to the developing plot of pansori. This study assures that the end words (including the connecting words of the concluding roles) were added to the tonic note of the cadence or to the cadence transposed below the fourth from the tonic, previously known as the pansori cadence. When the end word of the texts means ‘suggestion’, ‘premise’, ‘cause’, or ‘order’, the notes below the fourth from the tonic note perform the role of connecting the next paragraph and notes. However, when they mean ‘arrangement’, ‘exclamation’, ‘supposition’, ‘information’, or ‘recommendation’, the notes with the tonic tone perform the role of its cadence. In addition, the end words as well as the notes below the fourth from the tonic note perform the role of connecting the next paragraph and notes.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is study identifies that byungchang singing pansori along with the accompaniment of gayageum has either a concluding cadence or a connecting cadence depending on the meaning of the end words of the pansori text and that the cadence style is similar to that of gayageum sanjo. Furthermore, the following studies expect the roles of the melodic cadence of gayageum sanjo to form the music.

한국어

판소리는 민중의 삶 속에서 태동한 무가(巫歌)에 근원을 두면서 전통 음악 어법을 수용하여 발전한창악적(唱樂的) 구비서사시(口碑敍事詩)로 기악 독주곡인 산조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었다. 판소리에 바탕을 둔 산조가 등장한 것과 비슷한 시기에 가야금에 판소리를 얹어 부르는 병창 형식이 나타났다. 판소리에서 사설을 제외한 것과 음악 구성 요소가 똑같은 산조는 가야금을 연주하면서 판소리를 부르는 병창과 종지 형태가 같을 것이라는 추론 하에 종지형이 음악 단락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분석하기 위해 사설 내용 전개에 따른 판소리 종지형을 관련지어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선율적으로만 연구된 종지형이 아닌 판소리 사설 문장의 종결어미에 붙는 선율의 종지음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종지음이 판소리의 내용 전개와 어떤 관련이 있으며, 음악 문단 종지음에서 반주되는 가야금 가락이 어떠한 유형으로 연주되며, 그 유형은 사설 내용 전개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그 관련성을 논하였다. 그 결과, 판소리의 사설 문장 종결어미(종결기능을 가진 연결어미도 포함)에는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판소리의 종지인 본청의 ‘동도 종지’나 본청의 ‘4도 하행 종지’음이 붙는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때사설의 종결어미가 ‘문제제기, 전제(前提), 이유, 명령’ 등의 의미를 갖고 있으면 주로 본청의 4도 하행 종지음이 붙으면서 다음 단락과 내용을 연결을 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사설의 종결어미가 ‘나열, 감탄, 추측, 알림, 청유’ 등 서술의 의미를 지닐 경우에는 선율에동도 종지음이 붙으면 종지 역할을 하고, 4도 하행 종지음이 붙으면 다음 단락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판소리 가야금병창에서 가야금 가락의 반주는 판소리 사설의 종결어미가 갖고 있는 의미,선율의 종지음에 따라 판소리 단락을 종지하는 가락, 다음 단락으로 연결하는 가락으로 분류되고 이러한 가야금 가락의 종지 유형은 가야금산조에서 나타나는 종지 유형과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판소리 사설 문장 종결어미에 따른 가야금 가락 종지형들을 기초삼아 가야금산조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고찰을 통해 판소리 사설 문장이 가야금산조의 산조 음악 단락을 구성하는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사설 종결어미에 따른 소리 종지음과 가야금 가락 분석
 Ⅲ. 사설 단락의 종지음과 그에 따른 가야금 반주 유형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선미 Yu, Seon Mi. 광주교육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