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대응일치분석을 통한 부산지역의 구인 구직 불일치에 대한 연구

원문정보

Research on the Jobs Mismatch of SMEs in Busan by Correspondence Analysis

이길문, 이영일, 김선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o examine the Jobs Mismatch of SMEs in Busan, using the ‘Correspondence Analysis’. In this study it utilized three steps practical research methode. First, through a survey of the two parties it identified the perceptions and social structural problems. Secondly, through the results, it analyzed the character of formations of the Job mismatch in two groups(male & Female) and causes and solution be examined by managements and sociological aspects. Finally, a fundamental reason of the Job mismatch analyz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and recruitment. And these findings to all be applied 'correspondence Analysis’. This methode is a statistical analysis to illustrate the internal structure or pattern between variables the relationship by displaying a low dimension (2-D or 3-D) to determine the factors by distance job and wishes. As a resul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companies requested capabilities and job seekers recognitions. The overall summary of key factors of the mismatch are as follows. ① Manufacturing: All job seekers think that the most important preparations to get a job is to participate in special lecture. But women job seekers to look for the fame of company, when selecting a manufacturing company. That means they select the manufacturing company if the name of the company is widely known. ② Services: The Busan Metropolitan Government actively support the development of service industry, but men and women job-seekers was pointed out language skills as the main ability. For the language ability it needs more financial investment for young job seekers. So Busan Government must consider to this point to settle the politics. ③ Building and Construction Contracting Services: Both men and women job seekers and companies did not have too close to the construction-related factors. Therefore it is very necessary to raise the quality of construction work in various directions. ④ Distributions & vendors: Requirement & qualifications of the distribution & vendors, which is the popular to present young job-seekers, has to match the overall factors. However, women are thinking about job experience and language skills as a key competence. Company women's side, on the other hand, sees the most important job qualifications are practical experiences and volunteer experiences. Here showed a big difference. ⑤ Oceanography and fisheries: This industry is also supported by the city government, as special sector in Busan. However, job seekers are to fairly consider the working area. On the other hand, on the company's job qualifications are experience, competence and conscious. Thus the seekers are in the situations that can not be easily employed.

한국어

본 연구는 대응일치분석을 활용하여 구인과 구직의 불일치에 대해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연구 대상을 부산지역으로 제한하여 진행하였다. 부산지역 10만여 중소기업의 구인 조건과 청년 구직자의 구직 조건 불일치(불일치)의 문제점을 ‘대응일치’분석을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고찰하여 유형별로 분석한 후 대안을 제안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세 가지 연구방법을 중점으로 현실적 문제를 고찰하였다. 첫 번째는 설문조사를 통한 당사자들의 인식과 사회 구조적인 문제를 파악하고, 두 번째로 이 결과를 통해 구인 구직의 불일치는 어떠한 유형을 형성하고 있는지를 남, 여로 구분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에서는 대응일치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구인 기업과 구직자가 인식하고 있는 요구 역량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부산 지역 내 구인 기업과 구직자 상호가 원하는 역량 요인에 차이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업종별로 ① 제조업: 남녀 모두 그리고 구인구직 모두 특강을 통한 입사 준비가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다. 반면 여자 구직자들은 제조업 회사를 선택할 때 회사명성을 중요시 하여 여자 구직자들은 제조업을 기피하지만 회사의 이름이 널리 알려진 경우라면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서비스업: 서비스업의 발전을 부산시에서 적극 지원하지만 구직자 남녀 그리고 구인자 여성은 어학능력을 주요 역량으로 지적하였다. ③ 건설 및 건설관련업: 전통적으로 남성의 직업이라고 생각하는 관념이 여전히 남아있는 상황을 분석할 수 있었다. 즉, 구직자들은 건설업관련 요인들이 매우 거리가 멀었고, 구인자 역시 남녀 모두 건설업 관련 근접한 요인들은 없었다. ④ 유통판매업: 현재 청년 구직자들에게 인기가 많은 유통판매업은 전반적으로 자격증 등의 요건 일치는 보이지만 구직 여성들은 경험과 어학능력을 주요 역량으로 생각하고 있는 반면에 정작 구인 측의 여성들은 자격증과 봉사활동 경력을 역량으로 본다고 하여 큰 차이를 보였다. ⑤ 해양수산업: 부산지역의 특별한 업종인 해양수산업은 시정부에서 정책적으로 지원하지만 정작 구직자들은 근무지역을 상당히 고려하여 관련 업종의 구인난이 심화된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회사의 구인 측에서는 자격증, 경험을 역량으로 중요시하여 구직자들이 쉽게 취업할 수 없는 상황에서 구직자들의 근무지역 요구에도 일치하지 않는 문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인력 수급 불일치, 부산의 현황그리고 대응일치 분석
  1. 우리나라 인력 수급 불일치
  2. 부산의 고용 현황 및 산업 구조
  3. 부산지역의 인력 수급 불일치
  4. 대응일치불석
 III. 연구 모형 및 가설의 설정
  1. 연구모형
  2. 연구 가설의 설정
 IV. 연구 가설의 검증 및 논의
  1. 연구 방법
  2. 가설의 검증
  3. 논의
 V. 결론
  1.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2. 한계점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길문 Lee, Kir-Moon. 부산외국어대학교 글로컬경영학과 박사
  • 이영일 Lee, Yeoung-II. 부산외국어대학교 경영학부 부교수
  • 김선호 Kim, Seon-Ho. 부산외국어대학교 GLE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