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n correlation between Dong-hak ideology and "lyricism" in lyric poetry.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concept of "lyricism" and discussion limit of "lyricism". We examine the reason why Dong-hak ideology can extend the discussion of "lyricism" and identify an interrelationship between Dong hak ideology and "lyricism" by analysing Sin Dong Yeop's poetry opinion. This study's content is as follows. First, lyricism is that the ego recognize the world is the one. That is defined "unity" or "identity". That means modern persons are reconciled with conflicts and discord world through recovery of the identity of lyricism and can make 'harmony(諧調)'. Also the recovery of the identity of lyricism suggests the persons who have conflicts to live practical life having a recovery healthy life will by vision of utopia. Second, so far the discussion relationship between main agent and object of the lyricism shows the limit "monologue lyricism" is superiority according to their light. Dong hak ideology gives a possibility to overcome the limit of discussion of lyricism and make a base the thought extend the discussion the "lyricism". Third, the way ego and the world is one, ‘Si cheon ju(侍天主)’ in Dong hak ideology shows the immanent transcendence. It is in the common with mutually independent lyricism. Fourth, Sin Dong Yeopjudged the problem of their period was caused from modern malice(毒氣) and he found the alternative in Dong hak ideology. Sin Dong Yeop's 『poet idealism』 explains 'Won Su Seong(原數性)' 'Cha Su Seong(次數性)', 'Gw Su Seong(歸數性)'. These view of the world have a good understanding with union relations in Dong hak and his view of the world contains a wish of recovery 'union' that lost main agent in modern civilization world. Furthermore Sin Dong Yeop emphasized a need appearance of ‘Jeon Kyeong In(全耕人)’ to resolve that period conflicts. This study's result is as following. First, union way between the ego and the world in Dong-hak is immanent transcendence, and this is related with the way of thinking lyricism 'union'. Second, Dong hak is Self-sustaining study that has mutually independent lyricism overcoming the monologue lyricism that shows subordinate relationship in Advantage of lyricism discussion. An import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It is positive searching for interrelationship between our Self-sustaining ideology and western literature theory in our study phenomenon the view we have western european literature biased. Second. the thinking way "immanent transcendence" in Donghak recovers the live 'Jeon il seong(全一性')‘ andit has great significance to make a 'harmony(諧調)’ with world to lay a corner stone.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동학사상과 서정시의 ‘서정성’과의 상관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방법은 우선 ‘서정성’의 개념과 ‘서정성’ 논의의 한계를 설명하여 동학사상이 ‘서정성’ 논의의 지평을 확대할 수 있는 사상적 연원을 살펴보고 나아가 동학사상에 영향을 받은 신동엽의 시론 분석을 통해 ‘동학사 상’과 ‘서정성’의 상관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서정성’은 자아가 세계를 하나라고 인식하고 일체감 혹은 ‘동일성’을 이루는 인식의 차원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근대인은 서정적 ‘동일성’ 회복을 통해 세계와의 불화와 갈등을 극복하고 해조(諧調)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서정적 ‘동일성’ 회복은 갈등을 안고 사는 인간이 우주와의 소통 안에서 유토피아적 비전을 제시하여 건강한 삶을 회복하려는 의지를 갖게 하여 실천적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두 번째는 지금까지 서정성의 논의는 ‘주체’와 ‘객체’의 관계를 설정하는 연구자의 견해에 따라 ‘독백주의적 서정성’이 우위를 점하는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동학은 이러한 ‘서정성’ 논의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사상적 기반을 마련하여 ‘서정성’ 논의를 보다 확대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고 하겠다. 세 번째는 동학의 ‘시천주(侍天主)’사상은 자아와 세계의 합일의 방식이 ‘내재적 초월’의 성격을 보여 주고 있으며, 이는 ‘상호주체적 서정성’의 사유방식과 상통하고 있다고 하겠다. 네 번째는 신동엽은 자기 시대의 문제를 근대의 독기(毒氣)로부터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동학사상에서 그 대안을 찾았다. 신동엽이 『시인정신론』에서 설명하고 있는 ‘원수성(原數性)’, ‘차수성(次數性)’, ‘귀수성(歸數性)’의 세계관은 동학사상에 내재한 세계와 자아의 합일 관계와 상통하고 있으며, 또 그의 세계관은 근대 문명 세계에서 잃어버린 주체의 ‘동일성’ 회복의 염원을 담고 있다. 나아가 신동엽은 시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경인(全耕人)’의 출현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동학사상의 자아와 세계의 합일 방식은 ‘내재적 초월’로 볼 수 있으며, 이것은 서정적 ‘동일성’의 사유방식과 상통하고 있다고 하겠다. 두 번째는 동학사상은 ‘서정성’ 논의에서 주체 우위의 종속적인 관계를 보여주는 ‘독백주의적 서정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상호주체적 서정성’의 가능성을 가진 자생적 학문이라고 하겠다.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우리 민족의 자생적 사상과 서양문학이론의 상관성을 찾는 일은 서구 문학이론에 편향된 우리의 연구 풍토에서 다소나마 긍정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하겠다. 두 번째는 동학사상의 ‘내재적 초월’의 사유방식은 근대가 파괴한 ‘전일성’의 삶을 회복하여 세계와 해조를 이룰 수 있는 초석으로 놓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목차
1. 들어가며
2. ‘서정성’의 개념과 ‘서정성’ 논의의 한계
3. ‘시천주(侍天主)’ 사상의 ‘내재적 초월성’
4. ‘귀수성(歸數性)’ 세계의 대지로 돌아가는 ‘씨앗’의 마음
5.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