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6세기 독일 종교개혁의 역설 : ‘영적 자유’와 민중규율화

원문정보

Irony of the German Reformation : ‘Spiritual Freedom’ and Discipline of People

박준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alvation by faith alone,’ the first principle of the Reformation, opposed the late medieval religious paradigm in which good works and external observances of official rituals dominated popular religious culture. In ideological terms, it meant ‘spiritual freedom.’ In the 1520s, however, the reform movement faced a serious problem which urged the Lutheran reformers to change its direction. Finding widespread ignorance, unbridled religious misbehavior, and moral deviation in their rural parishes, they began take steps to discipline the mass with compulsory rules. Although the reformers clearly recognized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individual’s Christian freedom and the godly community’s need for discipline, they had no alternative. The church order, catechism education, and the annual visitation were the main tools with which the reformers sought to inculcate new doctrines in the mind of the folklore and improve their religious and moral standard in daily life. The program to discipline the mass itself was a fundamental violation of the central idea of the Reformation which denied, or was at least indifferent to, the coercion and enforcement of religious rules. The doctrine of ‘salvation by faith alone’ surely opened the door to the coming of early modern European society by advocating the importance of individual’s internal religious feeling. Nonetheless, the reality revealed in the course of the Lutheran reform movement hardly subscribed to the supreme ideology. In the mechanism the reformers establish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ir hope, men and women still faced many obligatory rules and unable to find ‘spiritual freedom.’

한국어

독일 종교개혁의 으뜸원리인 이신칭의론은 기존교회가 공들여 정립하고 민중들에게는 성역이나 다름없었던 종교적 규범들의 의미를 거부하거나 축소시켰다. 구원은 규범준수라는 선행/성화(聖化)가 아니라 개인의 내면적 믿음의 소산이라는 이 출범원리는 중세 말 민중들의 종교적 일상을 지배했던 강압적 기제로부터의 해방, 즉 ‘영적 자유’를 지향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개혁운동은 1520년대 중반에 이르러 중대한 고비를 맞게 된다. 새로운 교리에 대한 이해부족과 종교적 나태의 만연이 개혁의 일선현장에 적나라하게 드러나면서 개혁의 주체들은 강력한 규율화 작업에 착수하였다. 일종의 교회법으로 구속력을 갖고 있는 교회운영규정의 제정, 엄격하게 시행된 교리문답교육, 교구민들의 종교적·도덕적 행위를 정기적으로 검열하는 교구시찰 등으로 구성된 민중규율화는 그 자체로 종교개혁의 근본정신인 ‘영적 자유’에 역행하는 위험한 작업이었다. 개혁가들은 이러한 자기모순을 인식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영적 자유’의 취지가 개혁의 최전선에서 오·남용되어 ‘영적 방종’으로 현실을 좌시할 수 없었고 결국 자신들이 규탄했던 강압적 종교규범을 재도입하게 되었다. 종교개혁은 이념적 차원에서는 분명 근대의 출발이었다. 외부의 객관적·외형적 규범에서 자유로운 인간상을 제시하였고, 개인의 주관적·내면적 확신에 방점을 찍었다. 이는 독자적 주체로서의 개인을 상정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16세기 독일종교개혁의 전개과정 속에서 민중은 여전히 외부 규범에 예속된 타율적 존재로 남을 수밖에 없었고, 이 점에서 종교개혁의 근대적 성격은 제한적이라 할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이신칭의론과 ‘영적 자유’
 Ⅲ. ‘영적 자유’의 딜레마
 Ⅳ. 민중규율화: 훼손된 ‘영적 자유’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박준철 Joon-Chul PARK. 한성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