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과제 지향적 작업치료가 수부 화상 환자의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Effectiveness of Task-Oriented Intervention on Hand Functions in Patients With Hand Burn Injuries

심선화, 최종배, 유수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reatment assignment training for a task-oriented intervention is more effective for hand functionally compared to a control group. Methods :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was conducted for 30 patients with a hand burn injur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a task-oriented intervention group (n=15) and a simple exercise therapy group (n=15).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task-oriented intervention, and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with simple exercise therapy. The trial was applied for 30 min per day, three times a week for six week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the Korean versions of the Michigan Hand Outcome Questionnaire (MHQ-K) and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JTT) were used. Results : After six weeks of intervention, The MHQ-K and JTT scores of the simple exercise therapy group and the task-oriented intervention group both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hand function (p<.05). Task-oriented intervention also showed a better effect regarding writing skills, and simulated feeding, and level of satisfaction (p<.05). Conclusions : Based on MHQ-K and JTT scores, task-oriented intervention was shown to be more helpful than simple exercise therapy to improve the confidence in patients with a hand burn injury.

한국어

목적: 본 연구는 수부 화상 환자의 과제 지향적 작업치료가 손 기능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지역 화상 특화병원에서 작업치료를 받은 수부 화상환자 30명을 대상으로 각 15명씩 과제 지향적 작업치료를 받은 실험군과 단순 운동치료를 받은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분하였다. 중재는 주 3회, 1회 30분간, 6주간, 총 18회 실시하였다. 평가는 한국판 미시간 손 기능 평가 설문지(Korea version of Michigan Hand Outcomes Questionnaire: MHQ-K), 젭슨-테일러 손 기능 평가(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JTT)를 시행하였으며, 중재 전, 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사전 사후 비교 시 실험군은 JTT의 모든 항목과 MHQ-K의 일과 통증을 제외한 6항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p<.05), 대조군에서는 JTT의 모든 항목과 MHQ-K의 일, 통증, 모습을 제외한 5항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둘째, 중재 후 두 집단 간 비교는 JTT의 글씨쓰기와 먹는 흉내 내기, MHQ-K는 만족도와 통증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수부 화상 환자에게 과제 지향적 작업치료와 단순 운동 치료 중재는 두 집단 모두에서 손 기능의 향상을 보였지만 과제 지향적 작업치료는 단순 운동치료보다 글씨쓰기, 먹는 흉내 내기의 손 기능과 만족도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수부 화상 환자의 손 기능 향상을 위한 치료에 과제 지향적 작업치료가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절차
  2. 중재 방법
  3. 연구 도구
  4.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중재 전동질성 검사
  2.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재 전, 후 변화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심선화 Shim, Sun-Hwa. 한강수병원 작업치료실
  • 최종배 Choi, Jong-Bae. 경희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실
  • 유수전 You, Su-Jeon. 경희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