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20세기 삼현육각 <타령>에 관한 고찰 - 서울ㆍ경기지역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study of 20th Ta - ryeong - Focus on Korean Traditional wind ensemble, Samhyeon - ukgak -

진윤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focus on 20th century by Samhyunukgak which is wind ensemble of late Joseon Dynasty through several Piri scores. Historically, is used as dance, instrumental music and Shaman ritual music. Therefore, different purpose makes various pieces and Now it is passed down as plenty of names. The first study compared between government agency called Gukakwon and private player. Their common ground are fingering of Piri and overall melody. The difference are type of instrument and ornament. Usually in folk music is called as . The second study compared between marching and dance or instrumental music. In the marching called or and its melody is a little bit different with original . The third study compared between Gukakwon and private player. Although they have same name their musical features was totally different. In of Gukakwon’s case, it is 黃(Eb)-夾(Gb)-(Ab)-林(Bb)-無(Db) scale but of private player is 黃(Eb)-太(F)-仲(Ab)-林(Bb)-南(C). As a result, only of Gukakwon is directly related with in scale.

한국어

삼현육각 음악은 20세기를 거쳐 여러 변화를 겪어왔다. 특히 삼현육각 <타령>의 경우 전통사회에서 행진, 무용반주, 기악곡 등 여러 가지 용도로 연주되면서 선율이 조금씩 변화하였고 20세기 음악의 전승집단이 분리되면서 음악적 특징이 변화함에 따라 현재는 다양한 악곡명으로 전승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20세기 서울, 경기 지역에서 활동한 피리 연주자들에 의해 남겨진 음원과 악보를 통하여 동일한 향피리 운지법으로 연주되고 있는 관악영산회상 <타령>, <일승월항지곡>, <삼현타령>, <허튼타령>을 비교분석하여 본래 한 줄기에서 시작된 음악들이 20세기를 거쳐 현재에 이르는 동안 어떠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이왕직아악부와 국립국악원에서 전승된 관악영산회상 <타령>과 민간에서 전승된 대영산 <삼현타령>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타령>과 <삼현타령>은 악보에 장의 구분이 다르게 나타나지만 다섯 장단 정도를 제외하면 전체적 선율이 동일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20세기를 거치면서 전승경로가 분리되고 사용하는 악기와 음역 및 시김새가 달라지면서 현재는 서로 다른 정체성을 가진 악곡으로 인식되며 악곡명에도 차이를 두어 통용한다. 다음으로 국악원 전승 관악영산회상 <타령>과 취타계열 악곡인 <길타령>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2,3,4장은 선율은 완전히 동일하고 1장의 선율만 달랐다. 용도에 따라 같은 선율의 1장만 달리하여 연주하는 방식은 민간전승 취타풍류 중 <삼현타령>과 대영산 <삼현타령>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삼현육각 <타령>은 여러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기악곡으로 연주될 때, 무용반주로 사용될 때, 행진음악으로 사용될 때 부분적으로 선율에 변화를 주어 연주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다만 국악원 전승 <타령>과 <길타령>의 1장은 축소, 생략의 관계가 아니라 서로 완전히 다른 선율이기 때문에 2,3,4장의 선율이 동일하다고 해도 연주자들은 두 악곡을 서로 다른 정체성을 가진 음악으로 인식하였고 <일승월항지곡> 과 같이 악곡명을 달리하여 통용하였다. 민간전승의 경우 취타풍류의 <삼현타령>은 대영산 <삼현타령> 몇 장단의 선율만 발췌하여 연주한 것이기 때문에 악곡명을 동일하게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악곡명에 있어 국악원 전승과 민간전승은 일치하지 않는 경향을 보이기도 하는데 음악을 분석한 결과 민간전승<길타령>은 <일승월항지곡>이라 통용되는 국악원전승<길타령>과는 음악적으로 관계가 없었고 오히려 국악원전승 <길군악> 즉 <절화> 4장과 동일한 선율이었다. 이처럼 관악합주로 연주되는 <타령>은 국립국악원과 민간으로 분리되어 전승되고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되는 과정에서 <타령>, <삼현타령>, <일승월항지곡>, <길타령> 등 다양한 악곡명으로 전승되어 왔음을 음악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구전심수로 전해지던 이 악곡들은 20세기 악보로 기보되는 과정에서 동일한 선율이 서로 다른 분장형태로 기록되거나 전혀 다른 악곡명으로 전승되기도 하는 등의 혼란스러운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네 악곡의 기본 가락은 황종궁 계면조로 연주되는 관악영산회상의 <타령>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며 특히 3,4장의 경우는 가락이 거의 동일하여 ‘문서가 있는 가락’ 즉 관속음악으로서의 서로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음이 음악적으로 확인된다. 반면 <허튼타령>의 경우는 관악영산회상의 <타령>의 기본음 즉 황종궁 계면조의 선율을 기반으로 10장단 이내의 짧은 기본가락을 만들고 그것을 변주, 반복하는 방식으로 연주한다. <허튼타령>은 동일 연주자라도 때에 따라 매번 다르게 연주된다는 특징이 있으며 이는 서울굿 무가에서 무녀의 음악을 반주할 때 사용하는 연주기법과도 맞닿아 있다. 따라서 <허튼타령>이란 <타령>의 악조로 연주되는 즉흥음악이라는 의미이며 이는 관속음악으로서의 성격을 지닌 <타령>을 20세기 무속음악 연주자들이 전승하는 과정에서 무속음악의 연주기법과 결합하여 만들어낸 예술적 결과물로 볼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삼현육각 음악 <타령>의 분석
 Ⅲ. <허튼타령>의 연주사례와 즉흥원리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진윤경 Jin, Yun Kyong. 국립국악원 단원,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