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범어범패 연구Ⅰ - 범어범패의 장르적 특성에 관하여 -

원문정보

A Study on Mantra Chanting Ⅰ

윤소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ierce clue is the language of ancient Indian through all of Asia, from the Pali sutra and Buddhism of Sri Lanka and South East Asia, to the practise of meditating with the first alphabet letter ‘A’ of Sanskrit in Japan's Shingon temple. In this study I researched the origin, background, process of transmission, and the present position of Korean Buddhist ritual music with regard to the study of mantra chanting. As a result, I discovered that there are sutra recitation activities which copied the sounds of the Pali language in Sri Lanka and South East Asia and that by contrast there are writings and Gen meditations characterized by the Sanskrit sutra of North East Asia. People have the strong belief in East and South Asia that Pali is Buddha's language. But recent scholars have raised doubts that Magada language spoken by Buddha and today's Pali are the same, because the words of Pali appear from the 12th century. Also, the Magada language was of the eastern region, but Pali hails from western India.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the pronunciation of melodies when remembering and reciting was significant, until King Ashoka invented the Sanskrit alphabet. Among those with direct lineage to ancient Sanskrit, the Siddhāṃ was transmitted to North East Asia by wandering monks. The characters of Siddhāṃ were used for the meadiation of enlightenment and for maintaining the people's regional sense. But these days study of the role of mantra chanting in its effect on Korean Buddhism is minimal. Further work needs to be undertaken. It is of great interest to compare the melodies and rhythms of mantra chanting within Asia because although each country's language is different, the letters are the same in the Siddhāṃ. For example, all Buddhists in North East Asia recite the same Avalokitesvara Dharani. Also, there are some clues between the culture of Siddhāṃ. The sutra and Pali culture among Korean monks is to wear brown gowns on their grey Korean topcoat. This same custom can be seen in the priest's robes in South East Asia, deriving from the custom of Buddha and his disciples in ancient India. So the mantras have the same root, and could prove the key to unlocking the secrets of Asian music and culture.

한국어

한자로 된 어산범패와 달리 범어범패는 태생지역인 인도와 직결되므로 어산범패와 다른 각도에서 접근되어야 하는데도 그동안 학계에서는 한어범패와 범어범패에 대한 장르적 구분 없이 연구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한어범패와 다른 범어범패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범어범패의 연원과 사적 배경 및 그 전파 과정과 한반도 유입에 따른 전반적인 내용을 고찰하여 불가에서 관습적으로 써온 ‘범음’ ‘어산’이라는 말이 힌두사제들의 음성행법과 연결되는 범어범패와 중국에서 발생한 한어범패로 차별되어야 함을 밝히므로써 앞으로 이 방면 연구의 초석을 마련하였다. 팔리경전을 최초로 문자화한 스리랑카를 비롯하여 동남아와 중앙아시아를 지나 중국ㆍ티벳ㆍ한국 그리고 산스크리트의 첫 글자로 수행하는 일본의 아자관(阿字觀)에 이르기까지 관통하는 공통점은 고대 인도어인 범어이다. 불타의 설법은 천여년간 문자 없이 구전되었으므로 그의 설법을 암송하는 범어율조는 불교경전과 범패연구의 근본토대이다. 지금까지도 문자가 없어 범어발음을 음사한 팔리어 경전을 쓰는 남방지역에는 암송 문화가, 산스크리트 문자를 받아들인 북방은 자문수행(字門修行)과 사경(寫經) 문화가 발달해있음을 본고를 통하여 규명하였다. 산스크리트어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여러 계통의 언어가 있으나 한ㆍ중ㆍ일은 같은 실담범자를 받아들였으므로 오늘날 중국ㆍ한국ㆍ일본은 동일한 다라니와 진언을 송주하는 경우가 많다. 진언과 다라니를 가사로 하는 범어범패는 본래의 음을 지니고 전파되었는데, 한어범패와 달리 번역의 과정이 필요치 않았으므로 한어범패 보다 훨씬 이른 시기에 한반도에 유입되었고, 그것의 대표적인 사례가 『삼국유사』에 전하는 월명사의 ‘성범(聲梵)’에 관한 기록이다. 그런가하면 북방의 실담 산스크리트어와 남방의 팔리어의 송주 율조도 동시대의 고대인도 언어에서 비롯되었으므로 ‘나모’와 같은 동일어가 있는가 하면, 법(法)을 이르는 담마․다르마와 같이 유사 발음이 있어 이들 율조에 대한 비교 연구 가능성을 열어 두었다. 발음의 진동을 중시했던 범어원리가 소리글자인 훈민정음 창제에 적용된 점에 비추어 볼 때, 범어율조는 조선시대 궁중음악으로, 범어의 주술적 속성은 민간의 무속음악에 이르기까지 관련이 있어 범어범패에 대한 연구는 한국전통 음악연구에도 기여하는 바가 클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범어범패의 언어적 배경
 Ⅲ. 범음의 전파와 정착
 Ⅳ. 한국 범어범패 현 실정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소희 Yoon, So Hee. 부산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