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세종실록악보』 소재 신악과 관련된 고취악론 재고

원문정보

A Reconsideration on the Theory of Gochwi - ak (鼓吹樂) related to the New Music in The Music of Sejong’s Annals

신대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out any serious academic discussion Dokgyeong of Jeong-daeeop, Gyeu of Bo-taepyeong, Yeomilnak of Bongnae-eui and 9 pieces of Balsang including Sunu among the new music, created by Sejong the Great based on the gochwi-ak, have been regarded as gochwi-ak by the existing theory of gochwi-ak. Several common musical figures of these pieces have been regarded as the characteristics of it as well. Naming the upper mentioned new music, created based on the gochwi-ak, as gochwi-ak again the existing theory of gochwi-ak shows us a kind of irrationality which regards several common musical figures of these pieces as those of the gochwi-ak. Accordingly, the upper mentioned several pieces named as gochwi-ak in the existing theory of it cannot be gochwi-ak and several common musical figures of these pieces cannot be the characteristics of it, too. The gochwi-ak is music which has special text to song and to praise many feats and difficulties by the ancestors of kings. Su-borok, Mong-geumcheok, Geun-cheonjeong and Su-myeongmyeong were the gochwi-ak which were mentioned in the preface of The Music of Sejong’s Annals and referred by Sejong the Great to create his new music. The text of these four pieces did not synthetically include all the feats and difficulties by the ancestors of kings to found Joseon Dynasty but included only one thing. Therefore Sejong the Great did not satisfy the text of these four pieces and finally crated his new music Jeong-daeeop, Bo-taepyeong, Bongnae-eui and Balsang. These four big pieces synthetically included all the feats and difficulties by the ancestors of kings to found Joseon Dynasty and also the texts of Su-borok, Mong-geumcheok, Geun-cheonjeong and Su-myeongmyeong.

한국어

『세종실록악보』 신악(新樂)에 기초한 기존 고취악론은 세종의 ‘인고취악(因鼓吹樂)’ 결과로 창제된 신악 중 정대업의 독경, 보태평의 계우, 봉래의의 여민락과 발상의 순우 이하 9곡을 분명한 논거(論據)의 제시 없이 고취악으로 명명하였고, 이들 악곡에서 확인되는 몇 몇 공통된 음악적 모습을 고취악의 특색으로 간주하였다. 즉 기존의 고취악론은 분명한 논거와 단 1곡의 고취악의 음악 실체 제시도 없이 ‘인고취악’한 결과로 창제된 위 신악을 다시 고취악으로 명명하면서 해당 악곡들에서 드러나는 공통된 음악적 모습을 고취악의 특색으로 간주하는 비합리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기존의 고취악론에서 명명된 위의 여러 곡은 고취악이 될 수 없으며, 이 악곡들에서 드러나는 공통되는 음악적 모습도 역시 고취악의 특색이 될 수 없다. 세종이 ‘인고취악’한 음악은 『세종실록악보』 서문에 적시된 수보록․몽금척․근천정․수명명 4곡으로 이곳에서의 ‘고취악’은 조종의 공덕을 노래하고 찬양한 노랫말로 된 음악을 의미한다. 세종은 수보록ㆍ몽금척ㆍ근천정ㆍ수명명의 노랫말이 내용적으로 조종의 공덕과 창업의 여러 어려움을 종합적으로 담지 않고 오직 한 가지의 사실만을 담았기 때문에 만족할 수 없어 이 4곡의 노랫말을 ‘인’하여 신악 정대업, 보태평, 발상, 봉래의를 창제하였다. 이렇게 창제된 신악은 당연히 조종의 공덕과 창업의 여러 어려움을 종합적으로 그 노랫말에 담으면서 세종이 ‘인’한 당대의 고취악 수보록ㆍ몽금척ㆍ근천정ㆍ수명명 4곡의 노랫말도 함께 담았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세종실록악보』소재 신악과 관련된 고취악론
 Ⅲ. 기존 고취악론의 수용과 답습
 Ⅳ. 기존 고취악론의 바른 이해
 Ⅴ.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대철 Sheen, Dae Cheol.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