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민요 형식의 유형과 층위

원문정보

The Structure of Folk Songs and its Types and Categorization

김혜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olk songs are one of the representative music in Korea. In terms of its forms, it is thought to contain a simple structure. Therefore, naturally, the discussion on the form of Korean music should start with folk songs. However, since there has been no attempt to theorize the forms of overall folk songs, such research is deemed necessary. This study attempted to organize the forms of folk songs, and to categorize its types searching for a proper methodology.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 a section is established as a smallest unit in the form and they are listed in terms of rhythms. They are from the 1 rhythmic structure to the 5 rhythmic structure and when there are little regularity, an irregular type is suggested. Also, when it is difficult to categorize according to rhythm and when some musical instruments are added, they are presented as “others.” The rhythm types above do not appear to repeat and act independently. When the same type is repeated, it is repeated with little changes along the way. Secondly, as elements of consisting a tune of folk song, three sections namely,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conclusion are proposed. Each section is examined as to find out how it is made. For introduction, types of chanting, receiving, and formula are used. For development, besides the three repeating types described previously, for call and response sing, some changes can be made such as omission of receiving sound, sporadic omission, replacement, and repeating and overlapping of call and response, partial overlapping, and continuance. For conclusion, chanting type, musical instrument type, formula type, chorus type, music change type, and language or change type are used. Lastly, the tunes of folk song can be categorized into independently developing type, introducing and developing type, developing-concluding type, and introducing-developing- concluding type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ree systems of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conclusion. There may be other types which this study did not cover, and as new forms are studied and analysed a more detailed folk song theory can be established.

한국어

민요는 대표적인 기층음악이다. 형식적으로는 어떤 장르보다 단순한 구조를 포함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한국음악의 형식 논의는 민요로부터 시작되어야 함은 마땅한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민요의 형식을 이론화하려는 노력이 없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민요의 형식을 정리하기 위한 연구 방법론을 고민하고, 민요 형식의 유형 분류를 시도해 보았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요의 악곡은 도입과 전개, 종지의 삼단 체제로 되어 있으며, 각 부분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독립 전개형, 도입-전개형, 전개-종지형, 도입-전개-종지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입 부분은 구호형과 받는소리 반복형, 공식구형의 세 가지 방식이 사용되었으며, 특별한 도입이 없는 경우도 있다. 종지 부분은 구호형, 악기 연주형, 공식구형, 후렴형, 음악변화형, 언어나 효과 활용형으로 세분할 수 있으며, 다른 악곡으로 연달아 노래할 경우에는 종지가 없는 경우가 많지만 독립된 악곡으로 끝날 때에는 어떤 방식으로든 종지감을 형성하려는 경향을 갖고 있다. 둘째, 전개는 기본형을 2장단형이나 3장단형으로 보았으며, 변주반복형은 2장단형과 3장단형이 그대로 반복되거나 변주되어 반복되는 형태를, 조합형은 2장단형과 3장단형이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경우를 묶은 것이다. 기본형은 악구 하나가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이며, 변주 반복형은 4, 6장단과 같이 확대되는 경우, 조합형은 2장단형과 3장단형을 함께 조합하여 5장단, 7장단과 같은 단위가 만들어지는 경우를 말한다. 또한 많지 않지만 1장단만으로 악구가 이루어지는 경우나 장단 단위로 끊어지지 않는 경우 등 다양한 사례들을 기타로 묶었다. 2장단형과 3장단형이 가장 기본단위로 선택된 이유는 대개 이 정도의 길이에서 한 호흡이 완결되기 때문이라 짐작된다. 마치 하나의 문장이 형성되는 단위와 같이 음악에서도 호흡을 끊어갈 수 있는 단위가 이 정도의 길이감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 이 정도의 길이라야만 음악을 직업으로 삼지 않은 일반인들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민요는 완성된 악곡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가는 대상이다. 즉 민요는 음악적으로는 토리와 장단, 형식, 시김새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여기에 자신만의 가사를 얹어 부르는 것이다. 민요의 형식은 악곡의 가장 작은 단위에서 큰 단위까지 엮어나갈 수 있도록 해주는 구조적 장치이다. 따라서 민요의 형식이 정해진 규칙대로만 구현되어야 하고, 악곡별로 정해진 형식틀이 존재한다고 보아서는 안 된다. 민요에 있어서는 형식도 유동적일 수 있으며, 선택되는 요소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선택이 위에서 논의한 형식 유형 내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민요 형식에도 일종의 공식어법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형식 관련 용어
 Ⅲ. 악구 단위의 유형
 Ⅳ. 악곡의 구성 원리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혜정 Kim, Hey Jung. 경인교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