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presents the details of the implementation of a database application for Korean minsokak(folk music) fieldwork materials owned by individual musicologists and institutes. The purpose of the system is to integrate these materials, originally stored as spreadsheet files, into a single database within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 and systematically manage them in order to enhance integrity and usability. A DBMS oriented solution has the following merits. First, an integrated database can be utilized in many ways such as producing books or publishing through website, which provides high accessibility to public. Second, by utilizing integrity constraints supported by the DBMS, certain types of errors in the data can be detected and prevented. Third, the data will be readily available for various research and operational analysis. Database design suitable for the given data features and application characteristic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implementation. Developing an input system that is intuitive and convenient enough to facilitate efficient and accurate transfer of the existing files into the database is vital as well.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ur system optimized for minsokak fieldwork materials. We also present the evaluation of our application through a survey conducted on researchers who are users of the system.
한국어
본 논문은 개인 연구자나 기관 등이 소장하고 있는 한국 민속악 관련 현장 조사 수집 자료들을 전산화하여 데이터베이스 응용 시스템(Database Application)을 구축하는 방안에 대해 다룬다. 연구자들에 의해 수집된 대부분의 자료들은 워드프로세서로 작성되어 개별적인 파일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데, 이를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 이전하여 응용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자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활용의 통합성과 유연성을 높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자료를 전산화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저장하는 것은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디지털화된 데이터베이스는 인터넷 배포, 출판 등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정보제공에 있어 높은 접근성을 가진다. 둘째, 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 규칙을 적용하면 중복 자료의 처리 등에 있어 오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체계적인 자료의 관리가 가능하다. 셋째, 데이터 분석 도구를 이용한 다양하고 유연한 방식의 분석 연구가 가능하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가지는 장점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자료의 내용 및 크기에 맞게 데이터베이스를 설계 하는 것이 중요하며, 기존 자료를 효율적으로 이전하기 위해서는 편리한 입력시스템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장 조사 수집 자료에 최적화된 데이터베이스 입력 및 관리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에 관하여 기술하며, 실제 데이터를 입력하는 연구원들의 시스템 평가 결과를 소개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자료의 특징 및 시스템 요구사항
Ⅲ.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구축
Ⅳ. 데이터베이스 입력 시스템 구현
Ⅴ. 시스템 평가 및 분석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