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 논문〉

서울굿 노랫가락의 전형

원문정보

The Typical of Noraegarak in Seoul-Gut

반혜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aims to approach Noraetgarak, which is pivotal in every Gori of Seoul-Gut, in a diverse angle. The typical of Noraetgarak was studied by closely analysing the performance sites where they were performed. Noraetgarak in Seoul-Gut is combined with diverse performance elements such as Muga (songs), Mu'ak (Samhyun’yukgak), Mumu (dance), and Mu'uisik (rituals). As Noraetgarak contains the functions of inviting, celebrating, and ending according to the Gori or deity they relate with, they are fixed with certain rules while also having some varying traits. Therefore, Noraetgarak forms its typical features by combining vocal style (depending on main and sub shamans), location, lyric structure, and performance elements. The musical traits of Noraetgarak is not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repeating the rhythmic structure even in multiple verses. The melodic composition is formed with Jangdan as the minimum unit and is composed with 8․8 small-beats, 8․5․5 small-beats, 5․8 small-beats, 5․8․8 small-beats, etc. Compared to the other Muga in Seoul-Gut, Noraetgarak is conservative and restrictive in the perspective of performance. The aspect of impromptu play is eliminated as the bigger musical frame of the Jangdan composition and the melodic structure are repeated, while the method of performance varies depending on the function. Such feature works as an unchanged component regardless of performance site or the Shamans. This means that the typical with Noraegarak has a strict and restricted musical trait, while varying through different performance methods depending on the Gori and the deity.

한국어

본고는 서울굿에서 거리마다 빠지지 않고 불리는 노랫가락의 고정적인 특징과 상대적으로 변동되는 특징을 입체적으로 조명하였다. 노랫가락이 불리는 연행의 현장을 세밀하게 분석하는 과정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노랫가락의 전형이 무엇일지를 고찰해 보았다. 노랫가락은 서울굿에서 연행되는 무무, 무의식, 무악(삼현육각), 무가 등과 같은 요소와 결합되면서 노래되는 특징을 보인다. 노랫가락은 거리나 신격에 따라 청배, 찬신, 그리고 종결이라는 기능을 갖고 불리는 가운데 일정한 규칙으로 고정되는가 하면, 다른 한편으로는 변동되는 특징을 갖기도 한다. 이에 따라 노랫가락은 주무와 조무에 따른 가창방식, 노랫가락이 불리는 위치, 그리고 사설의 구조 및 연행 요소 간의 결합이라는 방식을 통해 전형성을 갖는다. 노랫가락의 음악적 특징에서 보이는 전형은 선행된 연구의 결과와 다르지 않아서 장단의 구성은 여러 수를 노래하여도 규칙적으로 반복되고, 선율구성은 장단을 최소 단위로 하여 8․8소박, 8․5․5소박, 5․8소박, 5․8․8소박 등으로 단락 지어 진다. 서울굿 노랫가락은 연행적인 측면에서 볼 때, 서울굿의 다른 무가에 비해 보수적인 엄격함이 있다. 장단의 구성과 선율의 구조와 같은 음악적인 큰 틀은 거의 동일하게 반복되는 가운데 기능에 따라 다양한 연행 방식을 갖게 되어 즉흥성은 배제된다. 이러한 현상은 연행의 현장이나 무당에 따라서 변치 않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노랫가락의 전형은 엄격하고 고정된 음악적 특징을 갖고 있는 반면, 거리나 신격에 따라 다양한 연행의 방식으로 변동됨을 알 수 있었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거리와 신격에 따른 노랫가락
 Ⅲ. 연행방식에 따른 노랫가락
 Ⅳ. 노랫가락의 음악적 특징
 Ⅴ. 노랫가락의 전형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반혜성 Ban, Hyesung. 전북대학교 강의전담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