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aims to verify titles and types of 'Kosayumbul(Chanting at rituals)', compare them to the other music which has been handed down to the present, and set a new direction in research concerning what has been discovered. Kosayumbul has characteristics of blessings and words of wishing, coming from a background of Buddhism, with more than 50 such recordings in the gramophone records. Titles and contents of Kosayumbul distinguished in some cases, but also it had been released under different names even though those seem to be same music. Among the music of Kosayumbul,
한국어
이 글의 목적은 유성기음반에 수록된 ‘고사 염불 소리’의 명칭과 종류를 파악하여 오늘날 전승되는 음악과 대비하여 보고, 거기서 발견되는 문제점을 바탕으로 새로운 연구의 방향을 찾아보려는 것이다. 불교가 바탕이 된 축원과 덕담의 성격을 띤 고사 염불 소리는 유성기음반에 50면이 넘게 녹음된 것으로 집계된다. 유성기음반에 녹음된 고사 염불 소리의 명칭과 내용은 분명하게 구별되는 경우도 있고, 같은 음악으로 보이지만 다양한 이름으로 발매된 경우도 나타난다. 고사 염불 소리 가운데 유성기음반의 <고사선염불>과 <오조>는 오늘날과 같이 그 명칭이나 내용이 뚜렷하여 비교적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뒷염불>이라는 곡명은 1건(Okeh1829A)만 발견되는데, <축원>, <덕담> 등의 명칭이 더 많이 쓰였다. 이 <뒷염불>은 짧게 녹음되어 그 음악적 정체성을 알기 어려워 <평염불>이나 <반멕이> 등과 더불어 심화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회심곡>의 명칭이 가장 많이 등장한다. 그러나 오늘날 쓰이는 <평염불>이라는 명칭은 한 건도 찾을 수 없어 당시 <평염불>의 명칭은 널리 쓰이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회심곡>은 부모은중경을 담은 장편의 노래도 취입되었으나 많은 경우 축원, 덕담의 내용으로만 짜여 있어 <평염불>이나 <뒷염불>의 일종이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뒷염불>과 <평염불>, <회심곡>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반멕이>는 하용남이 부른 2건의 자료가 전부이다. <반멕이> 역시 <뒷염불>이나 <회심곡>과 노랫말을 공유하고 있어, 독립된 하나의 곡목인지 혹은 ‘반멕이조'(banmegi style)인지에 대해서는 확인될 필요성이 있다. 유성기음반을 통하여 염불 <회심곡>에서 소릿조의 <회심곡>이 나온 것을 재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소릿조의 <회심곡>이 시간적 흐름에 따라 음반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새롭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결국, 명칭이나 악곡 내용에서 <뒷염불(덕담)>과 <반멕이>, <회심곡> 등의 소리는 사설 내용이나 음악적 성격을 공유하는 부분이 많아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함을 확인하게 된다. 유성기음반에는 본래의 고사 염불을 비교적 온전하게 담은 경우도 있지만 거의가 3~6분의 짧은 분량으로 녹음되어 원형을 추측해야 하는 난점이 있다. 선후창으로 부르는 <뒷염불>, <반멕이>나 합창으로 하는 <오조>를 독창으로 부른 경우도 있어 실제와 일정한 거리가 있다. 그럼에도 구한말 이래 전승되어온 고사염불의 다양한 소리가 유성기음반에 녹음돼 향후 고사염불에 대한 연구 자료로서 큰 가치를 갖는다는 사실이 새삼 발견된 것은 의미가 크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고사염불에 대한 선행연구와 문제점
Ⅲ. 유성기음반에 수록된 고사염불의 분류
Ⅳ. 유성기음반에 수록된 고사염불의 학술적 가치와 한계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