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제와 경제범패 비교 연구 -용운스님과 송암스님 범패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Buddhist Yeongje and Gyeongje chants -Through the chants with monk Yongwoon and monk Songam-

윤소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ean Buddhist Beompae chants have the same root origin of Ven Jingam in the Silla era, during which time it was learned from the Tang dynasty of China. But today, the monks of Yeongnam of province cannot sing Gyeongje style Beompae together because the melody and some vocalization are different. So I endeavoured to discover through this study which, why, and how they are different by comparing the Yeongje and Gyeongje with the chants of the monk Yongwoon of Yeongnam province and the monk Songam of Seoul, from basic Hotsori to the long melody Jissori. The basic song of Yeongnam Beompae is Geobulsu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t is Halhyangsung. The features of each era’s Beompae are exposed by these two songs. Geobulsung of Yeongnam Beompae consists of 4 tones related to Chinese words. The melody of Gyeongje Beompae is curvilinear beyond the original 4 tones with various vibrato and ornament tones. It resembles Korean traditional Sanjo and Pansori music. For all that there are certain points of similarity. The melody begins with lowest tone moving to a high tone, and both share the same ending form. The most similar melody is Bokcheongge. The most different in otherness is Yeonhangge, but still there is the same ting accompanied Gong beating on some rest parts in long continuances. Yeonhangge of Gyeongje has the greatest variety of vocalization and complex melody movements, so it is seldom heard, even in Yeongnam province. We may surmise that the song disappeared rather early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because those two locations are near the castle towns of the Korean Josun dynasty which suppressed Buddhism. I think they were unable to sing the original Jissori, and instead sang Yeonghyangge poem in a simple melody Hotsori. Usually, the chants of Songam are tender and gaudy, and the melody is 2 or 3 intervals higher than Youngwoon. I think it a regional difference rather than an individual feature, because Beompae is ritual music. There is an extreme gap of two octaves on the climax point, monk Yongwoon’s song has the lowest tone, monk Songam ‘s has the highest. Based on these facts, I concluded that Yeongje is a more ancient statute than Gyeongje, because Yeongje Beompae follows an oriental aesthetic philosophy which regarded the low tone as the voice of virtue. It also maintained the 4 tone originating from Silla and Tang Beompae, in contrast with Gyeongje Beompae which moves more freely from 4 tones and became a Koreanized musical art.

한국어

본고에서는 송암스님과 용운스님 범패를 통하여 영제와 경제 범패 홑소리.반짓소리.짓소리를 비교 고찰하였다. 영남지역은 거불성을 경기지역은 초햘향을 기초소리로 하는데 이 악곡을 통하여 두 지역 범패의특징이 확연히 드러났다. 영남지역은 작법귀감의 4성조에서 비롯된 평성․상성․거성․입성의 골격을 벗어나는 일이 거의 없는데 비해 경제는 선율 곡선이 유연하게 상하로 움직이는데다 자출이는소리․전성․ 퇴성․요성 등 다양한 창법이 구사되었다. 여러 악곡 중 가장 일치하는 점이 많은 곡은 복청게이고,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심신례였고, 연향게는 아예 다른 악곡이라 할 정도로 달랐다. 그런데 경제의 여늬 홑소리와 달리 연향게에는 쉼을 연결하는 징 타주가 있어 영제와 상통하는 일말의 실마리가 보였다. 이 곡은 워낙 길고 난해한 곡이므로 요즈음은 영남지역에도 거의 부르지 않는 점을 볼 때, 불교를 억압한 도성과 가까이 있었던 경기지역에는 일찍이연향게소리가 사라지고 홑소리로 불렀지만 본래의 법구 타주가 남아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여러 악곡의 전반적인 차이를 본다면 용운스님에 비해 송암스님은 약 2도 내지 단3도 정도 위 음역에서소리를 지었다. 음고의 차이는 짓소리에서 더욱 극단적인 대조를 보였다. 지심신례와 삼귀의에서 용운스님은 최저음에서, 송암스님은 최고음에서 지극한 공경심을 표현하므로써 거의 2옥타브에 가까운 간격을 보였다. 군자의 음이라 여겼던 저음에 강세를 두고 4성의 골격을 지닌 영남범패와 달리 경제는 산조나 판소리에서 표출되는 시김새와 유사한 점이 많아 한국적 예술화가 좀 더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영제와 경제의 기초 소리 비교
 Ⅲ. 영제와 경제의 홑소리와 반짓소리
 Ⅳ. 영제와 경제의 짓소리 분석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소희 Yoon, So-hee. 부산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