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제 안채비 착어성의 성조(聲調)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Buddhist chant Chageoseong着語聲 of Kyŏngje京制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lody and the four kinds of voice tone四聲-

손인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Chageoseong着語聲 of Kyŏngje京制, which is the one of Anchaebi-soli안채비소리 to pray for the soul of the late people, and the musical relations with the four kinds of voice tone四聲 of middle chinese. The Buddhist chants, which contains middle chinese, has thus far been believ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traditions of 4 tones of voice. This kind of study has not been yet accomplished by the difficulties and lack of concern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n the basis of the ancient literature, Chageoseong着語聲 has a long history, and has been well-transmitted in accordance with the traditions of 4 tones of middle chinese. Also, Chageoseong着語聲 of Kyŏngje京制 is rooted in Kyŏng-tory경토리(Mi, sol, la, do', re', (mi♭')), which is mutually influential with menari-tory메나리토리. Firstly, the melody of the level tone平聲(the first row) has a low voice range, usually based on Mi and sol. Secondly, the tune of the rising tone上聲(the second row) and the departing tone去聲(the third row) all takes a high voice range, expecially according to do'. Lastly, the melody of the entering tone入聲(the fourth row) generally concludes the quick end of the melodic phrase直而促. These all features of melody are recorded in the four tones of voice of Jakbeobgukgam作法龜鑑, which has been written by the Korean Monk, Beakpa白坡 in 1827. In addition, Chageoseong着語聲 of Kyŏngje京制 is well composed of Kyŏnggi musical style, which reflects a solemn and compassionate mood in the melody and tune.

한국어

본고에서는 대령의식, 관음시식, 종사영반, 상용영반의 착어성을 대상으로, 경제 안채비 착어성의 성조(4성)와 그 선율 관계를 파악해보았다. 이에 앞서 그 역사와 전반적인 음악 특징을 먼저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착어성은『염불작법(念佛作法)』(1575)에서 현행 대령 선착어(‘생본무생’)가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그 역사가 제법 오래된 것으로 보이며, 『작법귀감(作法龜鑑)』(1827)과『요집(要集)』(근세기)의 4성 기록을 통해 본래 한자의 음운 및 성조를 꾸준히 견지하며 전승하려고 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16~17세기에는 운수단의식 중 영혼식(靈魂式, 대령보다 규모가 작은 의식)에서 많이 활용되었고, 점차 대령과 상용시식, 그리고 현재와 같이 세분화된 여러 시식과 영반에서 불렀던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인 음악 특징을 보면, 3소박 불규칙박자로 되어있고, 토리는 경토리의 주요 구성음 중 제5음 mi'가 본래 음역보다 한 음역 낮게 나타나는 경토리(Mi, sol, la, do', re', (mi'♭))로 볼 수 있겠으며, 이는 메나리토리의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제5음 mi'가 본래 음역에서는 mi'♭의 경과음으로 조금씩 출현하여, 음역은 Mi~mi'♭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선율은 가사(4언 및 5언의 산문체, 또는 7언 4구)에 의해 통절식으로 진행되어, 일정한 형식구조가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특정한 선율 형태(melodic pattern)들이 존재하며 곡 전체에 걸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들은 성조와 밀접하게 관련되어있다. 영가에게 법문을 하는 착어의 특성 상 장중하고 자비로운 음악적 분위기가 선율 진행 패턴에 그대로 반영되어있다. 경제 착어성의 성조와 선율 관계를 정리해보면, 평성은 소위 ‘착어성 경토리’에서 낮은 음인 Mi, sol을 중심으로 평으로 내는 선율, 상성과 거성은 별다른 선율적 구분 없이 나름 높은 음인 do'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선율을 기본으로 한다. 입성은 본래 특징인 ‘직이촉’의 선율 특징과 상성 및 거성과 같이 do' 중심의 곧은 선율 특징이 혼재되어 나타나며, 두 가지 모두 do'를 중심으로 한 음역에서 많이 나타난다. 이상의 특징들은 당나라 문헌인『원화운보(元和韻譜)』(806~827)와 조선 후기 대표적인 불교의식집인『작법귀범』(1827)에 기록되어있는 4성조의 내용과 맞닿는다. 한편 현재 중국에서 사라진 성조 ‘입성’이 경제 범패에 다양한 선율 형태로 잘 남아있는 사실은 여러 방면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그리고 현재 불교학계에서는 착어성의 특징을 ‘여거(勵擧)’로 꼽는데, 사실 이는 상성의 발성법으로 착어성에서 평성을 제외한 상성, 거성, 입성의 한자들이 모두 높은 음인 do'를 중심으로 많이 진행되어 표현된 문구가 아닌지 모르겠다. 또한 본고에서 살펴본 소리들 중 대령의 착어성이 한자 음운 및 성조와 선율 진행이 가장 잘 맞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음악적으로도 상당히 잘 구성되어 착어성들 중 대표성을 갖는 이유를 알게 한다. 그리고 음악적 흐름상, 또는 앞뒤 성조와의 조화를 위해 성조의 기본 체제에서 조금씩 벗어난 진행이 나타나기도 한다. 즉, 성조와 음악적 조화를 최대한 추구하면서 이른바 두 마리의 토끼를 모두 잡고자 하는 이면을 엿볼 수 있고, 경기 특유의 음악적 스타일로 선율을 구성한 묘미도 살펴볼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착어성의 역사와 그 특징
 Ⅲ. 착어성의 성조와 선율 관계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악보

저자정보

  • 손인애 Son inEa[Son, in-ae]. 서울대학교 출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