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북 지역의 서사민요와 규방가사

원문정보

Folk Ballad and Gyubanggasa in Gyeongsangbuk-do

성기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olk ballad and gyubanggasa, handed down in Gyeongsangbuk-do, have been widely passed down in Gyeongsangbuk-do, in particular. What they have in common is that they are created and enjoyed by women. Also, they share in common that their lyrics are basically in 4 notes syllabic meter, that is 4 eumbo. In terms of genre, folk ballad which was enjoyed by women from ordinary families was usually sung during the labor, while gyubanggasa by women from noble families aimed to recite and appreciate lyrics written on rolls of paper. The folk ballad in Gyeongsangbuk-do, characterized as women’s music, is in a kind of default form which features the repeated rhythm syntax structure of one rhythm form structure. Gyubanggasa also features regular text recitation patterns depending on the lyrics. In the text recitation patterns for folk ballad, bullimyeombulhyeong (2, 2, 2, 2, 2 small beat) is the most frequently used one and eotmorihyeong (2, 3, 2, 3 small beat) and eotjungmorihyeong (2, 2, 2, 2, 2, 2 small beat) follow, while for gyubanggasa, eotmorihyeong (2, 3, 2, 3 small beat) and jajinmorihyeong (3, 3, 3, 3 small beat), eotjungmorihyeong (2, 2, 2, 2, 2, 2 small beat) are widely used. Folk ballad and gyubanggasa have regularly repeated text recitation patterns in common. However, folk ballad is composed of an ascending melody and a descending melody, that is the feature of folk songs, while in gyubanggasa, a singer reads lyrics mostly with a ‘reciting tone’ and the later tones move up or down depending on lyrics, and finishes a phrase. This is a musical difference between folk ballad and gyubanggasa. A singing way of gyubanggasa in Gyeongsangbuk-do was formed based on the features of the general vocal genres in which long lyrics are sung, such as yangban (nobleman) gasa, and religious gasa. However, folk ballad in Yeongnam features music with a default form in general folk songs in the same area in terms of text recitation patterns and melody progress, it should be regarded as characterized by fundamental music with an old origin.

한국어

경상북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음악 중 서사민요와 규방가사는 4음보 연속체의 율격을 기본으로 하고, 여성들에 의해 향유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서사민요는 민촌(民村)의 부녀자들 사이에서 불려 왔으며 주로 길쌈 등 노동을 하며 부르는 갈래인 반면, 규방가사는 주로 반촌(班村)의 부녀자들이 ‘두루마리’ 등에 적은 가사 작품을 낭송하고 감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갈래라는 차이점이 있다. 경북 지역의 서사민요는 자연태 음악인 부녀요의 특성상 한 가지 리듬 형태구조로 된 사설붙임 유형이 반복되는 특징이 있으며, 규방가사 역시 가사에 따라 일정한 사설붙임 유형이 반복되는 특징이 있다. 서사민요를 사설붙임 유형에 따라 나누어 보면, 불림염불형(2, 2, 2, 2, 2소박), 엇모리형(2, 3, 2, 3소박)과 엇중모리형(2, 2, 2, 2, 2, 2소박), 자진모리형(3, 3, 3, 3소박) 등이 있었으며, 규방가사에는 엇모리형(2, 3, 2, 3소박)과 자진모리형(3, 3, 3, 3소박), 엇중모리형(2, 2, 2, 2, 2, 2소박) 등이 있었다. 4음보 연속체의 노랫말에 일정한 사설붙임 유형을 붙여 부른다는 점에서 서사민요와 규방가사는 공통적이지만, 1음보에 4자가 들어가지 않고 3자 또는 5자가 들어갈 경우에는 두 갈래의 사설붙임 방식에 차이가 나타난다. 즉 서사민요는 1음보에 들어가는 글자수가 많고 적은 차이가 있어도 장단의 틀이 유지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규방가사는 1음보에 들어갈 글자 수가 많고 적음에 따라서 사설붙임 유형도 확대되거나 축소되는 변화가 일어났다. 또한 서사민요와 규방가사는 선율 진행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예를 들어서 서사민요의 경우 각 곡마다 특징적인 선율형이 있어서 2장단 단위로 1장단씩 주고받거나 혹은 1장단 단위로 반복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규방가사의 경우에는 가사의 내용에 따라 강조할 부분에서는 높은 음으로 부르고 평이한 내용이나 구절을 마칠 때에는 sol음이나 la음으로 나지막하게 읊어나간다는 점에서 선율진행상의 차이가 있었다. 경북 지역에서 전승되는 서사민요와 규방가사는 노랫말의 율격이나 여성들이 주로 부르는 갈래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지만, ‘민요’와 ‘가사’라고 하는 두 장르의 음악적 특징과의 상관관계 속에서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경북 지역의 서사민요는 사설붙임 유형이나 선율 진행에 있어서 같은 지역의 일반적인 민요가 갖고 있는 자연태 음악의 특성과 통하며, 영남 지역의 규방가사의 가창 방식은 양반가사 및 종교가사 등 장편가사를 낭송할 때의 보편적인 가사창의 방식과 통한다는 점에서 서로 구별된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경북 지역 서사민요와 규방가사의 음악적 특징
 Ⅲ. 경북 지역 서사민요와 규방가사의 비교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성기련 Sung, Ki-ryun.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