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가곡의 時間觀

원문정보

A Study of the Time View of Gagok

가곡의 시간관

김영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gram sequence order of male gagok (traditionnal vocal music) a suite of 24 songs, and to clarify how the view of time in the book Juyeok [周易] affects the program sequence order in male gagok.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ormation of a suite of gagok and the interpretation of 64 trigrams from the book Juyeok are relevant. The relational net forms among 24 songs of male gagok and 64 trigrams from Juyeok. Gagok and Juyeok commonly have an agricultural concept of time which has accumulated in the area where distinctive four seasons countlessly repeat. Therefore, the concept of time in gagok and the Juyeok scarcely occurs in the polar where winter lasts all year long or in the tropics where summer never ends. Juyeok tells of all things, which are born and dead, have something to do with time. The process of all things born and dead with time reflects on the song order in gagok. The concept of time in gagok has three notable features: 1) Without beginning and without end, 2) flexibility, 3) circulation. Consequently, three kinds of concept of time in gagok are based on the concept of time in Juyeok, which the educated people had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Gagok should develop into the general theme of Korean music.

한국어

본 연구는 현행 남창가곡 24곡 한바탕의 악곡순서를 분석하고,『주역』의 시간관념이 가곡의 순서매김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곡 한바탕의 구성과『주역』64괘(卦)의 해석은 관계론적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즉 남창가곡 24곡은 개별 악곡 간에 관계(關係)의 망(網)을 형성하고 있고,『주역』64괘는 괘와 괘 사이에 관계의 망을 형성한다. 가곡과『주역』은 사계절이 분명한 지역에서 봄-여름-가을-겨울이 반복되면서 축적된 농경문화의 시간관념이 공통적으로 깔려있다. 그러므로 가곡과『주역』의 시간관념은 공히 일 년 내내 겨울이 지속되는 극지(極地)이거나, 반대로 일 년 내내 여름인 열대의 나라에서는 탄생하기 어렵다.『역경』에서 만물의 생멸과정은 시간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음을 밝히고 있는데 가곡은 이 만물의 동태적(動態的) 변화를 곡목순서에 담아 모사(模寫)했음을 알았다. 가곡의 시간관념은 3가지의 성격을 갖고 있다. 1)변통적 시간관(고정되지 않고 부단히 변화함) 2)종시적 시간관(시작도 없고 끝도 없이 서로 이어짐) 3)순환적 시간관(사계절이 반복되듯 순환하고 왕복함)이 그것이다. 가곡 곡목의 순서매김은 이 세 가지의 시간관을 토대로 한 것이라고 하겠다. 가곡은 조선 후기 지식인 계층이 사고하는『주역』의 시간관을 그 바탕에 깔고 있음을 알게 되었고, 이러한 연구의 결과가 정악미학의 시간관념으로 공감대가 확대되고 심화되어야 하리라 생각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 연구의 한계성과 개황
 Ⅱ. 19세기 가곡 악곡 구성의 확립과 제양상
 Ⅲ. 가곡에 반영된 『주역』의 시간관
 Ⅳ.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영욱 Kim, Young-wook. 대구예술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